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잡 크래프팅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Job Crafting: Focused on Empirical Studi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234 - 246  

김민지 (인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박용호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창의인재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통합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8월까지 KCI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적연구 61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용어번역, 측정도구와 하위요인 구성, 변인 활용, 선행변인, 결과변인 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는 2015년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양적인 확대가 이루어졌으며, 심리학, 인적자원개발학, 경영학, 관광학 등의 분야에서 발표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job crafting'에 대한 매우 다양한 용어번역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도구와 관련하여서는 Job Crafting Questionnaire, Job Crafting Scale 등이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잡 크래프팅은 국내의 양적연구에서 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변인 등으로 고르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끝으로 국내 연구에서는 총 48개의 선행변인과 29개의 결과변인이 잡 크래프팅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변인은 연구에 따라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모두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의 제언도 본 연구는 포함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studying on job crafting in Korea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studying on job craf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KCI indexed 61 empirical studies which are published by end of August 2019. Through the analyzing on thes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증 연구를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의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수집된 71편의 논문 중 양적연구(실험연구, 조사연구, 상관연구 등)만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국내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orea Citation Index, 이하 KCI)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job crafting’의 용어번역,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와 하위요인 구성, 잡 크래프팅 변인 활용(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변인, 조절변인 중), 잡 크래프팅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등을 분석하여 현재의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잡 크래프팅에 대한 국내의 양적 연구를 대상으로 통합적 분석을 통해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양적연구의 발표시기, 발표분야, 해당 변인의 용어사용, 측정도구, 관련변인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을 다룬 국내의 양적 연구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통해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양적연구의 발표시기, 발표분야, 해당 변인의 용어사용, 측정도구 등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양적연구에서 변인활용의 실태 및 관련변인(선행변인, 결과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의 동향 및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해외에서 비롯된 개념 중 번역이 어려운 경우 음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의미와 개념에 기초하여 적합한 우리말 번역을 찾는 것은 맥락을 고려한 학문적 개념에 대한 탐색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잡 크래프팅의 경우 심리학, 인적자원개발학, 경영학 등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우리 사회라는 공간적 맥락뿐만 아니라 학문적 맥락까지도 고려한 적절한 용어의 번역을 모색할 필요 가 있다는 점을 학문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 크래프 팅은 무엇을 강조하는가? Wrzesniewski와 Dutton은 잡 크래프팅이 개인의 주도적 행동이며, 이러한 주도적 행동을 하는 개인을 ‘잡 크래프터(job crafter)’라고 규정하였다. 잡 크래프 팅은 일의 의미를 강조하며 또한 개인의 자기주도성을 강조한다. 이는 조직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자신이 행하는 업무에서 의미를 추구하며 자신의 직무를 새롭게 설계해 나가기 때문이다.
잡 크래프팅이란 무엇인가? Wrzesniewski와 Dutton[5]은 잡 크래프팅을 ‘업무의 과업 및 관계 영역에서 개인이 만들어내는 물리적, 인지적 변화’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이들은 과업, 관계, 인지 영역이라는 잡 크래프팅의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 다.
잡 크래프 팅이 일의 의미와 개인의 자기주도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잡 크래프 팅은 일의 의미를 강조하며 또한 개인의 자기주도성을 강조한다. 이는 조직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자신이 행하는 업무에서 의미를 추구하며 자신의 직무를 새롭게 설계해 나가기 때문이다. Berg, Dutton, 그리고 Wrzesniewski[7]는 잡 크래프팅이 일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 Thousand Oaks, CA: Sage, 1976. 

  2. M. B. Arthur and D. M. Rousseau,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 L. A. Mainiero and S. E. Sullivan, "Kaleidoscope careers: An alternate explanation for the "opt-out" revolutio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9, No.1, pp.106-123, 2005. 

  4. K. L. Newman, "Sustainable careers: Lifecycle engagement in work," Organizational Dynamics, Vol.40, No.2, pp.136-143, 2011. 

  5.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6. C. W. Rudolph, I. M. Katz, K. N. Lavigne, and H. Zacher, "Job crafting: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 difference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02, pp.112-138, 2017. 

  7. J. M. Berg, J. E. Dutton, and A. Wrzesniewski,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In B. J. Dik, Z. S. Byrne and M. F. Steger (Eds.), Purpose and meaning in the workplace, pp.81-104, 2013. 

  8. B. E. Ghitulescu,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6. 

  9. M. Tims and A. B. Bakker,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outh African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6, No.2, pp.1-9, 2010. 

  10. C. Leana, E. Appelbaum, and I. Shevchuk, "Work process and quality of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ole of job craft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6, pp.1169-1192, 2009. 

  11. 강나율, 김민영, 박성민, "공무원의 직업가치인식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9권, 제1호, pp.197-234, 2019. 

  12. 김영중, 정윤조,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 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22권, 제3호, pp.87-105, 2019. 

  13. G. R. Slemp and D. A. Vella-Brodrick,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Vol.3, No.2, pp.126-146, 2013. 

  14. C. Niessen, D. Weseler, and P. Kostova, "When and why do individuals craft their jobs? The role of individual motivation and work characteristics for job crafting," Human Relations, Vol.69, No.6, pp.1287-1313, 2016. 

  15.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16. M. Tims, A. B. Bakker, and D. Derk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0, pp.173-186, 2012. 

  17. K. Nielsen and J. S. Abildgaar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job crafting measure for use with blue-collar workers," Work and Stress, Vol.26, No.4, pp.365-384, 2012. 

  18. P. Petrou, E. Demerouti, M. C. Peeters, W. B. Schaufeli, and J. Hetland, "Crafting a job on a daily basis: Contextual correlates and the link to work engage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3, No.8, pp.1120-1141, 2012. 

  19. 배을규, 박세규, 이민영,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셀프리더십과 변화 몰입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평생교육.HRD 연구, 제15권, 제2호, pp.125-151, 2019. 

  20. 이정미, 강희경, 최수형, "일과 생활의 균형(WLB) 지각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5권, 제5호, pp.81-101, 2018. 

  21. 정희영, 정윤, "핵심역량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제32권, 제3호, pp.357-386, 2015. 

  22. 채연주, "직무 빚어내기를 통한 혐오노동의 정상화: 청소노동자의 정체성 형성," 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3호, pp.7-41, 2015. 

  23. 임수원, 최애경, "비서직 종사자의 잡 크래프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8권, 제2호, pp.117-145, 2019. 

  24. 임명기, 하유진, 오동준, 손영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21권, 제4호, pp.181-206, 2014. 

  25. 조주연, 김명소,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생애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46, 2015. 

  26. 이승윤, 고성훈, "공유된 긍정 정서(Shared Positive Affect)의 기제,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한 고찰 및 긍정 조직학(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에의 적용," 인사조직연구, 제25권, 제3호, pp.159-192, 2017. 

  27. 장경원, 고수일,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생들의 잡크래프팅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3호, pp.989-1012, 2018. 

  28. 홍아정, 조윤성,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배태성 간 구조적 관계," HRD연구, 제20권, 제2호, pp.51-85, 2018. 

  29. 강혜선, 서배배, 구자숙,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과 일 관련 결과에 대하여: 자발적 직무변화의 통합적 모형," 노동정책연구, 제15권, 제3호, pp.29-61, 2015. 

  30. 나기현, "잡크래프팅, 성과몰입, 직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전문경영인연구, 제21권, 제4호, pp.439-460, 2018. 

  31. 조성인, 송해덕, "HRD담당자의 직무특성과 업무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Job Crafting)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제18권, 제1호, pp.327-352, 2016. 

  32. 민희경, 이지혜, 오상진,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이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 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239-269, 2018. 

  33. 김준환, 이항, "영업사원의 잡 크래프팅과 적응적 판매행동이 직무만족 및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135-158, 2017. 

  34. 최수형, 이정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제38권, 제2호, pp.47-66, 2019. 

  35. 유민희, 임두헌, 김우철, 조대연,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between job expectations, job crafting, and intention to stay," 역량개발학습연구, 제13권, 제4호, pp.1-29, 2018. 

  36. 김명소, 이민주,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67-176, 2017. 

  37. 권나영, 김민수, 오인수, "직무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개선과 일 열의의 개인내-개인간 다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4호, pp.573-590, 2016. 

  38. 신인용 "개인, 직무, 관계 측면에서의 결정요인이 직무 크래프팅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 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pp.107-125, 2015. 

  39. E. W. Morrison and C. C. Phelps, "Taking charge at work: Extrarole efforts to initiate workplace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2, No.4, pp.403-419, 1999. 

  40. 강혜선, 최금용, 구자숙, "잡 크래프팅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일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20권, 제1호, pp.1-26, 2017. 

  41.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11-623,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