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선 길이 특성을 이용한 일관된 최소 점간거리 결정 방안
Determination of Minimum Vertex Interval using Shorelin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4, 2019년, pp.169 - 180  

우희숙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연구소) ,  김병국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권광석 ((주)유에스티 21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선은 국가의 형상을 결정하는 기준이기 때문에 일관되게 추출되어야 한다. 최소 점간거리가 일관되지 않으면 일관된 해안선 길이를 산출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1m 이하에서 임의의 점간거리로 산출될 수 있는 해안선에 대하여 일관되게 산출하기 위한 최소 점간거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공표한 해안선 길이를 기준으로 점간거리에 따른 해안선 길이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고 해안선과 중첩되는 격자를 생성하였다. 비교결과를 토대로 일관된 해안선 길이를 고려한 최소 격자 크기를 추정하는 다항식을 유도함으로써 최소 격자 크기와 최소 점간거리를 결정할 수 있었다. 공표된 해안선 길이와 다양한 격자 크기로 일반화된 해안선 길이를 비교하고 점간거리에 따른 해안선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일관한 해안선 길이를 고려한 최소 점간거리를 추정할 수 있었다. 결정된 격자 크기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 결과에 따르면 일관된 해안선 길이 결정에 최소 점간거리 방법론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시한 최소 점간거리 결정 방안은 일관된 해안선 길이를 산출하는데 도움이 되고 국가 기준인 해안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relines should be extracted with consistency because they are the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a country. Even in the same area, inconsistent minimum vertex intervals cause inconsistencies in the coastline length, making it difficult to acquire reliable primary data for national policy ...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안선 기준길이와 일반화된 해안선 길이 차에 대한 비율을 산정하여 격자 크기에 따른 해안선 길이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격자 내에서 표현되는 평균 점간거리를 최소 점간거리로 적용하기 위해 검증하고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평균 점간거리를 최소 점간거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격자를 생성하고 일반화해야하는 복잡한 과정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동일지역에 대한 해안선 추출 시 최소 점간거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1단계를 격자 크기를 이용하여 격자 내에 포함되는 기준길이에 대하여 일반화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일지역에서 해안선 추출 시 1m이하에서 입력되는 점간거리를 대한 일관된 기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해안선 자료 현황을 분석하였다.
  • 평균 점간거리를 최소 점간거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격자를 생성하고 일반화해야하는 복잡한 과정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지역의 점간거리 입력 시 적정한 정확도 내의 비율을 입력하면 최소 점간거리를 역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다항식을 유도했다. 격자 크기와 일반화된 해안선 길이 비율의 관계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앞서 수행한 평균점간거리를 충족할 수 있는 구간을 확인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일정지역에 대한 일관된 해안선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해안선 길이 특성을 이용하여 최소 점간거리 방안을 제시했다. 2014년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공표한 국내 해안선 자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명확한 기준 없이 1m이하에서 입력되고 있는 점간거리를 확인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률에 의한 해안선 정의는? 해안선 자료는‘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제 6조 4항에서“해안선은 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는 법률적 근거에 준하여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조사·측량된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정확하고 일관된 해안선 자료구축을 위해 어떻게 했는가? ”는 법률적 근거에 준하여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조사·측량된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정확하고 일관된 해안선 자료구축을 위해 2001년~2013년까지 제 1차 해안 선조사사업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2014년 최초 법률적 근거에 기반한 국내 해안선 길이는 1만 4,936㎞라고 공표했다. 해안선 자료는 항공레이저 측량으로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1차 해안선을 자동 추출하고 단순화(직선화), 유선화 과정의 2차 작업 과정 후 최종 해안선을 추출한다.
해안선 작업 시 이루어지는 전산작업(단순화, 유선화 작업)에서 점간거리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고 있음이 나타내는 점은? 제 1차 해안선조사사업을 분석한 결과 해안선 작업 시 이루어지는 전산작업(단순화, 유선화 작업)에서 점간거리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관되지 않은 해안선 자료의 시작임을 짐작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H. 2012. The Change of Coastline through High Pass Filter using ASTER Ima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6(6):1279-1284 

  2. Hwang, C.S. 1993. Cartographic Line Feature Simplification for Multi-scale digital Map. Journal of Geography 21(22):17-33 

  3. Jang, B.J., Moon, K.S., Lee, S.H., Kwon, K.R. 2011.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Effective Compression Technique for Secure Transmission and Storage of GIS Digital Map 14(2):210-218 

  4. Lee, K.S., Choi, J.M., Joh, C.H. 2015. Method to Extract Coastline Chan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5):473-483 

  5. Mandelbrot, B.B. 1967. How Long Is the Coast of Britain? Statistical Self-Similarity and Fractional Dimens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56(3775):636-638. 

  6. Tong, Q., Shan, J., Zhu, B. 2014. Object-oriented coastline classification and extraction from remote sensing imagery.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18th 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f China. doi:10.1117/12.2063845. 

  7. Woo, S.H., Kwon, K.S., KIM, B.K. 2018. Study on Estimation of Minimum Vertex Interval for Consistent Shoreline using Qgis. -Mainly on Jeju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Conference 2018(5):111-112 

  8. Zhang, Y., Li, X., Zhang, J., Song, D. 2013. A Study on Coastline Extraction and Its Trend Based on Remote Sensing Image Data Mining. Abstract and Applied Analysis. Research Article doi:10.1155/2013/693194. 

  9. Paul, R. and Voicu, P. 2012. Simplification of Node Position Data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Dynamic Datasets. IEEE Trans Vis Comput Graph 18(9):1537-1548. 

  10. Shoreline Survey Results Report, KHOA (Korea Hydrographic & Oceanographic Agency). 2001-2013 

  11. Technical Reports of KHOA (Korea Hydrographic & Oceanographic Agenc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