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교육 활용을 위한 메이커 교육 구성 요소 탐색
Exploring the Ways to Use Maker Education in Schoo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4, 2020년, pp.19 - 30  

권유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영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임윤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영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은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성석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이커 교육메이커스페이스에서 모인 메이커들이 서로의 활동과 경험을 공유한 메이커 운동에 기초하여 시작되었으며, 메이커 교육에서 추구되는 교육적 가치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에 사용할 메이커 교육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메이커 교육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메이커 교육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 심층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진술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들을 통해 검토 받았다. 이러한 진술문을 토대로 메이커 교육 활용을 위한 구성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과 수업 및 창의적 체험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 틀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메이커 교육에서 메이커들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하고, 다른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며, 학습, 땜질, 디자인 사고, 메이커 활동, 공유 및 협력, 성찰 등의 자기 방향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은 특정 활동을 필요에 따라 학생의 선택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 학습을 강조한다. 활동의 결과물보다는 학습자의 행동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실패를 용인하며 재도전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향후 각 교과(커리큘럼 전문가, 교직 / 학습 전문가, 초 중학교 교사, 부모, 지역 교육자 등) 및 학교 활동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메이커 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연구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ker education started on the basis of the maker movement in which makers gathered in makerspace share their activities and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value pursued in mak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aker education components t...

주제어

참고문헌 (26)

  1. Blikstein, P. (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In J. Walter-Herrmann, & C. Buching (Eds.),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Bielefeld, Germany: Transcript. 

  2. Bullock, S., & Sator, A. (2015). Maker pedagogy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Canadi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Studies, 13(1), 60-87. 

  3. Byun, M. K. & Choe, I. S. (2018). Exploring the direction of korean maker education for activating maker's move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1, 39-50. 

  4. Cha, H. J., & Park, T. J. (2018). A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to promote maker education at the korean primary & secondary school level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lobal maker education best practi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97-113. 

  5.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7(3), 11-14. 

  6. Jonassen, D. H. & Duffy, T. M. (Eds.). (1992). Constructivism and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Halverson, E. R., & Sheridan, K.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5-504. 

  8. Hsu, Y., Baldwin, S., & Ching, Y. (2017). Learning through making and maker education. TechTrends, 61(6), 589-594. 

  9. Jung, J. W. (2017). Domestic and foreign status and application methods of maker education and maker space (KERIS Issue Report PM 2017-7). 대구: KERIS. Retrieved from http://keris.or.kr 

  10. Kang, I. A., & Kim, H. S. (2017). Exploring the value of the maker mind set at maker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50-267. 

  11. Kang, I. A. (2017, February 15).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 및 성공적 장작을 위한 제언 [The importance of learner-oriented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successful settlements]. Retrieved from http://edpolicy.kedi.re.kr/frt/boardList.do?strCurMenuId65 

  12. Kang, I. A., Yoon, H. J., Jung, D., & Kang, E. S. (2019). Theory and practice of maker education. Seoul: In-House Publishing House. 

  13. Kang, I. A., Yoon, H. J., & Whang, J. W. (2017). Maker education-the constructivism re-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In-House Publishing House. 

  14. Katterfeldt, E. S., Dittert, N., & Schelhowe, H. (2015). Designing digital fabrication learning environments for Bildung: Implications from ten years of physical computing workshops.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Computer Interaction, 5, 3-10. 

  15. Kim, H. S., & Won, Y. M. (2000). Q methodology. Seoul: Kyobobook Press. 

  16. Kim, Y. I. (2018).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maker education theory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24(2), 39-57. 

  17. Lee, Y. T. (2013).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and models for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8. Loertscher, D. V., Preddy, L., & Derry, B. (2013). Makerspaces in the school library learning commons and the uTEC maker model. Teacher Librarian, 41(2), 48-51. 

  19. Ma, D. (2018). Project 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limin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9(1), 131-135. 

  20. Martinez, S. L., & Stager, G. S.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1. Papert, S. (2000). What's the big idea: towards a pedagogy of idea power. IBM Systems Journal, 39(3/4), 720-729. 

  22. Harel, I., & Papert, S. (Eds.). (1991). Constructionism. Norwood, NJ: Ablex Publishing. 

  23.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24. Thomas, A. (2014). Making makers: kids, tools, and the future of innovation. Sebastopol, CA: Maker Media, Inc. 

  25. Yoo, Y. E., Kang, I. A., & Jeon, Y. C. (2018).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63-175. 

  26. Yoon, J., Kim, K., & Kang, S. (2018). Developing maker competency model and exploring maker education pl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5), 649-6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