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afety Consciousn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151 - 163  

김지훈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조업 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여, 제조업 근로자들이 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등록된 서울·경기지역 176개 산업단지 중, 한국수출산업단지, 서울 온수단지 등 50개 산업단지 제조업체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의 실시는 2019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제조업체의 중간관리자와 환경안전보건 관리자 등을 통해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되었다고 판단된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282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와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s of manufacturing workers, and to suggest ways for manufacturing workers to understand the safety culture and improv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To achieve this r...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18)

  1.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9.30. 

  2. S. H. An and Z. Zhang "Improving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14, No.5, pp.454-455, 2014. 

  3. Ciavarell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uman Factors Checklist for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Forum-International Society of Aia safety investi, Vol.23 No.4, 1996. 

  4. International Relations Team, nternationa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s, CCPS, 2015. 

  5. H. S, KW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by Workplace Size and Work Type in the Group Compan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32, No.6, pp.125-130, 2017(12). 

  6. M. Y.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Culture for Safety Performance, University Of Myongji, 2017. 

  7. S. K. LEE, C. B. PARK, and Y. S. YEON, "Research about Researcher's Safety Ethnic Level and Improvement Extent of Safety Culture, Based on Organizational Safety Eff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30, No.3, pp.123-134, 2015(6). 

  8. J. Y. LEE, Effects of education which is an element of the safety culture on the enterprises' safety atmosphere and safety behavior of employee, University of Hansung, 2016. 

  9. S. K. LEE,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for Evaluating Nuclear Safety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30, No.4, pp.174-180, 2015(8). 

  10. M. S. JAE,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nsciousness level in Construction site on Workers' Safety Behavior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11. S. J. OH,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13. 

  12. B. T. AHN,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of railway workers : focused on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Kyung Hee University, 2017. 

  13. J. E. LEE,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Hannarae, pp.38-40, 2017. 

  14. I. G. Hong and J. B. Baek, "Towards an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J. Korean Soc. Saf., Vol.31, No.1, pp.121-122, 2016. 

  15. W. C. Choi,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Workplace Safety Culture, University of Incheon, p.6, pp.12-14, pp.60-61, 2011. 

  16. K. J. LEE,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pp.347-358, 2016. 

  17. T. Lee and K. Harrison, "Assessing Safety Culture in Nuclear Power Stations," Safety Science, Vol.34, pp.61-97, 2000. 

  18. A. Neal and M. A. Griffin,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 pp.946-953,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