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형 태양광 시설 하부의 미기상 관측 자료: 보성에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가을보리 재배기간 동안
Meteorological Data Measured under Agrivoltaic Systems in Boseong-gun during Winter Barley Seaso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3, 2020년, pp.144 - 151  

조유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윤창용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김현기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문현동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안규남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조재일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전력 생산도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농촌 분야와 재생에너지 산업 모두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그 역사가 짧은 만큼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의 미기상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측 방법론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보성군에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에서 2019년 11월 부터 2020년 5월까지의 보리 생육기간 동안 일사광, 광합성유효복사광, 기온, 습도, 토양습도·온도, 풍향·풍속을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공개했다. 또한, 노지의 일사량 및 광합성유효복사량에 대한 약 13일 간의 자료 결손에 대해서는 가까운 기상청 관측 자료를 활용하거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자료를 이용한 두 가지 경험적 메우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고 자료가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농업적 평가에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rivoltaic systems (AVS) is defined as combining farm-grown crops with photovoltaic panels (PV) installed several meters above the ground. Solar radiation (W/㎡),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µmol/㎡/s), air temperature (℃), vapor pressure (kPa), soil moistu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우리나라 국토에서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다양한 기후 ⋅ 날씨 조건에서 객관적으로 영농형 태양광을 평가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재배기술, 시설 ⋅ 설비 등의 복합적 관점에서 개선하려는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전남 보성의 영농형태양광 하부에서 가을보리 재배 기간 동안에 관측된 미기상 자료를 공개하고 설명함으로써,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광 조건 변화에 대한 미기상 연구를 비롯하여 영농형 태양광 시설의 작물생육 및 태양광 전력 생산량 모델링에 입력자료로 활용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가설 설정

  • 5분 간격으로 노지 일사량과 광합성유효복사량 자료를 메우기 위해서는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20개 광합성유효복사량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영농형 태양광 하부는 완전히 차광된 조건이 아니라 부분 차광 형태이기 때문에, 하부의 20개 광합성유효복사량 중 최댓값은 노지의 광 조건을 충실히 반영한다고 가정하였다. 그 최댓값과 노지의 광량과의 관계는 산란광 비율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하부의 20개 광합성유효복사량의 표준편차 값을 20개 최댓값으로 나눈 지수를 만들어 구간별로 노지 광합성유효복사량과 하부 20개 광합성유효복사의 최대값의 회귀 방정식을 도출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농형 태양광은 농가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 2019). 이러한 영농형 태양광은 농가에게 새로운 수익 구조를 창출시켜 농촌 경제에 이바지하며, 태양광 발전에 최적인 넓은 평지가 부족한 우리나라 지형 조건에서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의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Cho et al., 2019).
솔라 쉐어링(solar sharing) 개념에서 나타나는 광포화점의 의미와 특징은? , 2019), 작물 광합성의 광포화점을 초과하는 잉여 광 에너지로 태양광 전력 생산을 하자는 논리이다(Sekiyama and Nagashima, 2019). 하지만, 광포화점은 잎 규모 수준의 광합성에서 나타나는 것으로써 실제 농지의 군락 광합성은 자연계의 일사광량 범위에서 거의 광포화 없이 태양광 입사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Shouichi, 1981). 비록 강한 광량 조건에서는 광에 대한 군락 광합성 효율이 낮아지지만, 입사 광량과 군락 광합성의 관계가 포화 없이 정비례한다는 사실은 영농형 태양광에서 경작된 작물의 필연적 수확량 감소를 의미할 것이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어떤 것들이 병행 가능한 특징이 있는가? 농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태양광 패널(Solar Photovoltaic Panel, PVP)을 이용한 전력 생산도 병행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Agrivoltaic Systems, AVS)은 농업 ⋅ 농촌 분야와 재생에너지 산업 모두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Yoon et al.,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 Y., S. Cho, H. Kwon, and D. Yoo, 2019: Building an agrophotovoltaic system and suggesting activation plan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8(1), 115-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ang, D., S. Hyun, and K. S. Kim, 2019: Development of a deep neural network model to estimate solar radiation using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2), 85-96. 

  3. Kim, J., W. Sang, P. Shin, J. Baek, C. Cho, and M. Seo, 2019: History and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ice growth mode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3), 167-174. 

  4. Marrou, H., L. Guilioni, L. Dufour, C. Dupraz, and J. Wery, 2016: Microclimate under agrivoltaic systems: Is crop growth rate affected in the partial shade of solar panel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7, 117-132. 

  5. Monteith, J. L., 1977: Climate and the efficiency of crop production in Britai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281(980), 277-294. 

  6. Sekiyama, T., and A. Nagashima, 2019: Solar sharing for both food and clean energy production: Performance of agrivoltaic systems for corn, a typical shade-intolerant crop. Environments 6(6), 65. 

  7. Shouichi, Y.,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69pp. 

  8. Udo, S. O., and T. O. Aro, 1999: Global PAR related to global solar radiation for central Nigeri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7(1), 21-31. 

  9. Yoon, C., S. Choi, K.-N. An, J.-H. Ryu, H. Jeong, and J. Cho, 2019: Preliminary experiment of the change of insolation under solar panel mimic shading ne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358-3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