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9년 강원도 화재 보도에 대한 언어망 분석: 미디어의제 분석을 중심으로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2019 Gangwon-do Wild Fire News Reporting: Focusing on Media Agend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153 - 167  

이정훈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는 지상파 TV, 중앙일간지, 지역지, 등 총 37개의 보도 매체의 2019년 강원도 대형 화재 보도를 분석하여 미디어의제를 파악하고 매체별, 시기별 미디어의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모델링 알고리즘의미망 분석을 활용한 연구는 네트워크 미디어의제의 구성을 분석하고 QAP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매체간 의제 설정 효과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강원도 화재 보도에서는 이재민 지원과 정치권 갈등 속성을 중심으로 다소 선정적인 미디어의제가 형성되었고 시기별, 매체별 미디어의제 간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을 토대로 의미망 분석 도구를 활용해 대량의 기사를 분석하면서 기존의 빈도분석과는 구별되는 조사방법론을 구현한 연구라는 점에서 또 하나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 agenda and to compare each media agenda by media and by time period, analyzing the news about 2019 Gangwon-do's wild fire reported by 37 Korean news media. Using the topic modeling algorithm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nspected the configuration o...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보도에 대한 논의들은 어떠한 것이 주를 이루는가? 재난보도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현실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재난 보도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재난보도에 대한 논의들은 재난보도 현장에서 지켜야 할 보도윤리나 수행해야 할 보도준칙을 적용하면서 보도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1-4]. 또 재난보도의 내용을 분석하는 연구들은 선택한 특정 매체의 보도 내용에 포함된 요소들을 분석하면서 해당 언론의 보도 경향이나 전달된 메시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일반적이다 [5][6].
지상파 TV, 중앙일간지, 지역지, 등 총 37개의 보도 매체의 2019년 강원도 대형 화재 보도를 분석하여 미디어의제를 파악하고 매체별, 시기별 미디어의제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토픽모델링 알고리즘과 의미망 분석을 활용한 연구는 네트워크 미디어의제의 구성을 분석하고 QAP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매체간 의제 설정 효과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강원도 화재 보도에서는 이재민 지원과 정치권 갈등 속성을 중심으로 다소 선정적인 미디어의제가 형성되었고 시기별, 매체별 미디어의제 간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을 토대로 의미망 분석 도구를 활용해 대량의 기사를 분석하면서 기존의 빈도분석과는 구별되는 조사방법론을 구현한 연구라는 점에서 또 하나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현실에서 재난보도를 접할 때 어떻게 소식을 접하게 되는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형재난 보도들이 어떤 내용으로 전달되고 재난에 대한 상(picture)을 어떻게 제시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현실에서 재난에 대한 보도를 접할 때 재난보도의 특성상 소수 특정 매체만을 의존하기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해당 재난에 대한 소식을 접하게 된다. 한 두 개의 특정 매체의 보도 내용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가지는 재난보도에 대한 불만을 이해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경희, "지역의 재난 뉴스에서 나타난 보도관행과 대안,"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7-39, 2017. 

  2. 김성재.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재난보도 방향," 방송통신연구, pp.89-112, 2003. 

  3. 백선기, 이옥기,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pp.23-57, 2011. 

  4. 유승관, 강경수,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재해 뉴스보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방송통신연구, pp.140-169, 2011. 

  5.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41-248, 2009. 

  6. 백선기, 이옥기, "재난방송 보도에 대한 국가별 채널간 보도태도의 비교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272-304, 2013. 

  7. 박성철, 이덕환, "구미 유독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보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5호, pp.86-123, 2013. 

  8. 황유나, 전미현, 유재웅, "재난위기보도의 시계열.매체별 보도 특성-세월호 사건에 대한 네트워크, 내용분석 적용,"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2호, pp.1-15, 2016. 

  9. 이창현, 재난방송에 대한 한일간 방송보도 비교연구: 사회적 프레임과 자연적 프레임에 따른 재난보도의 차이, 한국방송개발원, 1995. 

  10. 유재웅, 조윤경, "자연재난 보도에서 공식/비공식 정보원 이용에 관한 연구: 시민제작 콘텐츠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3호, pp.67-84, 2012. 

  11. 조은희, "국내신문의 일본 대지진. 원전사태 보도특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17-143, 2012. 

  12. 강태우, "'산불이 났을 때 '공중파'는 없었다," 시사인, 2019.5.9. 

  13. 허주희, 심재철, "강원도 수해 TV 보도 게이트키핑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77-182, 2009. 

  14. M. E. McCombs and D. L.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6, No.2, pp.176-187, 1972. 

  15. M. McCombs, "A look at agenda-setting: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ism studies, Vol.6, No.4, pp.543-557, 2005. 

  16. L. Guo,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agenda setting research: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56, No.4, pp.616-631, 2012. 

  17. E. T. Higgins, "Activation: Accessibility, and salience," In E. T. Higgins and A. W. Kruglanski(Eds.),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principles, pp.133-168, New York, N. Y.: Guilford, 1996. 

  18. S. Iyengar and D. R. Kinder, News that matters: Agenda-setting and priming in a television age .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19. S. Kaplan, "Cognitive maps in perception and thought.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ping and spatial behavior," pp.63-78, 1973. 

  20. H. T. Vu, L. Guo, and M. E. McCombs, "Exploring "the world outside and the pictures in our heads" A network agenda-setting study,"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91, No.4, pp.669-686, 2014. 

  21. L. Guo and M. McCombs, "Toward the third level of agenda setting theory: A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In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St. Louis, Missouri. 201, August1 

  22. C. E. Carroll, "Mapping the Contours of the Third Level of Agenda Setting," Uniplex, Duplex and Multiplex Associations, In The Power of Information Networks, pp.52-70, Routledge, 2015. 

  23. 김지화, 정영애, "역사교과서 국정화 신문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현상과 인식, 제40권, 제4호, pp.75-109, 2016. 

  24. S. D. Reese and L. H. Danielian, "A closer look at intermedia influences on agenda setting: The cocaine issue of 1986," Communication campaigns about drugs: Government, media, and the public, pp.47-66, 1989. 

  25.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White Plains, NY: Longman, 1996. 

  26. G. Golan, "Inter-media agenda setting and global news coverage: Assessing the influence of the New York Times on three network television evening news programs," Journalism studies, Vol.7, No.2, pp.323-333, 2006. 

  27. T. Atwater, F. Fico, and G. Pizante, "Reporting on the state legislature: A case study of inter-media agenda-setting," Newspaper Research Journal, Vol.8, No.2, pp.53-61, 1987. 

  28. E. M. Rogers and S. Chang, "Media coverage of technology issues: Ethiopian drought of 1984, AIDS, Challenger, and Chernobyl. Risky business:" Communicating issues of science, risk, and public policy, pp.75-96, 1991. 

  29. S. Allern, "Journalistic and commercial news values," Nordicom Review, Vol.23, No.1-2, pp.137-152, 2002. 

  30. H. M. Kepplinger and S. C. Ehmig, "Predicting news decisions. An empirical test of the two-component theory of news selection," Communications, Vol.31, No.1, pp.25-43, 2006. 

  31. R. Vonbun, K. K. V. Konigslow, and K. Schoenbach, "Intermedia agenda-setting in a multimedia news environment," Journalism, Vol.17, No.8, pp.1054-1073, 2016. 

  32. 이수상, "독후감 텍스트의 토픽모델링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7권, 제4호, pp.1-18, 2016. 

  33. J. Kim and Y. Min, "An issue attention cycle analysis of the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In Guo, L., and McCombs, M. (Eds.), "The power of information networks: New directions for agenda setting, Routledge, 2015. 

  34. C. J. Vargo, L. Guo, M. McCombs, and D. L. Shaw, "Network issue agendas on Twitter during the 2012 US presidential ele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4, No.2, pp.296-316, 2014. 

  35. C. J. Vargo and L. Guo, "Networks, big data, and intermedia agenda setting: An analysis of traditional, partisan, and emerging online US new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9, No.4, pp.1031-1055, 2017. 

  36. N. Weiss-Blatt, "Role of tech bloggers in the flow of information." In Guo, L., and McCombs, M. (Eds.), The power of information networks: New directions for agenda setting, Routledge. 2015. 

  37. M. Etter and A. Vestergaard, "Third Level of Agenda Building and Agenda Setting during a Corporate Crisis," In Guo, L., and McCombs, M. (Eds.). The power of information networks: New directions for agenda setting, Routledge, 2015. 

  38. 안정윤, 이종혁, "'네트워크 의제설정'의 출현: 뉴스 매체와 온라인 게시판 간 이슈 속성 네트워크의 유사성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3호, pp.365-394, 2015. 

  39. 임명수, 김남규, "비정형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이슈의 동적 변이과정 고찰," 지능정보연구, 제22권, 제1호, pp.1-18, 2016. 

  40. 김태종, 박상옥,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평생교육 토픽 분석:'03-'18년 지역매체 기사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5권, 제4호, pp.37-102, 2018. 

  41. D. Blei, L, Carin and D. Dunson, "Probabilistic Topic Models: A focus on graphical model design and applications to document and image analysis,"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27, No.6, p.55, 2010. 

  42. 남춘호, "일기자료 연구에서 토픽모델링 기법의 활용 가능성 검토," 비교문화연구, 제22권, 제1호, pp.89-135 2016. 

  43. K. Hornik and B. Grun, "topic models: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Vol.40, No.13, pp.1-30, 2011. 

  44.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 2014. 

  45. 송종길, "대구지하철 화재관련 뉴스보도 분석," 방송문화, 제262호, pp.18-21, 2003. 

  46. 이동훈, "뉴스수용자에 대한 포털뉴스의 의제설정효과 연구: 북핵보도 관련 종미신문의 의제전이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3호, pp.328-357, 2007. 

  47. 구교태, "매체 간과 매체 내 의제분석을 통한 뉴스획 일화 연구: 2000 년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에 관한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21권, pp.7-34, 2003. 

  48. S. Kweon, T. Go, B. Kang, M. Cha, S. Kim, and H. Kweon, "Study on Agenda-Setting Structure between SNS and News Focusing on Application of Network Agenda-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5, No.1, pp.10-24, 2019. 

  49. 김성해, "외국의 재난보도 시스템 : 미국, 영국, 일본 차분한 보도는 기본, 신뢰.정확성 최고 가치," 신문과방송, No.521, pp.10-14,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