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콩 생육기간 중 한발기간에 따른 생육 특성과 수량 구성요소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는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발은 잎의 노화를 가속하여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품종과 한발 기간이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고도로 유의하였다. 최종 수확에서 전체 협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3.6%와 40.5%가 감소였고, 100립 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16.1%와 10.1%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실 수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9.8%와 45.1%가 감소하였다. 한발 기간에 따라 대원콩과 해원콩이 수량 감소 폭이 큰 반면에 소연콩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한발 기간은 VS에 비하여 FS가 좀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으며, 품종과 한발기간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개화기 10일전부터 착협기까지 수분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 진다면 주경에서의 협수와 100립 중이 확보가 되어 수량 감소를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mi-greenhouse experiment with field grown soybean (Glycine max L. cv Deawon, Uram, Jinpong, Soyon, Pungsangnamul, and Haewon) was performed in 2018. The experiment was aimed to investigate individual impacts of drought stress on soybean characteristic and seed yield. The three treatments were u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콩 품종과 한발 기간에 따른 생육특성 중 광합성과 관련이 있는 엽면적 지수, 잎 건물 중 및 잎 질소 농도 그리고 수량구성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지구온난화 대응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은 무엇인가? 콩[Glycine max (L.)]은 기름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작물로서 여름을 대표하는 밭작물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콩의 개화기와 착협기는 7월 하순에서 8월 중순 사이이다.
콩의 생식 생장 단계에서 한발이 미치는 영향은? , 2019). 한발은 주경장과 주경 마디 수를 적게 하고, 화아분화기에서 개화기까지에는 낙화가 많아지고 결 협률을 저하를 시킨다(Wijewardana et al., 2018). 한 발은 잎에서 협으로 진행되는 탄수화물 동화 작용이 감소하여 질소와 엽록소 함량이 감소시키며(Liu et al., 2004; Ergo et al., 2018), 동화 작용과 뿌리에서의 양분 흡수를 나쁘게 하여서 약 24-50%의 수량을 이루게 한다(Bashir et al., 2019; Gavili et al.
한발에 의한 작물 수량 감소의 3개 메커니즘은 어떤 것인가? , 2013). 한발에 의한 작물 수량 감소는 3개의 메커니즘으로 1) 군락 광합성 효율 감소, 2) 유효 광합성 감소, 3) 수확 지수가 감소 하였다(Earl and Davis, 2003). 또한 수분 스트레스는 식물체의 팽압, 증산작용, 기공 전도도 그리고 물 효율 능력을 감소시킨다(Mutav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med, M. S., M. M. Alam, and M. Hasanuzzaman, 2010: Growth of different soybean (Glycine max L. Merrll) varieties as affected by sowing dates. Middle-east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5, 388-391. 

  2. Andriani, J., F. Andrade, E. Suero, and J. Dardanelli, 1991: Water deficits during reproductive growth of soybeans. I. their effects on dry matter accumulation, seed yield and its component. Agronomie 11, 37-746. 

  3. Bashir, W., S. Anwar, Q. Zhao, I. Hussain, and F. Xie, 2019: Interactive effect of drought and cadmium stress on soybean root morphology and gene expression.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175, 90-101. 

  4. Cui, Y., S. Jiang, J. Jin, S. Ning, and P. Feng, 2019: Quantitative assessment of soybean drought loss sensitivity at different growth stage based on S-shaped damage curv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213, 821-832. 

  5. Desclaux, D., and P. Roumet, 1996: Impact of drought stress on the phenology of two soybeans (Glycine max L. Merr) cultivars. Field Crops Research 46, 61-70. 

  6. Dogan, E., H. Kirnak, and O. Copur, 2007: Deficit irrigations during soybean reproductive stages and GROPGRO- soybean simulations under semi-arid climatic conditions. Field Crops Research 103, 154-159. 

  7. Dybing, C. D., H. Ghiasi, and C. Paech, 1986: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oybean ovary growth from anthesis to abscission of aborting ovaries. Plant Physiol 81, 1069-1074. 

  8. Eck, H. V., A. C. Mathers, and J. T. Musick, 1987: Plant water stress at various growth stages and growth and yield of soybeans. Field Crops Research 17, 1-16. 

  9. Egli, D. B., and W. P. Bruening, 2004: Water stress, photosynthesis, seed sucrose levels and seed growth in soybean. Journal Agriculture Science 142, 1-8. 

  10. Ergo, V. V., R. Lascano, C. R. C. Vega, R. Parola, and C. S. Carrera, 2018: Heat and water stressed field-grown soybean: A multivariat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 biochemical traits and yield.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148, 1-11. 

  11. Farooq, M., A. Wahid, N. Kobayashi, S. Fujita, and S. M. A. Basra, 2009: Plant drought stress: effect, mechanisms and management.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9, 185-212. 

  12. Fehr, W. R., and C. E. Caviness, 1997: Stages of soybean development. Iowa Stat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 Report 80. 

  13. Frank, B., 2012: Fundamentals of chemistry: Laboratory studies. Elsevier Science, 75pp. ISBN 978-0-323-16215-9. 

  14. Frederick, J. R., C. R. Camp., and P. J. Bauer, 2001: Drought stress effects on branch and main stem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determinate soybean. Crop Science 41, 759-763. 

  15. Gavili, E., A. A. Mossavi, and A. A. K. Haghigi, 2019: Does biochar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drought on the agronomic traits and yield components of soybean? Industrial Crop & Products 128, 445-454. 

  16. He, J., Y. L. Du, T. Wang, N. C. Turner, R. P. Yang, Y. Jin, Y. Xi, C. Zhange, T. Cui, X. W. Fang, and F. M. Li, 2017: Conserved water use improves the yield performanc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under drought.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79, 236-245. 

  17. IPPC, 2018: Global warming of 1.5 $^{\circ}C$ . Summary for policymaker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eight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witzerland. 

  18. Kahlon, C. S., J. E. Board, and M. S. Kang, 2011: An analysis of yield component changes for new vs. old soybean cultivars. Agronomy Journal 103, 13-22. 

  19. KMA, 2019: Available at: http://data.kma.go.kr/data/publication/publicationAblist.do (accessed Jun 20, 2019) 

  20. Liu, F., C. R. Jensen, and M. N. Andersen, 2004: Drought stress effect on carbohydrate concentration in soybean leaves and pods during early reproductive development: its implication in altering pod set. Field Crops Research 86, 1-13. 

  21. Manavalan, L. P., S. K. Guttikonda., L. S. P. Tran, and H. T. Nguyen, 2009. Physi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to improve drought resistance in soybean. Plant Cell Physiol 50, 1260-1276. 

  22. Mutava, R., S. J. K. Prince., N. H. Syed., L. Song., B. Valliydan, W. Chen, and H. T. Nguyen, 2015. Understanding abiotic stress tolerance mechanisms in soybean: A comparative elalution of soybean responses to drought and flooding stress.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86, 109-120. 

  23. Nitami, H., T. Sato, T. Matunami, R. Itoh, and T. Ikeda, 2013: Effect of water stress during flowing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types of soybean. Japan Journal Crop Science 82(2), 141-149. 

  24. Pedersen, P., and Lauer, J. G, 2004: Soybean Growth and Development in various management systems and planting dates. Crop Science 44, 508-515. 

  25. Rotundo, J., L. Borras, M. E. Westgate, J. H. Orf, 2009: Relationship between assimilate supply per seed during seed filling and soybean seed composition. Field Crops Research 112, 90-96 

  26. Serraj, R., L. H. Allen, and T. Sinclair, 1999: Soybean leaf growth and gas exchange response to drought under carbon dioxide enrichment. Global Change Biology 5, 283-291. 

  27. Souza, G. M., T. A. Catuchi, S. C. Bertolli, and R. P. Soratto, 2013: Soybean under water deficit: Physiological and yield response. A Comprehensive Survey of International Soybean Research - Genetics, Physiology, Agronomy and Nitrogen Relationships, James E. Board, IntechOpen. DOI: 10.5772/54269. 

  28. Streeter, J. G, 2003: Effect of drought on nitrogen fixation in soybean root nodule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6, 1199-1204. 

  29. Tagliapietra, E. L., N. A. Streck, T. S. M. de. Rocha, G. L. Richter, M. R. da. Silva, J. C. Cera, J. V. C. G. Guedes, and A. J. Zanon, 2018: Optimum leaf area index to reach soybean yield potential in subtropical environment. Agronomy Journal 110, 932-938. 

  30. Wahid, A., and E. Rasul, 2005: Photosynthesis in leaf, stem, flower and fruit, in: Pessarakil M. (Ed.), Handbook of Photosynthesis, 2nd ed., CRC Press, Florida. 104-109. 

  31. Wang, Z. Q., F. He, W. H. Fang, Y. F. Liao, 2013: Assessment of physical vulnerability to agricultural drought in China. Natural Hazards 67, 645-657. 

  32. Wijewardana, C., K. Reedy, F. A. Alsajri, J. T. Irby, J. Krutz, and B. Golden, 2018: Quantifying soil moisture deficit effects on soybean yield and yield component distribution patterns. Irrigation Science. Published online: 27 Jun 2018. DOI: Org/10.1007/s00271-018-058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