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ren's Learning Readiness Mediating Effects of Paren-Child Interactions and Parental Attitud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563 - 573  

김영미 (부산여자대학교 아동복지보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5차(2012년)부터 7차(2014년)까지 3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480개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5차년도 기준으로 만 5세이다. 분석도구로는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경로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아동의 학습준비도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습준비도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를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과 대책이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mediated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Data was used from the 5th (2012) to 7th (2014) Korean Children's Panel, and a total of 1,480 data s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등학교 생활 초기에 학업이나 학교생활에 대한 부적응이 나타나면 그 이후의 시기에서도 성공적인 학업생활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을 둔 국내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심리적 요인과 태도적 요인, 행동적 요인 모두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다음 해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영향을 받은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그 다음 해의 아동의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입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아동의 학습준비에 이르는 요인의 양상을 횡단자료를 이용한 분석으로 단편적인 면만을 확인하는 데 그쳤으나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준비도란 무엇인가? 학습준비도는 초등학교 학습에서 요구되는 기초지식이나 태도, 기술 등의 습득 정도로 아동이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초등교육과정에 원활히 참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의된다[2]. 또한 아동의 행동과 인지발달 및 교실에서의 적응에 관한 폭 넓은 개념으로도 해석되기도 한다[3].
허용적이고 온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자녀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허용적이고 온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창의성을 높인다[20, 21]. 또한 부모가 자녀를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돌보고 자녀의 자율적인 태도와 행동을 지지하며 양육할 때 자녀는 스스로를 신뢰하며 강한 자신감을 갖게 되고[22] 이렇게 건강한 내면을 가진 아동은 학업에 긍정적인 태도로 임하게 된다[23].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처럼 아동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선행연구에서도 실증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학습준비도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또한 아동의 행동과 인지발달 및 교실에서의 적응에 관한 폭 넓은 개념으로도 해석되기도 한다[3]. 학습준비도에 대한 초기 관점은 대체로 학업성취를 위한 문제해결력과 인지적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인지적 측면, 사회정서적 측면, 태도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4, 5]. 학습준비가 잘 되어 있는 아동은 또래나 교사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학업성취도 수준이 우수한 반면[6, 7] 학습준비도가 낮은 아동은 지속적인 학업문제를 나타내고[8] 또래 및 교사와 충돌하는 경향이 있다[9,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G. J. Duncan, C. J. Dowsett, A. Claessens, L, Magnuson, A. C. Huston, & P. Klebanov,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 Vol.43, No.6, pp.1428-1446, 2007. 

  2. K. S. Chung,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o Children's School Readines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Vol.10, No.2, pp.19-31, 1989. 

  3. P. Parker-Martin. Evaluating a district-wide kindergarten transition proces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University of Arizona, 1999. 

  4. I. N. Jae, Child Research, Kyunggi-do:Yangseowon, 1993. 

  5. H. J. Park. The Effects of Maternal Factors in Bipolar Income Groups on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6. S. J. Kim & K. J. Kwak,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of Grade 1 and 2 according to Parental Income: Parenting Efficacy, Self 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19, pp.85-105, 2012. 

  7. G. W. Ladd, S. H. Birch, & E. S. Buhs, Children's social and scholastic lives in kindergarten: Related spheres of influence?. Child development, Vol.70, No.6, pp.1373-1400, 1999. 

  8. D. R. Entwisle, K. L. Alexander & L. S. Olson, First grad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y age 22: A new st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110, No.5, pp.1458-1502, 2005. 

  9. K. M. Rudasill, S. E. Rimm-Kaufman, L. M. Justice, & K. Pence, Temperament and language skills as predictor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in preschool,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17, Nol2, pp.271-291, 2006. 

  10. S. Vaughn, A. Hogan, G. Lancelotta, S. Shapiro, S, & J. Walker, Subgroup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ild behavior problems:Social competence and reading achieve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21, No.2, pp.98-106, 1992. 

  11. J. J. Lim, Y. J. Kim, S W. Cho & S. H. Ahn, "Differences in Their Children's School Readiness by Mo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Mothe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4, pp.295-319, 2012. 

  12. J. A.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etic 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mpathetic abil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ety, Vol.38, No.4, pp.5-23, 2018.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8.38.4.001 

  13. S. J. Kwan, K. Y. Le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Caregiving Supports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ocusing on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Childcare Policy Research, Vol.12, No.2, pp.57-81, 2018. DOI: https://doi.org/10.5718/kcep.2018.12.2.57 

  14. P. S. Chul, "Relation among self, situation, and behavior of the internet community users : from the viewpoint of symbolic interaction",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05. 

  15. H. J. Jeon, Peterson, C. A., & DeCoster, J. "Parent-child interaction, task-oriented regul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toddlers facing developmental risk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4, No.6, pp.257-267, 2013. 

  16. A. Hsin and C. Felfe, When does time matter? Maternal employment, children's time with parents, and child development. Demography, Vol.51 No.5, pp.1867-1894, 2014. 

  17. J. H. Lee, I. K. Cho.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ir childre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arenting, The Journal of Play Therapy, Vol.23, No.1, pp.15-30, 2019. 

  18. W. C. Becker,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Vol.1, No.9, pp.169-208, 1964. 

  19. W. S. Jung, Modern Educational Psychology, Seoul: Education Publisher, 1990. 

  20. H. O. Park,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pecial and gifted education journal, Vol.4, No.2, pp.125-147, 2017. 

  21. M. R. Lee, The influenc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on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Creativity Research, Vol.3, No.1, pp.139-160, 2013. 

  22. S. J. Le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to Career Maturity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2011. 

  23. S. H. J. Park, S. M. Song, & Y. H. Le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verty and Comparative Group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22, No.3, pp.407-416, 2011. 

  24. W. Kim, E. A. Park & S. M. Chu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y Research, Vol.8, No.2, pp.123-142, 2016. 

  25. M. J. Doh, J.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5, No.3, pp.31-48, 2011. 

  26. R. Abidi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9, No.4, pp.298-301, 1990. 

  27. M. L. Kim, Y. J. Lee & J. H. Le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tress and Leisure Constrain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9, No.1, pp.366-375, 2009. 

  28. J. S. Yoon, "Relationship between5-years-old Children's 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xpectation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6. 

  29. J. S. Yoon, M. H. Lee & Y. M. Le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on School Readiness as for their Child's Gender, Journal of Children's media research, Vol. 16, No.1 pp.131-155, 2017. DOI: http://dx.doi.org/10.21183/kjcm.2017.03.16.1.131 

  30. Y. H. Song,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on School Readiness for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8. 

  31. E. H. Kong,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aring Outcome Expecta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Capability of Monthers of Disabled Childredn as well as Social Support and their Child-rearing Stres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1. 

  32. J. A. Kim,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on the Parenting attitud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7, No.2, pp.303-326, 2016. 

  33. K. J. Park, Y. H. Kwon, Maternal Behavior during Mother - Child Problem Solving :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Secur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3, No.4, pp.53-70, 2002. 

  34.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professional manual, 3r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5. Calikins, S. D., Hungerford, A., & Dedmon, S. E. (2004). Mothers' interactions with tempertamentally frustrated infant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5, 219-239. 

  36. E. K. Ko, Parenting stress is a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mong parents, spousal child care, and family interaction of mothers and fathers,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Vol.8, No.3, pp.1-18, 2017. 

  37. Y. M. Kim, & H. N. Song.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 9, no. 2, pp. 71-88, 2015. 

  38. Y. K. Mo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Infant Mother's Parenting Behavior: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30, No.3, pp.165-177, 2012. . DOI: http://dx.doi.org/10.7466/JKHMA.2012.30.3.165 

  39. J. M. Kim, J. W. Han,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in Childhood: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2, pp.437-445, 2016. DOI: http://dx.doi.org/10.5726/KAIS.2016.17.12.437 

  40. K. H. Kim, H. K. Kang, Development of Parenting Stress Scal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5, No.5, pp.141-150, 1997. 

  41. E. J. Choi, E. H. Kim, The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interaction on child's problematic behavior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4, No.2, pp.1-21, 2019. DOI: http://dx.doi.org/10.20437/KOAECE24-2-01 

  42. B. H. Cho, J. S. Lee, H. S. Lee & H. K. Kwon, Dimensions and Assessment of Korean Parenting Styl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7, No.10, pp.123-133, 1999. 

  43. D. A. Murphey, C. E. Burns,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Vol.4, NO.2, pp.1-8, 2002. 

  44.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p.445, The Guilford publishers, 2015. 

  45. D. W. Russell, J. H. Kahn, R. Spoth & E. M.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1, pp.18-29, 1998. 

  46. Y. S. Seo, Testing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Distinction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2, No.4, pp.1147-1168, 2010. 

  47. P. M. Bentler, D. G. Bonett,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No.3, pp.588-606, 1980. 

  48. L. R. Tucker, C.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No.1, pp.1-10, 1973. 

  49.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50. M. W. Browne &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21,No.2, pp.230-258, 1992. DOI: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51.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1998. 

  52. H. R. Yoon, S. J. Ahn & S. H.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Peer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Association, Vol.20, No.1, pp.33-45, 2017. 

  53. H. J. Jang, H. J. Bang & O. Jung, The Influence of Maternal Belief about Corporal Punishment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 Adjustment Problems mediated by Corporal Punish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8, No.3, pp.143-163, 2005. 

  54. H. J. Jeon, S, K. Cho, M. J. Kim & H. J. Choi, Belief in the value of children's father, grow, influence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hange fac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5, pp.2678-2688,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67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