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른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 비교 분석
Aspects of Meta-affect According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Problem-Solving Processe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2, 2018년, pp.143 - 159  

도주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  백석윤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 문제해결 교육 연구에 있어서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적, 정의적 요소의 상호작용 및 메타정의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라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라 협업적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정의 출현 빈도, 메타정의 유형별 빈도,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별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학습 성취 수준별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별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메타정의의 실제적인 작용 메카니즘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 성취 하 수준 집단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상 수준 집단에 비해 메타정의의 출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상 수준 집단의 메타정의는 하 수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메타적 기능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수학 문제해결 수업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s closely related to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eta-affect abi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general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frequ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 수업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문제해결 수업은 학생이 소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교실 분위기와 구성원의 협동하는 태도 형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백석윤, 2016), 자신의 생각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사고를 깊고 명확하게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이종희・김선희, 2002). Damon & Phelps(1989)는 참여 수준에 따라서 동료학습을 한 학생이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동료교수, 학생들이 과제의 각기 다른 부분을 나누어 해결하는 협력학습, 유사한 역량 수준의 학생과 자신의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동료협업으로 구분하였다.
수학 문제해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수학 문제해결이라는 인간의 지적 활동은 인지적 요소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적 요소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이루어진다. Goldin(2002)는 정의적 측면을 개인의 내적 표현 체계 중 하나로 보고, 정의적 측면이 인지적 측면의 무의식적이고 부수적 반응이 아니라 그 자체로 표현의 기능을 담당하고 의미 있게 정보를 암호화한다고 설명한다.
수학 문제해결과 같은 역동적인 수학 학습 활동의 활성화나 개선을 위한 교수학적 노력과 이와 같은 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그동안 개별 학습보다는 소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문제해결 활동의 유의미한 성과를 낸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수학 문제해결과 같은 역동적인 수학 학습 활동의 활성화나 개선을 위한 교수학적 노력과 이와 같은 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그동안 개별 학습보다는 소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문제해결 활동의 유의미한 성과에 대한 연구가 다수 있어왔다(Chalmers, 2009; Fawcett & Garton, 2005; Goos, 1995; Goos, Galbraith, &  Renshaw, 2002; Schoenfeld, 1989). 예를 들어,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학생이 개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학생에 비해 올바른 해법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도출해 내고 있으며(Fawcett &Garton, 2005), 소집단 협업적 문제해결 활동에서 동료와의 수학적 논의 활동도 보다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Goos, 1995). 따라서 정의적 측면에 대한 연구 방법상의 어려움을 감안하면서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활성화와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집단 협업적 문제해결의 상황 설정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완, 김상미, 박만구, 백석윤, 오영열(2009). 초등수학교육. 서울: 경문사.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3. 김은형, 백석윤(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 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25-148. 

  4. 도주원, 백석윤(2016).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4), 563-581. 

  5. 도주원, 백석윤(2017).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사회 역학적 기능. 한국수학교육학회, 18(1), 87-101. 

  6. 백석윤(2016). 수학 문제해결 교육. 서울: 경문사. 

  7. 이종희, 김선희(2002).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 

  8. Carlson, M. P. & Bloom, I. (2005). The cyclic nature of problem solving: An emergent multidimensional problem-solving framewor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8(1). 45-75. 

  9. Chalmers, C. (2009). Group metacognition during mathemaitcal problem solving. In R. Hunter, B. Bicknell, & T. Burgess (Eds.), Crossing divides: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 (pp. 105-112). Palmerston North. NZ: MERGA. 

  10. Damon, W. & Phelps, E. (1989). Critical distinctions among three approaches to pe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9-19. 

  11. DeBellis, V. A., & Goldin, G. A. (1997). The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In E.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PME 21, 2 (pp. 209-216). Helsinki, Finland: University of Helsinki Dept. of Teacher Education. 

  12.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13. English, L. D & Halford, G. S. (1995). Mathematics Education: Model and Process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역(2003). 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14. Fawcett, L. M. & Garton, A. F. (2005). The effect of peer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5, 157-169. 

  15.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Dordrecht: Kluwer. 

  16. Goldin, G. A. (2009). The affective domain and students' mathematical inventivenes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81-194). Rotterdam: Sense Publishers. 

  17. Goldin, G. A. (2014). Perspectives on emotion in mathematical engagemen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R. Pekrun and L. Linnenbrink-Garcia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motions in Education (pp. 391-414). New York: Routledge. 

  18. Gomez-Chacon, I. M. (2000). Affective influence in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 149-168. 

  19. Goos, M. (1995). Metacognitive knowledge, belief and classroom mathematics. In B. Atweh & S. Flavel (Eds.), Galtha(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 300-306). Darwin: MERGA. 

  20. Goos, M. & Galbraith, P. (1996). Do it this way! Metaconitive strategies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0(3), 229-260. 

  21. Goos, M., Galbraith, P. & Renshaw, P. (2002). Socially mediated metacognition: Creating collaborative zones of proximal development in smallgroup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9(2), 193-223. 

  22.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23. Hannula, M. S., Evans, J., Philippou, G., & Zan, R. (2004).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exploring theoretical Frameworks.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International Group for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07-136). Bergen, Norway: Bergen University College. 

  24. Lester, F. K., Garofalo, J., & Kroll, D. L. (1989). Self-confidence, interest, beliefs, and metacognition: Key influences on problem-solving behavior. In D. B. McLeod & V. M. Adams (Eds.),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pp. 75-88). New York: Springer-Verlag. 

  25. Malmivuori, M. L. (2001). The dynamics of affect, cogni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regulation of personal learning processes: The case of mathematics. Research Report, 172, Helsinki: University of Helsinki. 

  26.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27.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Macmillan. 

  28. Moscucci, M. (2010). Why is there not enough fuss about affect and meta-affect among mathematics teacher? In V. Durand-Guerrier, S. Soury-Lavergne, & F. Arzarello (Eds), Proceedings of the CERME-6 (pp. 1811-1820). INRP, Lyon. 

  29. Polya, G. (1971). How to solve it. 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수학적 사고 방법. 서울: 교우사. 

  30. Schoenfeld, A. H. (1989). Ideas in the air: Speculations on small group learning, environment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cognition, and epistem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71-88. 

  31. Schloglmann, W. (2005). Meta-affect and strategies in mathematics learning. In M. Bosch (Ed), Proceeding of CERME-4 (pp. 275-284). Barcelona: FundEmi IQS. 

  32. Schloglmann, W. (2009). Categories of affect- some remarks. In V. Durand-Guerrier, S. Soury-Lavergne, & F. Arzarello (Eds), Proceeding of CERME-6 (pp. 164-173). INRP, Lyon. 

  33. Silver, E. A.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research for mathematics problem-solving instruction.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33-60). NJ: Hillsdale. 

  34.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5th ed.). Thousand Oak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