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2019년 보은지역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생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간주사 방제 효과
Occurrence of Jujube Witches' Broom Disease and Control Efficacy of Trunk Injection with Oxytetracycline in Boeun Area from 2018 to 2019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1, 2020년, pp.19 - 28  

강효중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최성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이경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박희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오하경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이성균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신현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1950년대에 남한지역에 대발생하여 대추 재배지를 황폐화시킨 고위험 식물병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대추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빗자루병 대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17년과 2019년에 걸쳐 보은 지역의 대추 과원에서 병조사를 하였다. 또한, 빗자루병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병징을 찾아내고, 성보싸이클린수화제(OTC,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유효성분 17%)의 수간주사 방제효과 증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충북 보은 지역의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병률(이병주율)은 매우 낮았으나, 발생 지역과 발생 농가를 중심으로 점차 의미 있게 증가하고 있었다. OTC 방제시험 결과 처리 시기는 대추나무 생육 초기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발병이 심한 나무에서는 수간주사 후 당해 연도에도 같은 나무의 다른 건전한 가지에서 병징이 발현되었다. 6월에 1차 수간주사를 한 처리에서 2차 수간주사는 5개월 후보다 한 달 후에 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더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기 병징을 활용한 진단과 이를 근거로 한 조기 방제가 빗자루병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고 병 방제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jube witches' broom (JWB) disease is a high-risk plant disease that occurred on and devastated jujube orchards throughout South Korea in the 1950s. Recently, as the jujube cultivation area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nationwide, we investigated the disease in jujube orchards in the Boeun reg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청취조사, 육안조사를 통하여 보은지역의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생조사를 하였으며 수간주사 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방제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등록된 방제용 농약인 성보싸이클린수화제가 보은 지역의 많은 농가들 사이에 방제 1년 후 다시 발병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방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최근 전국적으로 대추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빗자루병 대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17년과 2019년에 걸쳐 보은 지역의 대추 과원에서 병조사를 하였다. 또한, 빗자루병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병징을 찾아내고, 성보 싸이클린수화제(OTC,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 모늄 수화제, 유효성분 17%)의 수간주사 방제효과 증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충북 보은 지역의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병률(이병주율)은 매우 낮았으나, 발생 지역과 발생 농가를 중심으로 점차 의미 있게 증가하고 있었다.
  • 따라서 토착병인 빗자루병의 기주식물인 대추의 지속적인 재배면적 증가, 재배양식 변화 및 대추나무 수령 증가에 따른 빗자루병 대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고 선제적인 방제대책 수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청취조사, 육안조사를 통하여 보은지역의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생조사를 하였으며 수간주사 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방제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등록된 방제용 농약인 성보싸이클린수화제가 보은 지역의 많은 농가들 사이에 방제 1년 후 다시 발병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방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는 무엇인가? 대추는 갈매나무과(Family Rhamnaceae) 대추나무속(Genus Zizyphus)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 생태형이 전혀 다른 중국계 대추(Z. jujuba)와 인도계 대추(Z.
대추의 열매와 종자는 어떤 약리작용이 있는가? mauritiana) 의 2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중국계 대추가 여러지역에 재배되고 있다. 대추의 열매와 종자에는 진정작용, 신경안정, 자양강장, 거담제, 혈압강하, 배뇨촉진, 항염증 등의 약리 효과가 우수하여 식용과 한약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Jang 등, 2006; Kim과 Kim, 2011).
대추나무에 발생하는 빗자루병의 방제를 위하여 어떤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가? 우리나라 대추나무 빗자루병 병원체는 분자계통분류상 다른 식물의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파이토플라즈마와 구분되는 별도의 종으로(Jung 등, 2003), 일일초(Cantharanthus roseus)를 이용한 식물체내 이동에 관한 연구결과, 병원체가 뿌리로 이동한 후 식물체 전신으로 전염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Lee 등, 2012). 이러한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방제를 위하여 옥시테트 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HCl, 유효성분 99.9% 이상, Pfizer, Ltd., Seoul, Korea)을 수간주사하면, 처리목의 체관에서는 처리 2년 후에도 발병하지 않았으며, 형광현미경상 특이 형광이 관찰되지 않아 소멸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Bak과 La,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k, W. C. and La, Y. J. 1985. Fluorescence microscopic diagnosis of mycoplasma infections in jujube, mulberry and periwinckle plants. Korean J. Plant Pathol. 1: 12-16. 

  2. Bak, W. C. and La, Y. J. 1993. Control of jujube witches'-broom by post-harvest trunk injection of oxytetracycline. J. Korean For. Soc. 82: 12-16. (In Korean) 

  3. Han, S. 2005. Specific primer for detection of Jujube witches' broom phytoplasma group (16SrV) in Korea. Plant Pathol. J. 21: 55-58. 

  4. Hong, S.-W. and Kim, C.-J. 1960. A study of virus disease on Chinese date tree (I). On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sease infected plants. Korean J. Bot. 3: 32-38. (In Korean) 

  5. Im, H. B., La, Y. J., Lim, U. K., Chang, T. J., Shin, J. D. and Lee, S. H. 1985.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witches' broom infected jujube trees treated by oxytetracycline. Korean J. Plant Pathol. 1: 101-108. (In Korean) 

  6. Jang, Y. S., Lee, M. H. and Hwang, S. I.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Zizyphus cultivars in Korea by multivariative analysis. Korean J. Plant Res. 19: 105-111. (In Korean) 

  7. Jung, H.-Y., Sawayanagi, T., Kakizawa, S., Nishigawa, H., Wei, W., Oshima, K. et al. 2003. 'Candidatus Phytoplasma ziziphi', a novel phytoplasma taxon associated with jujube witches'-broom disease. Int. J. Syst. Evol. Microbiol. 53: 1037-1041. 

  8. Kim, C. J. 1965. Witches broom of jujube tree, Zizyphus jujube Mill. Var. inermis Rehd. (Part. 3) transmission by graftings. Korean J. Microbiol. 3: 1-6. (In Korean) 

  9. Kim, K. C. and Kim, M. S. 1993. Host range and bionomics of the rhombic marked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 (Homoptera: Cicadelliae) as a vector of the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Korean J. Appl. Entomol. 32: 338-347. (In Korean) 

  10. Kim, Y. S. and Kim, W. S. 2011. New Technology for Jujube Cultivation. Osung Press, Seoul, Korea. 302 pp. (In Korean)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URL http://kosis.kr [10 January 2020]. 

  12. La, Y.-J., Brown, W. M. Jr. and Moon, D.-S. 1976. Control of witches'- broom disease of jujube with oxytetracycline injection. Korean J. Plant Prot. 15: 107-110. (In Korean) 

  13. La, Y. J. and Woo, K. S. 1980. Transmission of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by the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 J. Korean For. Soc. 48: 29-39. (In Korean) 

  14. Lee, S., Han, S. and Cha, B. 2009. Mixed infection of 16S rDNA I and V groups of phytoplasma in a single jujube tree. Plant Pathol. J. 25: 21-25. 

  15. Lee, S., Kim, C.-E. and Cha, B. 2012.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graft-inoculated jujube witches'-broom phytoplasma within a Cantharanthus roseus plant. Plant Pathol. J. 28: 191-196. 

  16. Nam, J.-I., Kim, Y.-M., Choi, G.-E., Lee, G.-Y. and Park, J.-I. 2013. Assessment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date (Zizyphus jujuba) cultivars revealed by I-SSR marker. J. Korean For. Soc. 102: 59-65. (In Korean) 

  17. Park, C.-H., Lee, S.-P. and Cha, B. 1995. Fluctuations in the outbreak of jujube (Ziziphus jujuba Miller) witches'-broom disease. Plant Dis. Agric. 1: 30-36. (In Korean) 

  18. Shin, H.-D. 1980. Impossibility of seed transmission in plant mycoplasmal diseases. Korean J. Plant Prot. 19: 141-143. 

  19. Yi, C. K. and La, Y. J. 1973. Mycoplasma-like bodies found in the phloem elements of jujube trees infected with witches'-broom disease. Res. Rep. For. Res. Inst. 20: 111-11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