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Elderlies at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1, 2019년, pp.335 - 347  

임영아 (서영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소의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8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조사원이 조사대상 요양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에 의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에서의 우울군의 분포는 사회적지지 점수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우울수준 점수(CES-D)는 사회적지지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군에 속할 위험비는 사회적지지 점수가 가장 높은 군(Q4)보다 높은 군(Q3)에서 2.7배, 중간 군(Q2)에서 5.4배, 낮은 군(Q1)에서 10.1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종교유무, 자녀와의 관계,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의 부자유유무, 흡연상태, 아침식사여부 및 사회적지지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투입된 변수들의 설명력은 41.1%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수준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We enrolled 328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admitted to 15 care facil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co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요양시설 노인들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에 따른 우울수준 (CES-D)을 파악해 보고, 특히 사회적지지(MOS-SSS)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요양시설 노인들의 우울수준(CES-D) 을 파악해 보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에 따른 우울수준을 파악함은 물론, 특 히 사회적지지(MOS-SSS)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요양시설 노인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수 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의 특성은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스트레스 발생을 예방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완충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변인이 되고 있다[11]. 노인은 은퇴와 배우자 또는 지인의 사망으로 사회적 관계망이 급격하게 축소되는 시기이지만 돌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노인에게 우울이 발생하게 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우울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과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 및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등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또한 노화에 따른 만성질환, 경제력 상실에 따른 빈곤 등으로 쉽게 겪을 수 있으며 불안,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을 상실하게 됨으로 우울이 찾아온다. 사람은 노화 현상을 막을 수 없으며 노인이 되면 의존성이 커지고 우을감으로 인한 장애는 더욱 심각해지므로 노인에서의 우울은 특히 중요하다[10].
해외에서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 수준 감소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의 조사대상자의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 수준의 분포는 사회적지지 총점이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 게 높았으며, 하위영역별로도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이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경우, Alameda Country Study[36]나 Tecumseh Community Health Study[37]의 대규모 전향적 연구를 보면, 사회적 지원이 많은 사람들은 적은 사람들에 비해 우울을 완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Prince 등 [38]은 가족, 친구, 친척 등의 사회적 지지망의 크기가 클 수록 우울경향이 낮아진다고 하였고, Ihara[39]는 노인 구락부에의 참여나 지역사회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우울 저하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한 Lee 등[22]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도나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이 낮은 군에서 우울수준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Son[40]은 노인의 정서적 지지나 인 지적 지지가 상승하면 노인의 우울이 유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하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of Residence Registration Population in 20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rrent situ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2015.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us of Medical care institution in 2017. 

  4. Park, GJ, Lee JH, Bae KE, Kang YH, Song H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elders in welfare facilities.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9(1), pp. 51-59, 2007. 

  5. Moon SH.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y. Graduated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4. 

  6. Brooke V. Nursing home life: How elders adjust. Geriatr Nurs, 10(2): 66-68, 1989. DOI: https://doi.org/10.1016/S0197-4572(89)80054-0 

  7. Haight BK. Suicide risk in frail elderly people relocated to nursing homes: In general, elders who consider suicide are over 85 years old, want to retain control of their lives, and have a high degree of self-esteem. Geriatr Nurs, 16(3): 104-107, 1995. DOI: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038-2 

  8. Nam JS.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 Graduated School of Inj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9. Kim YR. The Causes of Elderly People's Depression and Isolation: focusing on the effect of religious participation as a curing program. Graduated School of Mok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10. Choi SO.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an patients. Graduate School of Taegu Catholic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11. Kim TM.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o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5. 

  12. Oh YE, Lee JH. The Effect of Adult-Children Support Network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2(4):557-572, 2011. 

  13. Jun HJ. Longitudinal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on Mental Health among Older Women in USA. Korea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5:169-186, 2004. 

  14. Chi I, Chou K.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Chinese people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2(3):231-235, 2001. 

  15. Kwon JH, Yoon YS, Kim SH, Park JY, Kim S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Korean German Society for Motologie. 2(1):53-62, 2016. 

  16. Song MR, Kim EK, Yu SJ. A Study of ADL,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etween the Aged group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24:61-80, 2010. 

  17. Nam KM, Jung EK.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2:325-348, 2011. 

  18.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39(2):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9. Sherbourne 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 Sci Med, 32(6):705-714. 1991. 

  20. Lim MK, Shin YJ, Yoo WS, Yang BM, Kim MH.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1):54-62. 2003. 

  21.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urement 1977;1:385-401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2. Lee JC, Park JA, Bae NK, Cho YC.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3(2):204-220, 2008. 

  23. Lim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and Family Support among the Elderly People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4): 1721-1731,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4.1721 

  24. Baek JT, Lee HY, Cho YC. Relating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506-515,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5.506 

  25. An EM.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to Socio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in Older Adult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26. Yoon HS, Ji EM, Cho YC. Depression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2674-2683,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674 

  27. Gomez GE, Gomez EA. Depression in the elderly. J Psych Nur 31(5):28-33. 1991. 

  28. Bowling A.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ver a two and a half year period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London. Soc Sci Med 36:641-655 1993. DOI: http://dx.doi.org/10.1016/0277-9536(93)90061-8 

  29. Fujita K, Fujiwara Y, Chaves PH et al. Frequency of going outdoors as a good predictors for incident disability of physical function as well as disability recover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rural Japan. J Epidemiol, 16(6):261-270, 2006. DOI: http://dx.doi.org/10.2188/jea.16.261 

  30. Kim NC, Yang S. Physic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a Community-Dwelling Elderly Group. Korean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31(6):1012-1020, 2001. 

  31. Kim JU, Choi Y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Older People in Local Small C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208-219, 2015. 

  32. Haines AP, Imeson JD, Meade TW: Psychoneurotic profiles of smokers and non-smokers. Br Med J 280:1422. 1980. 

  33. Fuchino Y, Mizoue T, Tokui N, Ide R, Fugino Y, Yoshimura T. Health-related lifestyle and mental health among inhibatants of a city in Japan. Japanese J Public Health, 50(4):303-313., 2003. 

  34. Kobayashi K, Kobayashi R, Kubo S, Sondoda T, Mori M.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some relevant factors. Japanese J Public Health, 52(1):55-65. 2005. 

  35. Song YS, Kim TB, Bae NK, Cho YC. Relating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th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2):247-260, 2018. 

  36. Berkman LF, Syme SL. Social network,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9-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y residents. Am J Epidemiol 109:186-204. 1979. 

  37. House JS, Robbins C, Metzner HM. The associ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with mortality: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Tecumseh community health study. Am J Epidemiol 116:123-140. 1982. 

  38. Prince M, Harwood RH, Thomas A.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the effects of disablement and social milieu on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late-life depression: The Gospel Oak Project VII. Psychol Med 28:337-350, 1998. 

  39. Ihara K. Depressive ststes and their correlates in elderly people living in a rural community. Jpn J Pub Health, 40:85-93, 1993. 

  40. Son JY.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Elderly Depress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41. Eom TW.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indigent popul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8(4):36-66, 2008 

  42. Shin ES, Kwon IS, Cho Y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 in the Community Elderl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4995-5004,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4995 

  43. Park MJ. Buffering effects of Strengths and Social Support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2):197-211,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