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년 전라남도 고흥 유자나무 동해 발생에 대한 기상학적 구명
Agrometeorological Analysis on the Freeze Damage Occurrence of Yuzu Trees in Goheung, Jeonnam Province in 2018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5 no.2, 2019년, pp.71 - 78  

김경희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고영진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광형 (APEC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8년 전남 고흥군에서 발생한 유자나무의 집단 고사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 원인 조사를 위해 고흥군 풍양면에 있는 18개 유자 과수원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한 결과 과수원별 고사증상을 보인 나무의 비율은 평균 43.6%(7.5%~100% 피해율), 증상을 보인 나무 중 56.5%는 나무 전체가 완전 고사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사 증상을 보인 대부분의 유자나무에서는 동해의 전형적인 증상인 표피 안 형성층과 목부의 갈변, 잎눈과 꽃눈의 무 발아, 가지나 줄기에 쪼개짐 증상 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기상 조건과 유자나무의 고사 증상이 연관 되어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고흥지역의 과거 기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2017년 1월과 2월 고흥지역의 일평균 기온은 $-10^{\circ}C$ 이상이었으나, 2018년의 동 기간에는 $-10^{\circ}C$ 아래로 떨어진 날이 7일이나 되었다. 특히 2018년에는 1월과 2월에 유자의 내한성을 훨씬 넘어선 극최저기온(각각 $-12.6^{\circ}C$$-11.5^{\circ}C$)이 관측되었다. 또한 그해 3월 중순과 4월 초에 일 최저기온이 $13^{\circ}C$로 상승한 이상고온 직후 급격히 기온이 $0^{\circ}C$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2018년 겨울철에 기록적인 극최저기온과 이상고온에 이은 급격한 기온의 저하로 인한 동해가 고흥지역에 대발생한 고사증상의 주요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8, severe diebacks have occurred on yuzu trees cultivated in Goheung, Jeonnam Province. On-farm surveys at 18 randomly selected orchards revealed the dieback incidence ranged from 7.5% to 100% with an average of 43.6%, and 56.6% of the affected yuzu trees were eventually killed. In order to f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roebsting와 Mills (1972)에 따르면 동해는 낙엽 후 가을 기온에 반응하는 내한성(cold resistance) 발달 속도와 식물체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내한성이 유지되는 기간, 휴면기가 타파될 때 내한성을 잃는 속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유자나무 동해와 관련된 생리적 현상에 대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일별 최저기온의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고흥지역 유자나무에 대한 동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추정하였다.
  • 2018년 고흥군 주요 고소득 과수인 유자나무에 동해로 의심되는 심각한 고사(dieback) 증상이 발생하여 유자 재배농가에 커다란 피해가 발생하였고 재배농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자나무 고사 증상 발생실태조사를 수행하였고, 이상 기온 변동에 따른 동해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기상학적 분석을 통해 발생원인 구명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1년간의 겨울철 최저기온 평균값과 유자나무의 내한성 한계온도를 바탕으로 유자나무의 재배 적합지를 살펴보았고, 2018년 유자나무 고사증상과 기상조건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2018년 1월과 2월의 월별 극최저기온을 2000~2017년 같은 시기의 월별 극최저기온, 그리고 월별극최저기온에 대한 30년 평년값과 함께 비교했다.
  • 4°C 이상)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해 과수원조사를 통해 2018년에 발생한 대규모 고사증상이 동해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상분석을 통해 좀 더 자세한 원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자기 최저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면 동해 한계온도보다 높은 기온에서도 동해를 받을 수 있는 이유는? 또한 이상난동에 의해 따뜻한 기온이 계속되다가 갑자기 최저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면 동해 한계온도보다 높은 기온에서도 동해를 받을 수 있다. 따뜻한 기온으로 인해 유자나무의 탈 휴면이 순간적으로 가속화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취약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유자(Citrus junos Sieb)란? 유자(Citrus junos Sieb)는 운향과(Rutaceae) 감귤속(Citrus)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과수로 우리나라 남해안지방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전통적인 과실수이다. 유자의 재배역사는 통일신라까지 거슬러 올라갈 만큼 오랫동안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어 왔다.
국내에 보고된 유자 주요 병으로는? 국내에 보고된 유자 주요 병으로는 검은점무늬병(melanose), 수지병(gummosis), 갈색줄무늬오갈병(stem pitting), 탄저병(anthracnose), 역병(phytophthora blight) 등이 있으며(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유자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총 5목 21과 40종이 보고되었지만 그 중에서 귤응애와 귤굴나방의 피해가 가장 심하다(Lee 등, 1992). 이러한 병해충의 발생은 기상조건과도 긴밀한 연관이 있는데, 실제로 Kim 등(2015)은 겨울철 동해와 봄철 기상난동, 태풍 등으로 인한 유자나무의 생리적, 물리적 피해가 유자나무 수지병의 창궐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Choi와 Kim(1998)은 귤응애 발생과 월동시기부터 봄철까지의 기온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D. S. and Kim, K. C. 1998. Population fluctuation, developmental character of Panonychus citri and damage degree as its control density on young yuzu (Citrus junos). Korean J. Appl. Entomol. 37 : 193-198. 

  2. Cooper, W. C. 1965. Concepts of tree dormancy, cold hardiness, and freeze injury in relation to citrus. J. Rio Grande Valley Hort. Soc. 19: 40-47. 

  3. Davies, F. S. and Albrigo, L. G. 1994. Citrus (Crop production science in horticulture).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272 pp. 

  4. Einset, J. W. 1986. Botany: The state of the art: Designing plants with rare genes. Arnoldia 46: 60-63. 

  5. Grosser, J. W., Ollitrault, P. and Olivares-Fuster, O. 2000. Somatic hybridization in citrus: An effective tool to facilitate variety improvement.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6: 434-449. 

  6. Ikeda, I., Kobayashi, S. and Nakatani, M. 1980. Differences in cold resistance of various citrus varieties and seedling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winter injury in 1977. Bull. Fruit Tree Res. Stn. Ser. 3: 49-65 (in Japanese). 

  7. Irving, R. M. and Lanphear, F. O. 1967. Environmental control of hardiness in woody plants. Plant Physiol. 42: 1191-1196 . 

  8. Jeong, Y., Chung, U. and Kim, K.-H. 2018. Predicting future frost damage risk of kiwifruit 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using an integrated modelling approach. Int. J. Climatol. 38: 5354-5367. 

  9. Kim, E. B. 1989. The cultivation technique of Yuzu. Osung Press, Seoul, Korea. 367 pp (in Korean). 

  10. Kim, K. S., Ann, W. Y., Lee, G. M., Kim, K. S., Kim, D. K., Choi, D. S. et al. 1997. New Cultivation of yuzu. Chonnam Provincic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heung, Korea. 206 pp (in Korean). 

  11. Kim, M.-K., Han, M.-S. Jang, D.-H. Baek, S.-G. Lee, W.-S. and Kim, Y.-J. 2012. A production method for historical climate data with 1-km-resolution grids. Clim. Res. 7: 55-68. 

  12. Kim, K.-H., Kim, G. H., Son, K. I. and Koh, Y. J. 2015. Outbreaks of yuzu dieback in Goheung area: possible causes deduced from weather extremes. Plant Pathol. J. 31: 290-298. 

  13. Kong, C. K. 1994. Yuzu cultivation. Goheung Agricultual Extension Office, Goheung, Korea. 290 pp (in Korean). 

  14. Kwack, Y. B., Lee, J. Y., Kim, E. S. and Kim, H. L. 2009. GAP manual of Yuz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mhae, Korea. 82 pp (in Korean). 

  15. Layne, R. E. C. and Ward, G. M. 1978. Rootstock and seasonal influences on carbohydrate levels and cold hardiness of' 'Redhaven' peach. J. Am. Soc. Hortic. Sci. 103: 408-413. 

  16. Lee, S. C., Kim, S. S. and Kim, D. I. 1992. An observation of insect pests on the citron tree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n J. Entomol. 22: 223-226. 

  17. Manner, H. I., Buker, R. S., Smith, V. E., Ward, D., and Elevitch, C. R. 2006. Citrus (citrus) and Fortunella (kumquat). Species Prof. Pac. Isl. Agrofor. 2: 1-35. 

  18. Proebsting, E. L. and Mills, H. H. 1972. A comparison of hardiness responses in fruit buds of 'Bing' cherry and 'Elberta' peach. J. Am. Soc. Hortic. Sci. 97: 802-806. 

  19. Rajashekar, C., Westwood, M. N. and Burke, M. J. 1982. Deep supercooling and cold hardiness in genus Pyrus [Pear species]. J. Am. Soc. Hortic. Sci. 107: 968-972. 

  20. Rieger, M., Krewer, G., Lewis, P., Linton, M. and McClendon, T. 2003. Field evaluation of cold hardy citrus in coastal Georgia. Hort-Technology 13: 540-544. 

  21. Song, K., Kim, E., Na, Y., Byun, M., Park, M. and Moon, D. 2013. Subtropical and tropical fruits (citron, fig, loquat, pomegranate, other tropical fruits). In: History of Korean Horticulture, eds. by B. W. Kim, J. M. Lee, J. S. Lee and Y. J. Lim, pp. 244-252. Korean Societyfor Horticultural Science, Wanju, Korea (in Korean). 

  2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853 pp (in Korean). 

  23. Zekri, M., Oswalt, C., Futch, S. and Hurner, L. 2016. Freeze damage symptoms and recovery for citrus. URL https://crec.ifas.ufl.edu/extension/trade_journals/2016/2016_December_freeze.pdf [14 June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