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용-전념치료(ACT)가 알코올중독자의 심리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및 회복에 미치는 효과 연구
Effects of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roup Program (ACT) on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Self-Compassion, and Recovery in Alcohol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604 - 614  

이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집단프로그램을 알코올중독자들에게 적용하여 심리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및 알코올중독 회복에 미치는 효과들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수용과 기꺼이 경험하기, 인지적 탈융합, 맥락적 자기, 현재순간 접촉, 가치명료화, 전념행동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ACT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심리적 유연성 증진뿐만 아니라, 자기-자비와 알코올중독자 회복 향상을 기대하였다.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의존 환자 중 수용-전념 치료(ACT) 실험집단에 15명, 약물치료만 하는 TAU 통제집단과 CBT 통제집단에 동일하게 15명씩 참여하였다. ACT 집단프로그램은 주 1회, 8회기, 매 회기 90분으로 진행되었다. 수용-전념치료(ACT)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들의 사전, 사후 및 추후 측정치 평균들을 대상으로 반복 측정 다변량 분산분석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수용 및 경험하기, 인지적 탈융합, 현재순간 자각, 마음 챙김, 전념행동과 같은 심리적 유연성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자기-자비와 알코올중독자 회복 효과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program (ACT) on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self-compassion, recovery in alcohol dependents. The ACT program contains skills that establish acceptance and willingness, defusion, self-as-context, contact wi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CT 집단프로그램 효과 측정치가 집단 간에 유의미하였기에 어떠한 효과 기제가 작동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프로그램 효과 기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효과 측정치인 자기-자비(SCS), 알코올중독자 회복(CAS)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매개 변인으로 가정되는 세 과정 측정치(수용 및 기꺼이 경험하기(AAQ-Ⅱ), 마음챙김(K-KIMS), 자동적 사고 부정형-믿음(ATQ-N))를 공변인(covariate)으로 투입하여 세 측정 시기별로 반복측정 다변량 공분산분석(Repeated Measure MANCOVA)을 수행하였다.
  • 사후 3, 6개월 이상 시점까지 추후조사를 통해 ACT 프로그램 효과가 지속되는지 연구하지 못한 것이다. ACT 프로그램은 수용 및 마음 챙김 과정, 가치 선택과 행동변화 전념 과정을 훈련하는 행동 치료적 성격이 강하기에 재발관련 종단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T)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알코올중독자들의 심리적 유연성 효과를 검증하고 이들의 자기-자비 및 알코올중독자 회복 효과에 대한 ACT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 척도는 37문항, 5점 척도로 평정되며 주의집중, 기술, 집중 행동, 수용 4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K-KIMS를 활용하여 수용-전념치료 효과인 심리적 유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내적 합치도는 .
  •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이하 ACT) 집단프로그램의 심리적 유연성 효과와 자기-자비, 알코올중독자 회복에 대한 ACT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를 검증하였다.
  • 수용-행동질문지Ⅰ(AAQ-Ⅰ)은 Hayes와 동료들[30]에 의해서 생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기꺼이 행동하고자 하는 정도를 측정하고자 개발하였다. Bond 외[31]가 AAQ-Ⅰ의 문항수를 적게 하고 내적 일치도를 향상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중독자가 경험하는 것은? 알코올중독자는 알코올에 대한 내성, 금단 증상 등 생리적 변화로 인한 치명적 결과를 초래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알코올 소비와 조절력 상실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의존 상태를 경험한다[1]. 알코올중독은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재발률이 높기에[2][3], 그 치료가 쉽지 않다.
알코올중독이 치료가 쉽지 않은 이유는? 알코올중독자는 알코올에 대한 내성, 금단 증상 등 생리적 변화로 인한 치명적 결과를 초래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알코올 소비와 조절력 상실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의존 상태를 경험한다[1]. 알코올중독은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재발률이 높기에[2][3], 그 치료가 쉽지 않다. 관련 외국 연구를 보면, 퇴원한 알코올중독 환자들 중 퇴원 후 3개월 이내에 50-60%가 재발하며[4][5], 국내 연구에서는 퇴원 후 3개월 이내 82.
처음에는 도박, 약물, 알코올, 니코틴이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회피하거나 없애는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엄청난 고통과 아픔의 결과를 낳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독자들은 어떤 대가를 치르는가? 처음에는 도박, 약물, 알코올, 니코틴이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회피하거나 없애는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엄청난 고통과 아픔의 결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독자들은 이렇게 원치 않는 생각이나 감정들-지루함, 외로움, 근심, 죄책감, 분노, 슬픔 등-에 접하면 자동적으로 이를 없애거나 회피하려는 통제 전략을 고집하게 되지만, 그 고통을 더 증폭시키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4rh edition Text Revised). Washinton DC, 1994. 

  2. 조연수, 한은선, 노재우, "일 정신병원에서의 알코올의존 입원환자의 재발방지 약물 처방 경향,"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제15권, 제2호, pp.50-57, 2011. 

  3. 손동균, "알코올중독의 재발요인과 재발빈도의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1호, pp.61-90, 2014. 

  4. S. A. Brown, P. W. Vik, T. L. Patterson, I. Grant, and M. A. Schukkit, "Stress, vulnerability and adult alcohol relaps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56, No.5, pp.538-545, 1995. 

  5. D. E. Donovan and E. F. Chaney, Alcoholic relaps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odels and methods. In G. A. Marlatt & J. R. Gordan (Eds.), Relapse Prevention; Maintenance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Addictive Behavior, NY: Guilford Press, pp.351-416, 1995. 

  6. 김종성, 박병강, 조영채, 오미경, 김갑중, 오장균, "알코올의존 환자들의 병식 상태와 퇴원 후 1년간 단주성적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제22권, 제7호, pp.1052-1066, 2001. 

  7. H. M. Annis and C. S. Davis, "Relapse prevention," Journal of Alcohol Health and Research World, Vol.15, No.3, pp.204-212, 1991. 

  8. V. Agoist, "The efficacy of controlled trials of alcohol misuse treatments in maintaining abstinence: a meta analysi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Vol.29, No.6, pp.759-769, 1994. 

  9. R. Harris, The Happiness Trap: Stop Struggling, Start Living , Wollombi, NSW, Australia: Exisle Publishing, 2007. 

  10. R. Harris, ACT with Love, Oakland, CA: New Harbinger, 2009. 

  11. P. A. Bach and S. C. Hayes,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prevent the rehospitalization of psychoti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 Clin Psychol, Vol.70, No.5, pp.1129-1139, 2002. 

  12. 최덕자, 김성재, "정신건강문제를 중재한 수용전념치료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스트레스연구, 제25권, 제2호, pp.75-85, 2017. 

  13. S. Armeli, H. Tennen, M. Todd, M. A. Carney, C. Mohr, G. Affleck, and A. Hromi, "A Daily Process Examination of the Stress-Response Dampening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17, No.4, pp.266-276, 2003. 

  14. J. P. Forsyth, J. D. Parker, and C. G. Finlay, "Anxiety sensitivity, controlla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ir relation to drug of choice and addiction severity in a residential sample of substance-abusing veterans," Journal of Addictive Behaviors, Vol.28, No.5, pp.851-870, 2003. 

  15. S. C. Hayes, A. Masuda, R. Bissett, J. Luoma, and L. F. Guerrero, "DBT, FAP, and ACT: How empirically oriented are the new behavior therapy technologies?," Journal of Behavior Therapy, Vol.35, pp.35-54, 2004. 

  16. 김동구, 송향주 역, 수용전념치료 핵심과 적용,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4. 

  17. S. C. Hayes, K. D. Strosahl, and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The process and practice of mindful change (2nd edition). New york : Guilford, 2012. 

  18. G. H. Eifert, J. P. Forsyth, and J. Arch et al.,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Three case studies exemplifying a unified treatment protocol," Journal of Cogn Behav Pract, Vol.16, No.4, pp.368-385, 2009. 

  19. J. Kingst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process and outcome: A systematic evaluation of ACT for treatment resistant patients, University of Southampton; Southampton, Doctoral dissertation, 2008. 

  20. S. C. Hayes, K. G. Wilson, E. V. Gifford, R. Bissett, M. Piasecki, S. V. Batten, M. Byrd, and J. Gregg, "A preliminary trial of twelve-step facilitation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ith polysubstance-abusing methadone-maintained opiate addicts," Journal of Behavior Therapy, Vol.35, No.4, pp.667-688, 2004. 

  21. 손정락, 이금단 역, 수용전념치료 실무지침서, 학지사, 2015. 

  22. A. J. Budney, S. T. Higgins, W. K. Bickel, G. J. Badger, F. E. Foerg, and D. Ogden, "Outpatient behavioral treatment for cocaine dependence: One-year outcome, In G. A. Marlatt & G. R. VandenBos (Eds.), Addictive behaviors: Readings on etiology, prevention, and treatment" (pp.629-645), (Reprinted from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Vol.3, pp.205-212, 1995), Washington, DC, US: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23. S. C. Hayes and K. D. Strosahl,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pringer US, 2004. 

  24. 조연정, 손정락, "수용전념치료(ACT)가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 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3호, pp.445-464, 2013. 

  25. 이정화, 손정락, "수용-전념 집단 치료가 알코올중독 입원환자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경험회피 및 인지적 융합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1호, pp.41-50, 2013. 

  26. 정나래, 이민규, "수용전념치료가 알코올의존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9권, 제4호, pp.909-927, 2014. 

  27. 손정락, 최명심 역, 자비의 과학, 불광출판사, 2018. 

  28. 최영희, 유은승, 최지환 역, 수용전념치료 배우기, 학지사, 2012. 

  29. 전수미, 회복패러다임에 근거한 알코올의존 회복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0. S. C. Hayes, K. Strosahl, K. G. Wilson, R. T. Bissett, J. Pistorello, D. Toarmino, M. A. Polusny, T. A. Dykstra, S. V. Batten, J. Bergan, S. H. Stewart, M. J. Zvolensky, G. H. Eifert, F. W. Bond, J. P. Forsyth, M. Karekla, and S. M. Mccurry, "Measuring expero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 Journal of Psychological Record, Vol.54, pp.553-578, 2004. 

  31. F. W. Bond, S. C. Hayes, R. A. Baer, K. M. Carpenter, N. Guenole, H. K. Orcutt, T. Waltz, and R. D. Zettle,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iare - 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Journal of Behavior Therapy, Vol.42, pp.676-688, 2011. 

  32. S. D. Hollen and P. C. Kendall, "Cognitive self-statements in depression: Development of an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4, No.4, pp.383-395, 1980. 

  33. 권석만, 윤호균, "한국판 자동적 사고 척도의 개발과 활용," 학생연구, 제29권, 제1호, pp.10-25, 1994. 

  34. 이선영, 수용-전념 치료에서 과정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5. K. D. Nef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m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Journal of Self and Identity, Vol.2, pp.223-250, 2003. 

  36.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4호, pp.1023-1044, 2008. 

  37. D. Kressel, G. De Leon, M. Palij, and G. Rubin, "Measuring Client clinical progress in therapeutic community treatment. The therapeutic community Client Assessment Inventory, Client Assessment Summery, and Staff Assessment Summery,"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19, No.3, pp.267-272, 2000. 

  38. 차진경,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의 회복과정, 변화단계 및 혈청 Cortisol 농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9. 이영선, 김수연,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척도 CAS(Client Assessment Summary) 한국어판의 타당도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7권, 제11호, pp.386-394, 2016. 

  40. T. B. Kashdan and J. Q. Kane, "Post-traumatic distress and the presence of post-traumatic growth and meaning in life: Experiential avoidance as a moder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pp.84-89, 2010. 

  41. C. K. Germer, Cultivating compassion in psychotherapy, In C. Germer & R, 2012. 

  42. M. R. Leary, E. B. Tate, C. E. Adams, A. B. Allen, and J. Hancock,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5, pp.887-904, 2007. 

  43.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 2019.11.15 

  44. 문현미 역, 우울증을 위한 ACT, 학지사, 2013. 

  45. 김민경, 병적 도박의 위험요인 탐색 : 성격과 동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6. 오승헌, 한창우, 서정석, 조근호, 이해국, 윤홍균, 최삼욱, 김현수, 이보혜, 이계성, "한국형 중독 치료지침서(III): 알코올사용장애의 정신사회 치료,"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53권, 제4호, pp.221-227, 2014. 

  47. 기선완, "알코올 의존에 대한 최근 정신사회 치료적 접근," 신경정신의학지, 제43권, 제6호, pp.646-651, 2004. 

  48. 신양호, "12단계촉진치료가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전문가협회 제2회 학술대회, 2008. 

  49. 신성만, 원정옥,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동기강화 상담,"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69-84, 2008. 

  50. Kelly G. Wilson, "Core principles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application to anorexia," Journal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Vol.9, No.3, pp.237-243, 2002. 

  51. P. Gilbert, The compassionate mind : A new approach to life's challenges, London : Constable and Robinson, 2009a. 

  52. 이호영, 이종섭, 김석산, 이무형, 채숙희 공역, 중독성 사고, 하나의학사, 2009. 

  53. 최미란, 조희선,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76-589,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