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방머리자세에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 및 정량적 체성감각의 상관분석
The Function and Quantitative Somatosensory Correlation Analysis of Temporomendibular Joint according to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645 - 651  

이은상 (광주 수완병원 스포츠 재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장애 및 정량적 턱관절체성감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선정요구를 충족한 62명의 대상자(22.15±2.56세)을 대상으로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중재 후 전방머리 자세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 및 체성감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중재는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주 3회 총 4주간 총 12회 진행되었다. 전방머리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머리-척추각을 검사하였으며, 턱관절 기능은 입 벌림과 좌, 우측 치우침을 검사 하였고, 체성감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동역치감각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머리 척추각의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p<0.001) 및 체성감각(p<0.001)의 변화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기능 및 체성감각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턱관절 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턱관절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턱관절의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ward head posture (FHP),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and temporomandibular joint quantitative somatosensory sens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somatosensory sensation accordin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onnesen 등[24]은 머리의 위치에 따라 턱관절기능의 관련성을 시사한바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목과 머리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기능 및 정량적 체성감각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 또한 턱관절과 목의 연관성 시사할 뿐 어떤 부분에서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방머 리자세와 턱관절 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전방머리 자세의 변화에 따른 턱관절의 정량적인 감각 변화에 대해 분석하여 턱관절 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가 턱관절의 기능과 감각에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 하였고, 전방 머리자세는 턱관절의 기능 및 정량적 감각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전방머리 자세와 더불어 턱관절 장애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턱관절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턱관절의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방 머리자세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전방머리자세 해소에 따른 턱관절 기능 및 체성감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전방머리자세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CVA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른자세란 무엇인가? 바른 자세는 몸에 긴장과 스트레스를 최소화시켜 주며 근골격적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바른자세란 이상적 자세 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바깥 귀길이 신체 수직선상과 정렬을 이룰 때 성립된다[1]. 그러나 현대 사회가 발달하면서 자동화된 공정과 컴퓨터를 활용하는 경제활동과 스마 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비정상적 자세를 야기하게 된다 [2].
비정상적 자세가 우리 몸에 끼치는 악영향은? 그러나 현대 사회가 발달하면서 자동화된 공정과 컴퓨터를 활용하는 경제활동과 스마 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비정상적 자세를 야기하게 된다 [2]. 비정상적 자세는 누적손상 장애와 불안정한 자세를 만들며, 근육경직과 운동부족 등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3]. 대표적인 비정상적 자세 중 전방머리자세 (forward head posture)가 가장 흔하게 관찰 할 수 있는 유형중 하나이다[4].
전방머리자세에 따른 턱관절의 체성감각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알려졌는가? 그 이유는 Gonzalez 등[26]의 연구에 의하면 상부 목뼈의 과다 폄이 증가할수록 머리의 후방 기울임이 증가하고 그 결과 아래턱뼈의 전방 끌림이 유도된다고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 봤을 때 전방머리자세가 진행됨에 따라 머리의 후방기울 임이 증가하여 아래턱뼈가 전방 끌림이 증가하였고, 턱관 절의 기능 및 압통 역치를 감소시켜 턱관절의 정량적 감각역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K. Shin, "The study on the relevance of right posture evaluation and sub-healthv",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9, No. 4, pp.987-995, 2018. DOI: https://dx.doi.org/10.7465/jkdi.2018.29.4.987 

  2. Y. J. Moon, "Changes of Upper Extremity Muscle on the Hourly with Smart-phone Use - Focused on Muscle Activity and Median Frequency -",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9, No. 3, pp.341, 2015. DOI: https://dx.doi.org/10.21184/jkeia.2015.09.9.3.341 

  3. Y. J. Choi, R. Hwang, "Effect of Cervical and Thoracic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Forward Head Postur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0, pp.293-300, 2011. DOI: https://dx.doi.org/G704-001475.2011.11.10.048 

  4. A. K. Akodu, S. R. Akinbo, Q. O. Young, "Correlation among smartphone addiction, craniovertebral angle, scapular dyskinesis, and selected anthropometric variables in physiotherapy undergraduates", Journal of Taibah University Medical Sciences, Vol. 13, No. 6, pp.528-534, Dec 2018. DOI: https://dx.doi.org/10.1016/j.jtumed.2018.09.001v 

  5. D. Y. Won, S. Y. Kim, Y. S. Kim, J. H. Park, Y. K. Ahn, Y. K. Lee, E. Y. Jang, S. J. Jeong, S. H. Choi, I. H. Hyeong, "The effects of the neck extensor strength exercise and the thoracic extensor strength exercise o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18, No. 2, pp.41-49, 2011. 

  6. S. L. Kraus, "TMJ disorders: management of the craniomandibular complex": Churchill Livingstone, 1998. 

  7. J. Saal, "The new back school prescription: stabilization training. Part II", Occupational medicine (Philadelphia, Pa), Vol. 7, No. 1, pp.33-42, 1992. 

  8. B. Shaghayegh Fard, A. Ahmadi, N. Maroufi, J. Sarrafzadeh, "Evaluation of forward head posture in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European spine journal, Vol. 25, No. 11, pp.3577-3582, Nov 2016. DOI: https://dx.doi.org/10.1007/s00586-015-4254-x 

  9. K. Mekhora, C. Liston, S. Nanthavanij, J. H. Cole, "The ef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 26, No. 3, pp.367-379, 2000. DOI: https://dx.doi.org/10.1016/S0169-8141(00)00012-3 

  10. M. A. Finley, R. Y. Lee, "Effect of sitting posture on 3-dimensional scapular kinematics measured by skin-mounted electromagnetic tracking sens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4, No. 4, pp.563-568, 2003. DOI: https://dx.doi.org/10.1053/apmr.2003.50087 

  11. E. F. Faulin, C. G. Guedes, P. P. Feltrin, C. M. Joffiley,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abnormal head postures", Brazilian oral research, Vol. 29, No. 2015. DOI: https://dx.doi.org/10.1590/1807-3107BOR-2015. vol29.0064 

  12. Sanghoon Jo, "Injection therapy for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lar joint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Vol. 57, No. 4, pp.222-232, 2019. 

  13. Y. K. Le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association with selected systemic diseases, Dankook University, 2013. 

  14. C. Fernandez-de-las-Penas, F. Galan-del-Rio, C. Alonso-Blanco, R. Jimenez-Garcia, L. Arendt-Nielsen, P. Svensson, "Referred pain from muscle trigger points in the masticatory and neck-shoulder musculature in wo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ders", The Journal of Pain, Vol. 11, No. 12, pp. 1295-1304, 2010. 

  15. J. Y. Kim, "Effects of Deep Cervical Flexors Strengthening Exercise on Cervical-Shoulder Angle, Disability index and pain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aedic manual therapy, Vol. 21, No. 2, pp.33-37, 2015. 

  16. S. Raine, L. T. Twomey, "Head and shoulder posture variations in 160 asymptomatic women and me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8, No. 11, pp.1215-1223, Nov 1997. DOI: https://dx.doi.org/10.1016/s0003-9993(97)90335-x 

  17. D. S. Saund, D. Pearson, T. Dietric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assessment of mouth opening: a validation study", BMC oral health, Vol. 12, No. 12, pp.48, 2012. DOI: https://dx.doi.org/10.1186/1472-6831-12-48 

  18. R. Singh, K. Rao, D. Anap, C. Iyer, S. Khatri, "The short term effect of TheraBite(R) on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a case study", J Palliative Care Med, Vol. 1, No. 102, pp. 2, 2013. DOI: https://dx.doi.org/10.4172/jpmr.1000102 

  19. M. Ushio, T. Murofushi, Y. Chihara, S. Iwasaki, T. Yamaguchi, K. Kaga, "Testing of vibratory thresholds as a clinical examination for patients with unsteadiness due to somatosensory disorders", Gait & posture, Vol. 28, No. 4, pp.552-558, 2008. DOI: https://dx.doi.org/10.1016/j.gaitpost.2008.03.010 

  20. M. Blankenburg, H. Boekens, T. Hechler, C. Maier, E. Krumova, A. Scherens, W. Magerl, F. Aksu, B. Zernikow, "Reference values for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and gender differences of somatosensory perception", Pain, Vol. 149, No. 1, pp.76-88, 2010. DOI: https://dx.doi.org/10.1016/j.pain.2010.01.011 

  21. E. Lee, J. Cho, S. Lee, "Short-Foot Exercise Promotes Quantitative Somatosensory Function in Ankle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al science monitor :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Vol. 25, No. pp.618-626, 21 2019. DOI: https://dx.doi.org/10.12659/msm.912785 

  22. C. Fernandez-de-las-Penas, C. Alonso-Blanco, M. L. Cuadrado, J. A. Pareja,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blinded, controlled study", Cephalalgia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dache, Vol. 26, No. 3, pp.314-319, 2006. DOI: https://dx.doi.org/10.1111/j.1468-2982.2005.01042.x 

  23. G. T. Clark, E. M. Green, M. R. Dornan, V. F. Flack, "Craniocervical dysfunction levels in a patient sample from a temporomandibular joint clinic",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 115, No. 2, pp. 251-256, 1987. DOI: https://dx.doi.org/10.14219/jada.archive.1987.0231 

  24. L. Sonnesen, M. Bakke, B. Solow,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relation to craniofacial dimensions, head posture and bite force in children sele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Vol. 23, No. 2, pp.179-192, 2001. DOI: https://dx.doi.org/10.1093/ejo/23.2.179 

  25. J. P. Okeson, :The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 Chicago, Quintessence. pp. 1-18, 1996. 

  26. H. E. Gonzalez, A. Manns, "Forward head posture: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influence on the stomatognathic system, a conceptual study", CRANIO(R), Vol. 14, No. 1, pp.71-80, 1996. DOI: https://dx.doi.org/10.1080/08869634.1996.11745952 

  27. R. La Touche, A. Paris-Alemany, H. von Piekartz, J. S. Mannheimer, J. Fernandez-Carnero, M. Rocabado, "The influence of cranio-cervical posture on maximal mouth opening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myofascial temporomandibular pain disorder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Vol. 27, No. 1, pp.48-55, 2011. DOI: https://dx.doi.org/10.1097/AJP.0b013e3181edc1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