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에 따른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novative SME CEO Types on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215 - 228  

김지훈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CEO의 유형에 따른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특성에 따라 CEO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기부에 등록된 혁신형 중소기업 250사(社)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 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장중심형 CEO, 기술형 CEO,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 감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리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은 기술혁신역량의 R&D기술 소화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형 CEO와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관리형 CEO와 시장형 CEO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형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icro-analyzed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type of CEO, with innovative SMEs being subject to research. In addition, the impact of CEO type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he impa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were studied to...

주제어

표/그림 (2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EO유형이란? CEO유형은 어느 한 경영자를 다른 경영자들과 구별 되어지는 불변이거나 혹은 단시일 내에 변하지 않는 그 사람 고유의 내적․외적 성질이나 속성을 의미한다[9].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전략성과의 연구에서 CEO의 유형은 창업년수, 종업원수, 기술수준에 따라 반응형, 방어형, 공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중소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기술혁신전략유형과 성과와의 관계를 CEO유형과 연관하여 규명 하였다[10].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전략성과의 연구에서CEO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CEO유형은 어느 한 경영자를 다른 경영자들과 구별 되어지는 불변이거나 혹은 단시일 내에 변하지 않는 그 사람 고유의 내적․외적 성질이나 속성을 의미한다[9].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전략성과의 연구에서 CEO의 유형은 창업년수, 종업원수, 기술수준에 따라 반응형, 방어형, 공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중소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기술혁신전략유형과 성과와의 관계를 CEO유형과 연관하여 규명 하였다[10].
혁신형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를 구분하시오 혁신형 중소기업은 성장단계를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8]. 먼저 창업단계는 사업구상과 개발단계로서 핵심 과제는 제품개발, 적절한 자금 확보, 시장기회 포착에 있다. 둘째, 상업단계는 개발된 제품의 시장도입이며, 적절한 생산설비의 취득, 판매량 구축, 자금조달이 주요 경영문제이다. 셋째, 성장단계는 매출액 증대와 조직성장에 따른 고용인력 확보가 주요 과제이며, 수익과 더불어 제품생산과 판매에 대한 자원배분과 관리가 중요하다. 마지막 성숙단계는 안정화 단계로 회사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새로운 사업기회와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곽수일, 장영일, "중소기업의 기술네트워킹과 혁신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0권, 제2호, pp.51-71, 2016. 

  2. 유세준, "디지털시대의 지방 중소기업의 육성 방안,"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1호, pp.267-286, 2016. 

  3. 임헌욱, 중소기업의 흡수능력에 대한 기술이전 효과,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4. J. R. Baum, "The Relation of Traits, Competences, Vision, Motivation, and Strategy to Venture Grow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aryland, 2018. 

  5. 장영순, 김주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특성과 성장단계에 따른 애로요인의 실증적 연구," 산업공학, 제20권, 제3호, pp.418-426, 2017. 

  6. 홍운선, "하이테크 산업에서 혁신활동과 기업성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1-9, 2018. 

  7. 양현봉, 조덕희, 박종복, 창업기업의 행태 및 성과 분석, 연구보고서, 산업연구원, 2018. 

  8. F. Damanpour, "Organizational innovation : A meta-analysis of effect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 pp.555-590, 2017. 

  9. 김경식, 벤처기업가의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10. G. N. Chandler and S. H. Hawks, "Market Attractiveness Resource-Based Capabilities, Venture Strategies, and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9, pp.331-349, 2017. 

  11. 김상오, 윤선희, 장원교, "중소기업에서 기술기반역량.실행역량.사업화역량이 기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29권, 제6호, pp.257-278, 2018. 

  12. J. Schumpeter,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arper, 2012. 

  13. 류구희, CEO유형과 시장의 이동관계 모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6. 

  14. D. J. Teece, G. Pisano, and A. Shuen,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8, pp.509-533, 2017. 

  15. 김선영, 이병헌, "산학연 기술협력과 흡수 능력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양향,"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제3권, pp.37-64, 2017. 

  16. P. Geroski, S. Machin, J. V. Reenen, "The profitability of innovating firms,"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24, pp.198-211, 1993. 

  17. D. Hicks and D. Hegde, "Highly innovative small firms in the markets for technology," Research Policy, Vol.34, No.5, pp.703-716, 2015. 

  18. L. E. Westphal, L. Kim, and C. Dahlman, Reflections on the Republic of Korea's Acquisi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y, Praeger, 2016. 

  19. 윤현덕, 서리빈,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19권, 제1호, pp.111-144, 2016. 

  20. 김영배, 하성욱,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실증조사 :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기술혁신연구, 제8권, 제1호, pp.125-153, 2017. 

  21. 김영조, "기술협력 활동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4권, 제5호, pp.1365-1390, 2015. 

  22. F. Damanpourn and W. M. Eva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the problem of Organizational La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9, pp.392-409, 1984. 

  23. M. S. Freel, "Corporate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change through investor's eyes,"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Vol.46, pp.36-43, 2000. 

  24. 신진교, "경쟁전략,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전략경영연구, 제5권, 제1호, pp.1-26, 2017. 

  25. R. A. Burgelman, C. M. Christensen, and S. C. Wheelwright,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Fifth edition, McGraw-Hill, 2016. 

  26. 김홍철, 이선규,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단계별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디지털 융.복합연구, 제12권, 제10호, pp.1-20, 2018. 

  27. 박철민, "중소제조기업 연구개발비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01-125, 2014. 

  28. M. I. Kamien and N. L. Schwartz, Market structure and innovation,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9. 조기영, 백낙기, 장영순, "기술경영활동수준, 기술혁신역량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창업성장기술개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안전경영과학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43-352, 2015. 

  30. 박철민, 윤병섭, "한국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환경 및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pp.5-31, 2014. 

  31. 전경구, "산.학 협력형 기술혁신모형에 있어서 기업의 참여요인과 참여효과," 국토계획, 제36권, 제5호, pp.241-260,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