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일사량 변화 분석을 위한 모의 차광 관측 실험
Preliminary Experiment of the Change of Insolation under Solar Panel Mimic Shading Net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1 no.4, 2019년, pp.358 - 365  

윤창용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최선웅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안규남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류재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정회정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조재일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 보존과 일정 수확량 유지를 전제로 전기 생산도 병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패널 하부에서의 경작지 차광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작물 생육·수확량 변동 예측에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실험은 연구용 영농형 태양광 건설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시설 규격과 유사한 모의 차광 시설을 설치하고 하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광막 하부와 외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차이는 일사광에서 산란광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는데, 최대 17.08 mol/㎡/day (맑은 날), 최소 3.03 mol/㎡/day (흐린 날)이었다. 이러한 광 조건 변화는 벼의 초기 생육에 있어 초장의 증가와 주당경수의 감소를 가져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grivoltaic systems (AVS) is mixed systems associating photovoltaic panels (PVPs) and crop cultivation at the same time on the given land area. It is receiving attention to improve rural economy.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crop yield should be decreased due to the reduced absorption of sola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또한 정오에는 대부분의 경작지가 전체 그늘 형상 아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차광막 하부 경작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에서의 일사수광량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는 차광막의 높이가 높고, 하부 경작지 면적이 좁을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 보존과 일정 수확량 유지를 전제로 전기 생산도 병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AVS의 기본개념은? , 2019). AVS의 기본 개념은 작물이 흡수하지 못하는 광을 ‘잉여 태양광’ 이라고 정의하고 그것을 전기 생산에 사용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Dinesh and Pearce, 2016). 이러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하절기에는 주간 일사량이 단일 잎에서의 광합성 광포화점을 훨씬 초과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 보존과 일정 수확량 유지를 전제로 전기 생산도 병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rmstrong, A., N. J. Ostle, and J. Whitaker, 2016: Solar park microclimate and vegetation management effects on grassland carbon cycling.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1(7), 1-11. 

  2. Cho, Y., S. Cho, H. Kwon, and D. Yoo, 2019: Building an agrophotovoltaic system and suggesting activation plan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8(1), 115-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inesh, H., and J. M. Pearce, 2016: The potential of agrivoltaic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54, 299-308. 

  4. Goetzberger, A., and A. Zastrow, 1982: On the coexistence of solar-energy conversion and plant culti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lar Energy 1(1), 55-69. 

  5. Han, H., and J. Ryoo, 1988: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corn and sorghum species.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8(1), 6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J. G., and Y. D. Kim, 2014: Effect of shade net on reduction of freezing damage at a tea garde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2), 146-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D., S. Hyun, and K. Kim, 2019: Development of a deep neural network model to estimate solar radiation using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2), 85-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M. H., S. G. Kang, W. G. Sang, B. I. Ku, Y. D. Kim, H. K. Park, and J. H. Lee, 2014: Change of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high-quality rice cultivars by shading on grain filling stag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5(2), 60-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arrou, H., L. Guilioni, L. Dufour, C. Dupraz, and J. Wery, 2016: Microclimate under agrivoltaic systems: Is crop growth rate affected in the partial shade of solar panel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7, 117-132. 

  10.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69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