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593 - 602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The healthcare industry, a high-value-added business, continues to grow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s being pushed by advanced countries. Korea is also actively supporting projects to attract i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헬스케어 산업의 특징은? | 헬스케어 산업은 고부가가치사업으로써 세계 각국들이 전략적인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특히 헬스케어 산업 중 의료관광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추세에 있다. 우 리나라도 새로운 경쟁질서 속에서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을 선정하여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1]. | |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의 응시자격은? |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은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고, 1차 필기시험, 2차 구술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필기시험은 객관식이며, 2차 구술시험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구술 녹취가 실시된다. | |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의 시험 방식은? |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은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고, 1차 필기시험, 2차 구술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필기시험은 객관식이며, 2차 구술시험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구술 녹취가 실시된다. 2차 구술시험은 1차 필기시험합격자에 한하여 응시 가능하며, 1차 필기시험 합격자는 다음연도 1차 필기시험이 면제된다. |
관계부처 합동,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종합계획, pp.1-9, 2016.
김대현, 의료관광 전문인력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5, 2015.
보건복지부, 2018 보건복지백서, pp.818-836, 2019.
신태섭, "한국 의료기관의 블라디보스톡 자유항 진출에 관한 연구," 의료법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236-237, 2016.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년 외국인환자 유치 현황 보도자료, pp.1-11, 2019.
곽중철, "2009년 한국 제1기 의료통역사 교육 사례 연구," 번역학연구논문지, 제11권, 제1호, pp.38-39, 2010.
이지은, 장애리, 최문선, 허지운, "한국내 외국인을 위한 통역 서비스 현황에 대한 소고,"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8권, 제4호, pp.177-178, 2014.
이지은, "커뮤니티 통역사의 역할에 관한 논의," 통역과 번역논문지, 제17권, 제1호, pp.96-97, 2015.
이황, 이원재, 최광일, "외국인환자의 국내 병원 서비스 이용 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24-331, 2013.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년도 외국인환자 만족도 결과 보고서 , pp.16-18, 2019.
전미 의료통역사 협의회, 미국 의료통역사 윤리강령, pp.22-23, 2004.
김상현, 박형욱, "국내 판례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예방대책 연구: 외국인환자 의료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110-111, 2012.
동아일보, "외면당하는 의료통역사,"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201/25856857/2, 2019.10.09.
황지연, "한국형 의료통역에 관한 소고,"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9권, 제1호, pp.121-122, 2015.
이승재,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의료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2권, 제3호, pp.396-397, 2014.
정철자, "의료통역 교재내용 구성을 위한 의료담화 사례연구," 번역학연구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88-289, 2015.
Guidelines for Community Interpreting(ISO 13611 : 201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tation, 2014.
김나제스다, "의료대화와 의료통역: 대화의 비대칭성에 따른 환자의 저항반응 관행 비교,"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6권, 제3호, pp.65-66, 2012.
김기영, "외국인환자의 진료와 의료책임에 대한 고찰: 의료수준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위험에 따른 특수성을 중심으로," 인권과정의논문지, 통권396호, pp.52-53, 2009.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논문지, 제21권, 제2호, pp.112-113, 2019.
곽순례, "아랍어 의료통역사와 아랍 해외환자 간의 갈등 연구: 의사 소통과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아랍어와아랍문학논문지, 제20권, 제3호, pp.130-131, 20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