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erformance Analysis of Implementation on IoT based Smart Wearable Mine Detection Device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4 no.12, 2019년, pp.51 - 57  

Kim, Chi-Wook (IoT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뢰탐지 방법은 다양하나 통상 야전에서는 육안탐지, 탐침에 의한 탐지, 탐지기에 의한 탐지, 기타탐지 방법 등으로 지뢰를 탐지하며, 탐지기에 의한 탐지방법은 GPR센서를 이용한 탐지기로 금속탐지는 가능하나 비금속탐지가 곤란하며, 탐지를 실시한 곳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을 구분할 수 없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센서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지 않거나, 너무 빨리 움직이는 경우 지뢰를 정확히 탐지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방향 초음파 센싱 신호를 이용한 지뢰탐지 오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uman Body 안테나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부, 스마트안경부, 바디장착형 LCD모니터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벨트형 전원공급부, 블랙박스 카메라부, 보안통신 헤드셋부로 구성한 스마트 웨어러블 지뢰탐지 장치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도 지하에 있는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론, 실험환경 구성, 시뮬레이션 분석, 결론 순으로 구성 하였으며, 서론에서는 지뢰, 지뢰 탐지기, 연구진행 등 연구내용을 소개 하고, 실험 환경 구성은 야전과 동일한 환경과 매설방법을 기초로 M14폭풍형 대인지뢰, M16A1파편형 대인지뢰, M15 및 M19대전차 지뢰, 지뢰와 유사한 플라스틱 병, 알루미늄 캔으로 구성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분석은 지뢰탐지 장치 구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매트랩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IoT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뢰의 탐지 성능을 확인한 후 IoT 기반 지뢰탐지 알고리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여 지하에 있는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IoT기반으로 입증하려고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IoT based smart wearable mine detection device. There are various mine detection methods currently used by the military. Still, in the general field, mine detection is performed by visual detection, probe detection, detector detection, and other detectio...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뢰탐지 장치는 GPR센서를 이용한 탐지기로 금속탐지는 가능하나 비금속탐지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방향 초음파 센싱 신호를 이용한 지뢰탐지 오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uman Body 안테나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부, 스마트안경부, 바디장착형 LCD모니터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벨트형 전원공급부, 블랙박스 카메라부, 보안통신 헤드셋부로 구 성한 스마트 웨어러블 지뢰탐지 장치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도, 지하에 있는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 제2장의 실험구성 환경을 기초로 IoT 기반, 지뢰탐지 장치 구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매트랩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은 실제 지뢰 매설 한경을 가정하여 진행되었으며, IoT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뢰의 탐지성능을 확인하려고 한다.
  • 따라서 이러한 단방향 초음파 센싱 신호를 이용한 지뢰탐지 오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uman Body 안테나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부, 스마트안경부, 바디장착형 LCD모니터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벨트형 전원공급부, 블랙박스 카메라부, 보안통신 헤드셋부로 구 성한 스마트 웨어러블 지뢰탐지 장치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도, 지하에 있는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은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제2장에서는 실험 환경 구성으로 야전과 동일한 환경과 매설방법을 기초로 M14폭풍형 대인지뢰, M16A1 파편형 대인지뢰, M15 및 M19대전차 지뢰, 지뢰와 유사한 플라스틱 병, 알루미늄 캔으로 구성하였으며, 제3장은 지뢰탐지 장치 구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매트랩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IoT 신호를 생성 및 전송 하고,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뢰의 탐지 성능을 확인한 후 IoT 기반 지뢰탐지 알고리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여 지하에 있는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IoT기반으로 입증하고, 제4장에서는 결론으로 마무리를 지으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뢰지대 지뢰탐지란 무엇인가? 지뢰지대 지뢰탐지는 지뢰의 위치를 확인하는 활동을 말하며, 이는 각종 정찰활동, 첩보수집, 지뢰지대 극복 및 제거와 연계되어 이루어진다. 탐지방법은 다양하나 통상 야전에서는 육안탐지, 탐침에 의한 탐지, 탐지기에 의한 탐지와 기타탐지 방법 등이 있다.
모의실험을 위한 지뢰탐지 실제 환경 구성은 어떤 식으로 했나? 적군이 오는 방향을 가정하고 전방에는 M16A1파편형 대인지뢰, 플라스틱 병, 알루미늄 캔을 55cm 간격으로 매 설 하였고, 양 옆에는 M14폭풍형 대인지뢰, M16A1파편형 대인지뢰를 매설하였으며, 그 후방으로 M19대전차지뢰 또 는 M15대전차지뢰를 매설하였다. 본 지뢰 매설 구성은 실 제 기본형지뢰지대를 매설하는 지뢰군으로 지뢰밀도를 1:2:1로 실제 환경에 맞게 구성하였고, 지뢰 매설지역은 적군의 이동 경로인 2 ~ 3부 능선인 야산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적군의 이동경로를 가정하여 이곳에 대전차지뢰와 대인지뢰, 지뢰와 비슷한 재질인 플라스틱 병, 알루미늄 캔을 매설 하고자 한다. 매설할 지뢰는 실험의 안정성을 강구하기 위해 실제 대전차지뢰가 아닌 훈련용 대전차지 뢰로 훈련용이기는 하나 실제 크기와 재질은 실물과 같고 지뢰에 기폭제가 제거 되어 있어 지뢰탐지 실험을 하더라 도 실제 지뢰를 탐지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GPR센서를 이용한 탐지기의 문제점은? 현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뢰탐지 방법은 다양하나 통상 야전에서는 육안탐지, 탐침에 의한 탐지, 탐지기에 의한 탐지, 기타탐지 방법 등으로 지뢰를 탐지하며, 탐지기에 의한 탐지방법은 GPR센서를 이용한 탐지기로 금속탐지는 가능하나 비금속탐지가 곤란하며, 탐지를 실시한 곳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을 구분할 수 없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센서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지 않거나, 너무 빨리 움직이는 경우 지뢰를 정확히 탐지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방향 초음파 센싱 신호를 이용한 지뢰탐지 오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uman Body 안테나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부, 스마트안경부, 바디장착형 LCD모니터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벨트형 전원공급부, 블랙박스 카메라부, 보안통신 헤드셋부로 구성한 스마트 웨어러블 지뢰탐지 장치를 연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ungnam Kim,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ic," Kyobo Book Centre, PP.26-31, 2009 

  2. Hanwha System Company, "Hand-held landmine detector with image display," KR10-1140292, 2011.12.13, 2012.04.19 

  3. Hanwha System Company, "Hand-held landmine detector with image display," KR20-0462848, 2011.12.13, 2012.09.26 

  4. Hyundai-rotem, "MINE DETECTION METHOD USING MULTI-SENSOR," KR10-1387440, 2012.03.27, 2014.04.15 

  5.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Mine detector detachable and attachable to military shoes," KR10-1348989, 2012.03.21, 2014.01.02 

  6. Hanwha System Company, "Multi-polarization radar for landmine detec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37220, 2011.12.19, 2012.04.10 

  7. Chi-Wook Kim,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rrent Korean Army's Mine Detecto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5, pp.229-233, 2013 

  8. Hyundai-rotem, "PORTABLE MINE DETECTION DEVICE USING MOTION CAPTURE, THE METHOD," KR10-1329090, 2012.03.27, 2013.11.07 

  9. Youngjoong Yoon, "Antenna Theory and Design," Kyobo Book Centre, pp.70-127, 2014 

  10. Hyun-Jong Lee, Jong-Jae Lee, Nguyen Manh Tuan, Cristina Rosales, and Sung-Ho Choi, "Land Transpot and Maritime R&D Report," KAIA, 2015 

  11. Chi-Wook Kim, Kyong-Wan Koo, and Jae-Sang Cha, "A Study on Apparatus of Human Body Antenna for Mine Detec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2, pp.269-272, 2015 

  12. Chi-Wook Kim, Kyong-Wan Koo, and Jae-Sang Cha, "A Study on Apparatus of Smart Wearable for Mine Detec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2, pp.263-267, 2015 

  13. Hanyang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andmine based on IoT," KR10-1793787, 2015.11.30, 2017.10.30 

  14. Hyundai-rotem, "MINE DETECTION DEVICE HAVING ADJUSTABLE HEIGHT ALONG THE SURFACE LEVEL," KR10-13874420, 2012.03.27, 2014.04.15 

  15. Hyundai-rotem, "MINE DETECTION DEVICE, AND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1362234, 2012.03.27, 2014.02.06 

  16. Chi-Wook Kim, "A Study on the Smart Wearable Mine Detect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chnology, "Electronic-Controlled Landmine Detector," KR10-13968810, 2012.06.27, 2014.05.13 

  18. Byeong-Hu Oh, "Method of detecting and removing mines using drone," KR10-1832673, 2017.09.08, 2018.02.20 

  19. Hanwha System Company,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 wide band ground penetrating radar based land mine detection," KR10-2041198, 2019.05.24, 2019.10.31 

  20. Seung-Hwam Jung, "Small-Umanned Robot for detecting landmine," KR10-2019-0076465, 2017.12.2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