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불확도 기반 밭토양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여부 판정
Uncertainty-based Decision on Mitigation of Nitrous Oxide Emissions in Upland Soi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1 no.4, 2019년, pp.307 - 316  

주옥정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  강남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측정과학전공) ,  임갑준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발생은 토양환경, 기상환경, 작물 생장 등 모든 생태계 변화와 인위적인 영농활동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하여 배출량 변동성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배출량 자료에 대한 신뢰구간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신뢰구간을 정의하는 불확도 평가가 필요하지만 불확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밭토양에서 발생하는 N2O 배출량 저감 효과의 유의성을 불확도 추정기법을 통하여 판정하고자 하였다. 질소 비료 시비효과 증진 및 N2O 배출량 감소를 위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 표준시비, 무시비 등 5처리 집단들의 신뢰구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불확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N2O 배출량 개별 자료들의 변동성을 모두 고려한 신뢰구간을 찾아내어 분석한 결과로 신뢰성 있는 저감 효과(처리간 차이)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를 시용하면 표준시비와 같은 생육상황에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agricultural sector, greenhouse gas emissions vary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of all ecosystem changes such as soil environment, weather environment, crop growth, and anthropogenic farming activities. Agricultural sector greenhouse gas emissions resulting from many of these interactions ar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밭토양 N2O 배출량에 미치는 토양 및 기상환경의 영향인자 고려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추, 배추 재배 기간 동안의 N2O 농도 변화와 함께 기온과 강수량 등의 기상환경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2016년 고추, 배추 재배기간 동안의 기온과 강수량, N2O 배출량의 변화는 Fig. 1과 같다. 고추 재배기간(5월 12일∼9월 30일) 중 평균기온은 24.
  • 본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 기산동에 위치한 경기도 농업기술원 내 시험연구포장(37°13ʹN, 127°02ʹE)에서 2016년 재배한 고추, 배추 밭토양에서 측정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급영양생물 질화균의 역할은 무엇인가? 8백만톤으로 국가 전체 N2O 배출량의 약 66%를 차지하며, 농경지 토양 부문 N2O 배출량 감소의 주요 원인을 화학비료 시용량으로 평가 한 바 있다(GIR, 2018). 농경지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N2O는 81% 정도가 시용된 질소비료에 의해 배출되며, 토양에 요소비료를 시용하면 가수분해로 방출되는 암모늄(NH4)이 화학적 자급영양생물 질화균에 의해 NO2 - , NO3 - 로 산화되고, 이러한 질산화작용의 여러 생화학적 과정을 거쳐서 대기 중으로 N2O와 NO가 배출된다(Isermann, 1994; Firestone and Davidson, 1989). 이에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N2O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서는 비료 시용을 줄이거나 토양 중에서 발생하는 질 산화 및 탈질작용 등 생화학적 과정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는 토양환경, 기상환경 등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변수들이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량의 변동성(분산, 표준편차)이 크게 나타난다(Zhang et al., 2017; Ju et al.
ISO 측정불확도의 개념을 그대로 준용하여 농업 분야 발생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 검정 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는? 이는 토양환경, 기상환경, 작물 생장 등 모든 생태계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하는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대표값인 평균의 산포 특성을 불확도로 추정하여 신뢰구간을 산정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 이 갖고 있는 다양하고 큰 변동성을 반영하여 많은 비교 집단간 평균의 차이의 유무를 효과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방법이다. 그러므로 온실가스 저 감 처리 방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균이 가진 산포 특성을 이용한 불확도 산정을 통해 온실가스 저 감 처리구의 영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농업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의 저감 효과뿐 만 아니라 유효한 저감량 추정 방법으로서 확 장이 기대된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 가 장 많이 활용하는 폐쇄형 챔버법 등의 장비(hardware) 로 인한 시료 채취 및 가스 농도 분석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포 특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불확도 요인들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one, J., and P. J. Bohlen, 1998: Stimulated $N_2O$ flux from intact grassland monoliths after two growing seasons under elevated atmospheric $CO_2$ . Oecologia 116(3), 331-335. 

  2. Bae, Y. J., S. J. Bae, I. H. Seo, K. Seo, J. J. Lee, and G. Y. Kim, 2013: Estimation of uncertainty on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Korean Rural Plan 19(4), 125-135. (in Korean) 

  3. Cantarel, A. M., M. G. Bloor, N. Deltroy, and J. F. Soussana, 2011: Effects of climate change drivers on Nitrous Oxide fluxes in an upland temperate grassland. Ecosystems 14, 223-233. 

  4. Dobbie, K. E., I. P. McTaggart, and K. A. Smith, 1999: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intensive agricultural systems: variations between crops and seasons, key driving variables, and mean emission facto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4(D21), 26891-26899. 

  5. FAO, and IAEA, 1992: Manual on measurement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griculture. IAEA-TECDOC-674, 91pp. 

  6. Firestone, M. K., and E. A. Davidson, 1989: Microbiological basis of NO and $N_2O$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soil. Exchange of Trace Gases between Terrestrial Ecosystems and the Atmosphere 47, 7-21. 

  7. GIR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8: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401pp. (in Korean with no English abstract) 

  8. Isermann, K., 1994: Agriculture's share in the emission of trace gases affecting the climate and some cause-oriented proposals for sufficiently reducing this share. Environmental Pollution 83(12), 95-111. 

  9. ISO/IEC Guide 98-3, 2008: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GUM: 1995). 

  10. Ju, O. K., J. Kim, J. S. Park, and C. S. Kang, 2018: Chamber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gricultural land: A Review.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1), 34-46. 

  11. Kanerva, T., K. Regina, K. Ramo, K. Ojanpera, and S. Mannine, 2007: Fluxes of $N_2O$ , $CH_4$ , and $CO_2$ in a meadow ecosystem exposed to elevated ozone and carbon dioxide for three years. Environmental Pollution 145, 818-828. 

  12. Kim, J. S., and N. H. Cho, 2003: A study on the modeling and propagation to evaluate uncertainties in measurement resul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0, 165-175. 

  13. N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00: Soil and Plant Analysis, 202pp. (in Korean) 

  14. N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17: Fertilizer Prescription Standard by Crop, 336pp. (in Korean with no English abstract) 

  15.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gricultural Land in Korea, 99pp. (in Korean) 

  16. Sozanska, M., U. Skiba, and S. Metcalfe, 2002: Developing an inventory of $N_2O$ emissions from British soils. Atmospheric Environment 36(6), 987-998. 

  17. Wrage, N., G. L. Velthof, M. L. Beusichem van, and O. Oenema, 2001: Role of nitrifier denitrification in the production of nitrous oxide.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3, 1723-1732. 

  18. Zhang, W., W. Sun, and T. Li., 2017: Uncertainties in the national inventory of methane emissions from rice cultivation: field measurements and modeling approaches. Biogeosciences 14, 163-1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