$\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망력 모형의 변천과 가정 고찰 - Lee-Carter 류를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assumption and transition of mortality model for Korea - Discussion on the kinds of Lee-carter -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1 no.5, 2018년, pp.637 - 653  

오진호 (통계청 통계개발원) ,  김순영 (통계청 통계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빠른 고령화로 고령층의 증가는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선진국은 인구고령화를 주요현안으로 간주하여 고령화로 인한 연금 재정건전성, 건강 및 노인 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층의 증가로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미치는 사망률 예측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은 통계청 1970-2016년 각세별 생명표 자료를 활용하여 사망률 모형 6가지를 비교하였다. 이들 모형은 Lee-Carter(LC) 모형 (Lee and Carter,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659-671, 1992)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LC 의 가정을 수정하고 개선한 것이다. 이들 개선과정과 가정검토를 모형별로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망률 모형을 모색했다. 분석결과 빠른 고령화와 연령별 사망률의 개선 효과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기대수명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이들 현상을 반영하고 연령별 사망률 패턴을 수정하는 LC-ER 모형 (Li 등, Demography, 50, 2037-2051, 2013)과 Li-Lee 모형과 LC-ER모형을 조합한 LL&LC-ER 모형으로 사망률을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ffects popul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aging. Consequently, developed countries have focused on population aging as a major issue in regards to pension sustainability finances as well as health and the elderly welfare system. Mortality projections that result from ...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빠른 고령화로 고령층의 증가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빠른 고령화로 고령층의 증가는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선진국은 인구고령화를 주요현안으로 간주하여 고령화로 인한 연금 재정건전성, 건강 및 노인 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선진국이 고령화로 인한 연금 재정건전성, 건강 및 노인 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빠른 고령화로 고령층의 증가는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선진국은 인구고령화를 주요현안으로 간주하여 고령화로 인한 연금 재정건전성, 건강 및 노인 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층의 증가로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미치는 사망률 예측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고령층의 증가로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미치는 사망률 예측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본 이유는? 빠른 고령화로 고령층의 증가는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선진국은 인구고령화를 주요현안으로 간주하여 고령화로 인한 연금 재정건전성, 건강 및 노인 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층의 증가로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고령화에 미치는 사망률 예측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hk-Ewald, C., Ebeling, M., and Rau, R. (2017). Lifespan disparity as an additional indicator for evaluating mortality forecasts, Demography, 54, 1559-1577. 

  2. Booth, H., Maindonald, J., and Smith, L. (2002). Applying Lee-Carter under conditions of variable mortality decline, Population Studies, 56, 325-336. 

  3. Brillinger, D. R. (1986). The natural variability of vital rates and associated statistics, Biometrics, 42, 693-734. 

  4. Cairns, A., Blake, D., and Dowd, K. (2006). A two-factor model for stochastic mortality: theory and calibration,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73, 687-718. 

  5. Cairns, A., Blake, D., Dowd, K., Coughlan, G., Epstein, D., Ong, A., and Balevich, I. (2009).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stochastic mortality models using data from England and Wales and the United State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13, 1-35. 

  6. Cairns, A., Blake, D., Dowd, K., Coughlan, G., Epstein, D., and Khalaf-Allah, M. (2011). Mortality density forecasts: an analysis of six stochastic mortality model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43, 355-367. 

  7. De Jong, P. and Tickle, L. (2006). Extending Lee-Carter mortality forecasting, Mathematical Population Studies, 13, 1-18. 

  8. Doukhan, P., Pommeret, D., Rynkiewicz, J., and Salhi, Y. (2017). A class of random field memory models for mortality forecasting, Insurance : Mathematics and Economics, 77, 97-110. 

  9. Guibert, Q., Lopez, O., and Piette P. (2017). Forecasting mortality rate improvements with a high-dimensional VAR, HAL-01613050, doi:hal.archives-ouvertes.fr/hal-01613050 

  10. Horiuchi, S. and Wilmoth, J. (1995).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San Francisco, CA: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11. Hunt, A. and Villegas A. M. (2015). Robustness and convergence in the Lee-Carter model with cohort effect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64, 186-202. 

  12. Jeong, S. and Kim K. W. (2011). A Comparison study for mortality forecasting model by average life expectanc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115-125. 

  13. Jung, K., Back, J., and Kim, D. (2013). Comparison of mortality estimate and prediction by the period of time series data used,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6, 1019-1032. 

  14. Kannisto, V., Lauritsen, J., Thatcher, A. R., and Vaupel, J. W. (1994). Reductions in mortality at advanced ages: several decades of evidence from 27 countri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0, 793-810. 

  15. Kang, J. C., Lee, J. C., and Sung, J. H. (2006). A study on methods for forecasting mortality considering longevity risk, The Journal of Risk Management, 17, 153-178. 

  16. Kim, S. J. (2012). A comparison study on the stochastic mortality models for measuring longevity risk, Korean Insurance Journal, 93, 213-235. 

  17. Kim, S. Y. and Han, M. J. (2017). Mortality forecasting for 2016 Korean Population Projection,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40, 1-25. 

  18. Kim, S. Y. and Oh, J. H. (2017). A study comparison of mortality projection us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30, 701-717. 

  19. Kim, S. Y., Oh, J. H., and Kim, K. W. (2018). A comparison of mortality projection by different time period in time serie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31, 41-65. 

  20. KOSIS (2016). Population Projections (2015-2065). 

  21. Lee, R. D. and Carter, L. R. (1992). Modeling and forecasting U.S.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659-671. 

  22. Lee, R. D. and Miller, T. (2001).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e-Carter method for forecasting mortality, Demography, 38, 537-549. 

  23. Li, H. and Lu, Y. (2017). Coherent forecasting of mortality rates: a Sparse Vector-Autoregression approach, ASTIN Bulletin: The Journal of the IAA, 47, 563-600. 

  24. Li, N. and Gerland, P. (2011). Modifying the Lee-Carter Method to Project Mortality Changes up to 2100,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2011 Annual meeting-Washington, DC, Session 125, formal Demography I: Mathematical Models and Methods. 

  25. Li, N. and Lee R. (2005). Coherent mortality forecasts for a group of populations: an extension of the Lee-Carter method, Demography, 42, 575-594. 

  26. Li, N., Lee, R., and Gerland, P. (2013). Extending the lee-carter method to model the rotation of age patterns of mortality decline for long-term projections, Demography, 50, 2037-2051. 

  27. Park, Y. S., Kim, K. W., Lee, D. H., and Lee, Y. K. (2005). A comparison of two model for forecasting mortality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8, 639-654. 

  28. Renshaw, A. E. and Haberman, S. (2006). A cohort-based extension to the Lee-Carter model for mortality reduction factor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38, 556-570. 

  29. Sevcikova, H., Li, N., Kantorova, V., Gerland, P., and Raftery, A. E. (2015). Age-Specific Mortality and Fertility Rates for Probabilistic Population Projections. Working paper no. 150, Center for Statistics and the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Washington. 

  30. Statistics Canada (2015). Population Projections for Canada(2013 to 2063),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3 to 2038): Technical Report on Methodology and Assumptions. 

  31. Thatcher, A. R., Kannisto, V., and Vaupel, J. W. (1998). The force of mortality at ages 80 to 120, Odense Monographs on Population Aging 5, Odense University Press. 

  32. Zou, H. and Hastie, T. (2005). Regularization and variable selection via the elastic net, Royal Statistical Society, 67, 30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