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촬영에서 kVp와 mAs의 변화에 따른 농도와 환자 선량 비교
A Comparison of Density and Patient Doses According to kVp and mAs Changes in General Radiograph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3 no.7, 2019년, pp.987 - 994  

강은보 (동의과학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촬영의 저관전압 촬영에서 발생되는 저 에너지 X-선은 신체에 흡수가 많고 영상 품질 향상에는 도움을 주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촬영에서 적정 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해 농도에 따른 관전압 15%법칙과 농도에 비례하는 관전류량을 이용하여 면적 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였다. Hand, Knee, Abdomen, Skull 촬영에서 kVp를 115%까지 증가하면서 mAs를 50%까지 감소시키고, kVp를 85%까지 감소시키고 mAs를 200%까지 증가시키면서 면적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영상의 5군데를 정하여 농도를 측정하고 Kruskal wallis H 검증을 하여 집단-간의 유의확률을 알아보았다. 농도를 일정하게하기 위해 관전압을 115%로 증가하고, 관전류를 50%로 감소시킨 조건에서 각 부위별 평균 면적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한 결과 기준 선량을 100%로 할 때 각각 58.68%, 59.85%로 감소하고, 관전압을 85%로 감소하고 관전류를 200%로 증가시킨 조건에서 각각 147.28%, 159.9%로 증가하였다. 농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Hand, Knee, Abdomen, Skull 촬영 모두 유의확률 >0.05 나타나 농도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력과 대조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한 계산을 통해 관전압을 증가시키고 관전류를 낮게 해서 촬영하는 것이 적정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energy x-rays that occur in the low tube voltage radiography of general radiography are absorbed strongly in the body and do not aid image quality enhancement. This study maintains titer in general radiography while using tube current that are proportional to density and the tube voltage 15% pr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촬영 조건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적정화질을 유지하면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9,10] 본 연구에서는 적정 화질을 유지하면서 관전압을 높이고 관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 환자선량을 줄일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정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해 농도에 따른 관전압 15%법칙과 농도에 비례하는 관전류량[11]을 계산하여 면적 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피폭선량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하고 비교하여 최상의 촬영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9,10] 본 연구에서는 적정 화질을 유지하면서 관전압을 높이고 관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 환자선량을 줄일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정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해 농도에 따른 관전압 15%법칙과 농도에 비례하는 관전류량[11]을 계산하여 면적 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피폭선량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하고 비교하여 최상의 촬영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검사에서 환자가 받는 피폭 선량은 무엇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가? 그러므로 방사선사로서 선량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상검사에서 환자가 받는 피폭 선량은 관전압과 관전류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촬영 조건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적정화질을 유지하면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최근 영상의학검사에 대한 비중은 영상장비의 발전으로 인해 증가하였는데 이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분야에서 영상의학검사에 대한 비중은 영상장비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리방사선에 의한 피폭도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화된 의료시스템을 갖춘 나라에서는 국민 1인당 검사 횟수가 1회 이상이 된다고 보고하였다.[1] 또한 UN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 2000 보고서는 같은 유형의 영상검사에서 환자선량의 차이가 10~100배까지 차이가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환자의 피폭선량 관리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인공 방사선 피폭에서 자연 방사선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또한 UN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 2000 보고서는 같은 유형의 영상검사에서 환자선량의 차이가 10~100배까지 차이가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환자의 피폭선량 관리의 중요성을 암시한다.[1] 인공 방사선 피폭에서 의료에 의한 피폭은 95%를 차지하며 세계적으로 자연 방사선 다음으로 많다.[1] 2006년도 미국의 예비 분석에서는 환자의 의료피폭이 자연방사사선에 의한 국민의 피폭 기여분과 대등하다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UNSCEAR, 2000.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United Nation, New York, NY. 

  2. F. A. Mettler, B. R. Thomadsen, M. Bhargavan, D. B. Gilly, J. E. Gray, J. A. Lipoti, J. McCrohan, M. Mahesh, "Yoshizumi, Medical radiation exposure in the U.S. 2006: Preliminary results," Health Phys. Vol. 95, No. 5, pp 502-507, 2008. 

  3. http://www.nifds.go.kr/brd/m_21/view.do?seq5783&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11 

  4. ICRP, 1966.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9. Pergamon Press, Oxford, UK. 

  5. ICRP, 197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26. Ann. ICRP 1(3). 

  6. ICRP, 1991b. 1990 Recommendations of the ICRP. ICRP Publication 60. Ann. ICRP 21(1-3). 

  7. J. G. Lee,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103,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p. 301-344, 2008. 

  8. J. G. Lee, PRINCIPLES OF RADIATION PROTECTION,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Application, Vol. 1, pp. 381-450, 2016. 

  9. B. R. Park, D. U. Sung, "A Comparative Study of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with Changes in Tube Voltage and Current for a Digital Chest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2, No. 2, pp. 131-137, 2010. 

  10. M. Sandborg, A. Tinqberg, G. Ullman, D. R. Dance, G. "Alm Carisson, Comparison of clinical and physical measures of image quality in chest and pelvis computed radiography at different tube voltages," Med Phys, Vol. 33, No. 11, pp. 4169-4175, 2006. 

  11. B. S. Kim, B. S. Kang, S. C. Kim, S. C Kim, B. L. Park, C. H. Park, G. S. Lee, J. D. Im, H. S Jo, D. G. Han, PRINCIPLES OF RADIOGRAPHIC IMAGING, 4th Edition, komoonsa, pp. 99-109, 2010. 

  12. https://www.nifds.go.kr/brd/m_15/view.do?seq53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