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메타정의적 관점에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rom meta-affect viewpoint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8 no.4, 2019년, pp.519 - 530  

도주원 (서울방현초등학교) ,  백석윤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선행연구에 의하면 수학 학습활동에서 인지적, 정의적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메타정의는 메타인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수학적 능력과 긴밀한 역학적 관련성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아의 소집단 문제해결 사례를 메타정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아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메타정의적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문제해결자의 정의적 역량은 정서나 태도 형태의 메타정의로 문제해결 활동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meta-affect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elements in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maintains a close mechanical relationship with the learner's mathematical ability in a similar way to meta-cogni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grasp thes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Clark(1988)이 수학 영재아의 특성으로 제시한 ‘자신과 타인을 향한 평가적 접근’, ‘불굴의 목표 지향적 행동’ 등과 같은 인지적 특성과 ‘고양된 자각’, ‘내적 통제’ 등과 같은 정의적 특성이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는 메타정의적 특성과 관련되어 나타남이 Do, Paik(2019)의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정의적 요소의 상호작용 및 수학 영재아의 특성에 기반한 메타정의적 관점에서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성공 여부에 따라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정의는 무엇에 영향을 받나? 개인의 정의는 그 사람이 속한 하위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사면체 모델의 각 꼭짓점에 해당하는 정서, 태도, 신념, 가치는 교사나 다른 학생과 상호작용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공유되는 규범적인 정서적 기대, 태도, 신념, 가치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McLeod는 정의적 영역을 어떻게 구분했는가? McLeod(1992)는 정의적 영역을 정서, 태도, 신념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DeBellis, Goldin(1997, 2006)은 McLeod(1992)가 구분한 정의적 영역의 세 가지 하위 영역 중 신념에서 가치/윤리/도덕 요소를 구분하여 정서, 태도, 신념, 가치/윤리/도덕으로 확장하여 [Fig.
DeBellis과 Goldin이 문제해결 활동의 정의적 측면에서, 메타정의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 불안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나타나게 되면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를 예상하게 되고, 흥미나 친밀감과 같은 긍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나타나게 되면 성공적인 결과를 예상하게 된다. 하지만 DeBellis, Goldin(2006)에 의하면 부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나타났다 하더라도 메타정의(meta-affect)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이 부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오히려 문제해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긍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나타났더라도 메타정의가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이 긍정적인 정의적 요소가 문제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DeBellis, Goldin(2006)은 메타정의를 문제해결 활동의 정의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lark, B. (1988). Growing up gifted(3th ed.). Columbus, OH: Merrill. 

  2. DeBellis, V. A. & Goldin, G. A. (1997). The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PME 21, 2, 209-216. 

  3.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4. Do, J. W. (2018). Aspects of meta-affect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Do, J. W. & Paik, S. Y. (2016). The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4) 563-581. 

  6. Do, J. W. & Paik, S. Y. (2017). The sociodynamical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dure J. Korea Soc. Math. Ed. Ser.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1), 85-99. 

  7. Do, J. W. & Paik, S. Y. (2018). Aspects of meta-affect according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problem-solving processe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2(2) 143-159. 

  8. Do, J. W. & Paik, S. Y. (2019). Aspects of meta-affect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3(1) 59-74. 

  9. Fraiser, M. M. & Passow, A. H. (1994). Towards a new paradigm for identifying talent potential. Storrs, CT: University of Comm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10.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Dordrecht: Kluwer. 

  11. Goldin, G. A. (2003).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A unifying research perspective.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pp. 275-286). Reston, VA: NCTM. 

  12. Goldin, G. A. (2004). Characteristics of affect as a system of representation. In M. J. Hoines & A. B. Fuglestad (Eds.), Proceedings of the PME 28, 1 (pp. 109-114). Bergen: Bergen University College. 

  13. Goldin, G. A. (2006). Commentary on "The articulation of symbol and medi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by Moreno-Armella and Sriraman.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38, 70-72. 

  14. Goldin, G. A. (2007). Aspects of affect and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es. In R. Lesh, E. Hamilton, & J. Kaput (Eds.), Foundations for the futur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81-296). NJ: Erlbaum. 

  15. Goldin, G. A. (2009). The affective domain and students' mathematical inventivenes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81-194). Rotterdam: Sense Publishers. 

  16. Goldin, G. A. (2010). Commentary on symbols and medi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In B. Sriraman & L. English (Eds.),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pp. 233-237). New York: Springer-Verlag. 

  17. Goldin, G. A. (2014). Perspectives on emotion in mathematical engagemen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R. Pekrun & L. Linnenbrink-Garcia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motions in education (pp. 391-414). New York: Routledge. 

  18. Malmivuori, M. L. (2001). Malmivuori, M. L. (2001). The dynamics of affect, cogni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regulation of personal learning processes: The case of mathematics. Research Report, 172, Helsinki: Helsinki University Press. 

  19.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20.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Macmillan. 

  21. Moscucci, M. (2010). Why is there not enough fuss about affect and meta-affect among mathematics teacher? In V. Durand-Guerrier, S. Soury-Lavergne, & F. Arzarello (Eds), Proceedings of the CERME-6 (pp. 1811-1820). INRP, Lyon. 

  22. Renzulli, J. S. & Reis, S. M. (1997).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e educational excellence (2nd 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3. Schloglmann, W. (2005). Meta-affect and strategies in mathematics learning. In M. Bosch (Ed), Proceeding of CERME-4 (pp. 275-284). Barcelona: FundEmi IQS. 

  24.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Thousand Oak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