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빈도 피부질환에 대한 국내외 한의학 논문에서 평가도구 사용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Assessment Tools in Traditional Medicine on the High Frequent Skin Diseases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1 no.4, 2018년, pp.31 - 41  

박소영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강민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김민희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곽재영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최인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assessment tools that can be used for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skin diseases by review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in domestic and overseas traditional medicine papers for the past five year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한 다빈도 피부질환을 대상으로 최근 5년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한방 논문에서의 평가도구 사용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본연구는 검색 과정에서 누락된 연구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 신뢰할 만한 평가도구 사용의 보편화 혹은 평가도 구의 개발을 위해서는 실제 임상 및 연구에서 평가도 구의 사용 현황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한방의료기관에서 진료한 다빈도 피부질환을 선정해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한방의료기관에서 진료한 다빈도 피부질환 중임상연구에서의 평가도구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자 본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피부염 총 40편 중 36편, 건선 34편 중 29편, 여드름 26편 중 22편, 두드러기 10편 중 5편에서 평가도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질환을 평가하는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질환의 중증도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량은 치료에 의한 경과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질환의 치료와 관리에 있어 기본이 된다. 특히 피부질환에서는 질환의 특성상 겉으로 나타나는 피부증상의 정도를 임상 의의 판단이나 환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할 여지가 많다는 한계가 있어 객관적인 측정방법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지속되었다.
평가란 무엇인가? 평가란 치료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를 해석 하는 과정이며, 평가의 주된 목적은 주어진 상황과 시간 안에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치료현장에서 환자의 전체적인 평가과정 중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부분은 일부분에 속하나 표준화된 평가 도구의 사용은 평가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여주 며, 치료 전후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고,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8) .
여드름에 대한 평가도구가 통일되지 않고 사용되는 이유는? 특히, 해외 한방 논문에서는 9편의 논문에서 5가지의 평가도구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여드름에 대한 평가도구가 통일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이는 여드름이 면포, 홍반성 구진, 농포, 결절, 반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병변의 크기나 밀집상태, 염증의 정도와 병의 경과 및 치료 반응 역시 다양하여 포괄적이고 정확하며 편리한 여드름 중증도 평가가 어렵다 14) 는 점을 반영하는 것으로볼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15-17) , 본 연구에서도 2편의 논문에서 진단기기를 활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ng SH. Reviewing Research on Korean medical treatment of Psoriasis. J Korean Med Opht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4):26-42. 

  2. Kim JH, Park SY, Rhee DH, Kim JS, Choi JH. The Review on th Acne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26-39. 

  3. Son BK, Choi IH. Research of Pattern identification and Outcome Measurement in Atopic Dermatitis. J Korean Med Opht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8;21(3):150-65. 

  4. Seo JM, Kim SC, Hwang SY, Hwang BM, Jee SY. A study on the Severity Scoring Systems of Atopic Dermatitis; comparison,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hildhood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6;20(2):1-14. 

  5. Yoon HJ, Yoon JW, Yoon SW, Ko OS. A study on the Severity Scoring Systems of Atopic dermatitis; Comparision, Analysis and Establishment. J Korean Oriental Med. 2002;23(4):15-26. 

  6. Lee GY, Kim HJ. A study on the Severity Scoring Systems of Atopic Dermatitis ; comparison,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hildhood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5;26(2):25-31. 

  7. High frequency morbidity statistcs. Health care Big data Open system. 2017.Available from: URL: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8. Park SY, Yoo EY.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KSOT. 2002;10(2):99-108. 

  9. Eichenfield LF, Tom WL, Chamlin SL, Feldman SR, Hanifin JM, Simpson EL, et al. Guidelines of care for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Section 1.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14;70(2):338-51. 

  10. Oranje, A. P. Practical Issues on Interpretation of Scoring Atopic Dermatitis: SCORAD Index, Objective SCORAD, Patient-Oriented SCORAD and Three-Item Severity Score. Curr Probl Dermatol. 2011;41:149-55. 

  11. Bozek A, Reich A. The reliability of three psoriasis assessment tools: Psori asis area and severity index, body surface area and physicianglobal assessment. Adv Clin Exp Med. 2017;26(5):853. 

  12. Kim BY, Kim KI, Kang SH, Park JG, Kang DW, Nam HJ, et al. Explanation and Elaboration of the Clinical Trial Guidelines for Psoriasis Using Herbal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31(2):40-59. 

  13. Menter A, Gottlieb A, Feldman SR, Van Voorhees AS, Leonardi CL, Gordon KB, et al. Guidelines of care for the management of psoriasis and psoriatic arthritis: Section 1. Overview of psoriasis and guidelines of care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with biologic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08;58(5):826-50. 

  14. Sung KJ, Rho YS, Choi EH, Oh JJ, Lee JH, Kim S, et al. Korean Acne Grading System. Korean J Dermatology. 2004;42(10):1241-7. 

  15. Bergman H, Tsai KY, Seo SJ, Kvedar JC, Watson AJ. Remote assessment of acne: the use of acne grading tools to evaluate digital skin images. Telemed J E Health. 2009;15(5):426-30. 

  16. Min S, Kong HJ, Yoon C, Kim HC, Suh D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utomatic acne lesion detection program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Skin Res Technol. 2013;19(1):e423-32. 

  17. Qureshi AA, Brandling-Bennett HA, Giberti S, McClure D, Halpern EF, Kvedar JC. Evaluation of digital skin images submitted by patients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or an online tutorial. J Telemed Telecare. 2006;12(2):79-82. 

  18. Baek SC, Hong MS, Jegal H, Jin YH, Joo TM, Lee SJ, et al. A Clinical Report on The Atrophic Acne Scar with Subcis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4):80-8. 

  19. Ye YM, Jang GC, Choi SH, Lee J, Yoo HS, Park KH, et al. KAAACI Work Group report on the management of chronic urticaria. AARD. 2015;3(1):3-14. 

  20. Zuberbier T, Aberer W, Asero R, Bindslev-Jensen C, Brzoza Z, Canonica GW, et al. The EAACI/GA(2) LEN/EDF/WAO guideline for the deficitio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ticaria: the 2013 revision and update. Allergy. 2014;69(7):868-87. 

  21. Mlynek A, Zalewska-Janowska A, Martus P, Staubach P, Zuberbier T, Maurer M. How to assess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 Allergy. 2008;63(6):777-80. 

  22. Maurer M, Antonova EN, Mathias SD, Crosby RD, Zazzali JL.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U-AIM, a new patient-reported tool to assess disease activity and impact in patients with CSU/CIU. J Allergy clin imuunol. 2018;141(2):AB49. 

  23. Marcus Maurer, Susan D. Mathias, Ross D. Crosby, Yamina Rajput, James L. Zazzali.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urticaria activity and impact measure(U-AIM), a new patient-reported tool. Annals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2018;120(6):641-7. 

  24. Wahl A. The impact of psoriasis on psychosocial life domains; A review. Scand J Caring Sci. 1997;11:243-9. 

  25. Kurd SK, Troxel AB, Crits-Christoph P, Gelfand JM. The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ity in patients with psoriasi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rch Dermatol. 2010;146(8):89-95. 

  26. Choi JH. Pruritus in Psoriasis. 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2009;11(2):6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