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균핵병과 뽕나무이의 약제 방제체계
Chemical Management Strategies for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on Fruit-Producing Mulberry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5 no.4, 2019년, pp.173 - 178  

최민경 (전북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김주희 (전북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장수지 (전북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전형권 (전북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병은 균핵병 등 5종, 해충은 뽕나무이 등 4종이 수확 전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균핵병과 뽕나무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약제 체계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체계처리 결과는 관행방제구의 방제효과가 66.7%이었던 반면 종합방제구는 89.3%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균핵병 예방을 위해 2월부터 순차적으로 약제를 처리하면서 4월 중하순에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방제하는 것이 방제에 필요한 노동력도 경감하고 병해충 발생생태에 맞춘 방제방법으로 오디 생산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our field investigation from 2017 to 2018, five diseases and four insect pest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primary biotic stressors of fruit-producing mulberry, which include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ve control effects of selected 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오디 생산용 뽕나무의 주요 병인 균핵병에 의한 피해는 20–30%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해충인 뽕나무이는 해마다 다발생하여 약충의 흡즙피해와 하얀 왁스물질을 분비하여 그 을음병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각의 병과 해충 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연구되었던 것을 벗어나 발생생태에 맞 춘 적기 방제와 노동력 절감을 통한 방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하여 균핵병과 뽕나무이에 대한 약제 방제체계를 설정하고 그 방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mulberry)가 최근에 주목받는 이유는? )의 열매이며 5–6월경에 검은색 또는 자홍색으로 성숙 하면 채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항염 증, 항당뇨, 고지혈증 개선 및 혈압저하 기능 작용(Kim 등, 1996, 1998)과 항산화 활성(Choi 등, 2012)과 같은 우수한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건강 기능성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로 오디의 생산성 향상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Sung 등, 2015). 오디 생산 용 뽕나무 재배면적, 생산량 및 생산액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데 2007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각각 744 ha, 2,050 M/T 이었으나 2018년에는 1,011 ha, 5,208 M/T으로 증가 되었으며 향후 오디 생산과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전북지역의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은? 오디 생산용 뽕나무의 주요 해충에 관한 발생생태 및 방제방 법에 관한 연구 또한 미흡한 실정인데 오리나무좀(Xylosandrus germanus), 뽕나무이(Anomoneura mori), 총채벌레류, 흰불나 방(Tetranychus urticae) 등이 발생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Kang, 2011). Lim 등(2017)은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33종의 해충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뽕나무총체벌레(Pseudodendrothrips mori), 뽕나무이,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뽕나무애바구미(Baris deplanata), 뽕나무가지 나방(Menophra atrilineata),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가 큰 피해를 준다고 보고하였다.
오디(mulberry)란 무엇인가? 오디(mulberry)는 뽕나무속(Moraceae), 뽕나무과(Morus alba L.)의 열매이며 5–6월경에 검은색 또는 자홍색으로 성숙 하면 채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항염 증, 항당뇨, 고지혈증 개선 및 혈압저하 기능 작용(Kim 등, 1996, 1998)과 항산화 활성(Choi 등, 2012)과 같은 우수한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건강 기능성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로 오디의 생산성 향상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Sung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I., Maeng, W.-Y., Lee, I.-E., Kim, S.-H., You, J.-W., Chang, K.-W. et al. 2013. Study on eco-friendly contro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s on mulberry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Korean J. Environ. Agric. 32: 338-342. (In Korean) 

  2. Choi, I.-S., Moon, Y.-S. and Kwak, E.-J. 2012.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0: 301-307. (In Korean) 

  3. Hong, S. K., Kim, W. G., Sung, G. B. and Nam, S. H. 2007a.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wo fungal species causing sclerotial disease on mulberry fruits in Korea. Mycobiology 35: 87-90. 

  4. Hong, S.-K., Kim, W.-G., Sung, G.-B., Nam, S.-H. and Kim, J.-S. 2007b. Aspects of popcorn disease occurrence on mulberry fruits in Korea. Res. Plant Dis. 13: 131-136. (In Korean) 

  5. Kang, S. S. 2011. Effect of rain shelter cultivationon increasing productivity and storability in mulberry fruit.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02 pp. (In Korean) 

  6. Kim, I. S. 2014. Selection of index plants and temperature factors for prediction of optimum chemical control time on popcorn disease of mulberry.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55 pp. (In Korean) 

  7. Kim, J.-H., Choi, I.-Y., Kim, J. and Lee, J.-H. 2017. Analysis of the cause of the twig blight on mulberry based on the weather conditions. Res. Plant Dis. 23: 283-287. (In Korean) 

  8. Kim, S. B., Jang, Y. S. and Kim, D.-S. 2015. Feeding effects of Halyomo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on fruit drop and decay rate in mandarin citrus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54: 121-125. (In Korean) 

  9. Kim, S. Y., Park, K. J. and Lee, W. 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6: 204-209. (In Korean) 

  10. Kim, T. W., Kwon, Y. B., Lee, J. H., Yang, I. S., Youn, J. K., Lee, H. S. et al.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In Korean) 

  11. Lim, J.-R, Moon, H.-C., Kim, D.-W., Kwon, S.-J., Han, S.-G. and Kwak, D.-O. 2017. Occurrences of insect pests on fruit-producing mulberry plant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Appl. Entomol. 56: 203-212. (In Korean)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Current State of Functional Sericulture Industr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16 pp. 

  13. Moon, H.-C., Lim, J.-R., Kim, D.-W., Kwon, S.-J., Han, S.-G. and Kim, J.-M. 2016. Seasonal occurrence and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mulberry sucker, Anomoneura Mori, on the mulberry grown for fruit production. Korean J. Appl. Entomol. 55: 383-388. (In Korean)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Application Guidelines for Crop Pest Monitoring and Contro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290 pp. (In Korean) 

  15. Sung, G. B., Kim, Y. S., Kim, K. Y., Ji, S. D. and Kim, N. S. 2015. Studies on mulberry tree years and mulberry fruit yield and mulberry popcorn disease and sales price. Korean J. Seric. Entomol. Sci. 53: 19-2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