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백금촉매 및 MEA 장기내구성 평가 방법의 비교
A Comprehensive Review of PEMFC Durability Test Protocol of Pt Catalyst and MEA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6, 2019년, pp.659 - 666  

함가현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정선기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전해질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자발적으로 생산하며, 높은 전류밀도와 비교적 낮은 구동온도의 장점을 가져 화석연료를 대체할 미래 친환경 화학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현재 연료전지는 수소전기차를 중심으로 가정용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중에 있다. 하지만 연료전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인 문제가 보완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연료전지 각 구성요소의 장기 내구성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특히 연료전지의 연료극과 공기극에서 사용되는 탄소담지 백금촉매는 연료 전지 운전조건에 따라 다양한 기작을 통하여 성능 감소가 일어난다. 이에 연료전지용 촉매의 내구성 파악을 위한 가속테스트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용 백금 기반 촉매의 성능 감소 기작을 설명하고, 지금까지 제시된 가속스트레스 시험을 통한 내구성 평가 방법에 대해 비교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s) generate electricity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of hydrogen and oxygen. PEMFCs are expected to alternate 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fossil fuels with various advantages of high power density, low operating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friendly pr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고순도의 수소를 사용하는 수송용 PEMFC와 다르게, 건물용 PEMFC는 천연가스를 개질한 가스를 연료로써 사용하기에 수송용 PEMFC와는 다른 방식으로 내구성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촉매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기작을 설명하고, 세 기관에서 발표한 수송용 PEMFC의 AST 프로토콜을 비교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건물용 PEMFC용 AST 프로토콜을 서로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Table 3은 일본 NEDO에서 사용하는 촉매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AST 프로토콜이다[21]. 두 개의 프로토콜은 앞서 설명한 DOE의 각각 (iii) catalyst support durability와 (ii) electrocatalyst durability 방식과 거의 흡사함을 알 수 있다. NEDO의 경우 탄소산화를 보는 (i) start/stop cycle의 반복횟수가 60,000회이며, 백금 용출을 보는 (ii) load cycle의 반복횟수가 400,000회로 5,000과 30,000회의 DOE 프로토콜과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 낮은 전류밀도에서는 (i) 활성화 유실로 실제 셀 전압이 1 V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촉매의 활성에 의해 결정된다. 중간 전류밀도에서는 (ii) 저항 유실이 지배적이다. 이는 MEA 중 전기전도성이 없는 고분자전해질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요소이다.
  • 이는 MEA 중 전기전도성이 없는 고분자전해질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요소이다. 높은 전류밀도에서는 (iii) 물질 전달 유실에 의해 연료전지의 셀 전압이 급격하게 강하된다. 높은 전류밀도로 인해 환원극에서 생성되는 물의 양이 많아져 촉매층 내의 촉매 표면으로 반응 가스들이 도달하지 못하여 생기는 현상이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MFC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하여 어떤 장점이 있는가? 즉, MEA의 모든 구성요소가 료전지의 성능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PEMFC 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해 전류밀도 및 출력밀도가 높고, 작동 되는 온도가 낮으며, 부하 변화에 대한 응답특성이 빠른 장점이 있어 건물용 및 백업 전원 그리고 차량용 주전원 등 다양한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2]. 건물용 연료전지(stationary PEMFC)의 경우, 비교적 일정 하게 낮은 출력밀도로 구동되는 반면, 수송용 연료전지(transportation PEMFC)는 주행 속도에 따라 요구 출력밀도가 급격하게 변동되기 때문에 넓은 셀 전압 범위에서 구동이 된다.
고분자전해질 수소연료전지의 공기극에서는 어떤 과정으로 물을 생산하는가? 산화/환원 반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연료전지는 대개 촉매층-전해질 간의 거리가 굉장히 적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구조를 띠고 있으며, Figure 1(a)과 같이 두 개의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두 개의 촉매층(catalyst layer), 고분자전해질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는 GDL을 통과하여 촉매층에 있는 촉매에 의해 수소 이온과 전자로 산화 분리되며, 공기극에서는 고분자전해질을 통해 이동한 수소이온과 외부부하를 통해 이동한 전자가 공급된 공기 중 산소를 환원시키어 물을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의 외부 흐름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낮은 전류밀도에서 PEMFC의 열역학적 셀 전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V보다 항상 작은 값을 보인다. 낮은 전류밀도에서는 (i) 활성화 유실로 실제 셀 전압이 1 V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촉매의 활성에 의해 결정된다. 중간 전류밀도에서는 (ii) 저항 유실이 지배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Larminie and A. Dicks, Fuel Cell Systems Explained, 2nd ed., 45-59, J. Wiley, West Sussex, England, UK (2003). 

  2. J. H. Wee, Application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ystems, Renew. Sustain. Energy Rev., 11, 1720-1738 (2007). 

  3. B. D. James, J. M. Huya-Kouadio, and C. Houchins, Mass Production Cost Estimation of Direct $H_2$ PEM Fuel Cell Systems for Transportation Applications: 2015 Update, 210-216, Strategic Analysis Inc., VA, USA (2015). 

  4. M. Shao, Q. Chang, J.-P. Dodelet, and R. Chenitz, Recent advances in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Chem. Rev., 116, 3594-3657 (2016). 

  5. A. Kongkanand, N. P. Subramanian, Y. Yu, Z. Liu, H. Igarashi, and D.A. Muller, Achieving high-power pem fuel cell performance with an ultralow-pt-content core-shell catalyst, ACS Catal., 6, 1578-1583 (2016). 

  6. A. Kongkanand and M. F. Mathias, The priority and challenge of high-power performance of low-platinum proton-exchange membrane fuel cells, J. Phys. Chem. Lett., 7, 1127-1137 (2016). 

  7. L. Dai, Y. Xue, L. Qu, H.-J. Choi, and J.-B. Baek, Metal-free 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Chem. Rev., 115, 4823-4892 (2015). 

  8. Y. Ha, S. Kang, K. Ham, J. Lee, and H. Kim, Experimental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corroborated optimization of durable metal embedded carbon nanofiber for oxygen electrocatalysis, J. Phys. Chem. Lett., 10, 3109-3114 (2019). 

  9. B. Jeong, D. Shin, M. Choun, S. Maurya, J. Baik, B. S. Mun, S.-H. Moon, D. Su, and J. Lee, Nitrogen-deficient orr active sites formation by iron-assisted water vapor activation of electrospun carbon nanofibers, J. Phys. Chem. C, 120, 7705-7714 (2016). 

  10. D. Shin, X. An, M. Choun, and J. Lee, Effect of transition metal induced pore structure on oxygen reduction reaction of electrospun fibrous carbon, Catal. Today, 260, 82-88 (2016). 

  11. D. Banham and S. Y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of catalyst materials and catalyst layer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An industrial perspective, ACS Energy Lett., 2, 629-638 (2017). 

  12. U.S. DRIVE, Fuel Cell Technical Team Roadmap, 45-59, Department of Energy, USA (2017). 

  13. D. Shin, B. Jeong, M. Choun, J. D. Ocon, and J. Lee, Diagnosis of the measurement inconsistencies of carbon-based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alkaline media, RSC Adv., 5, 1571-1580 (2015). 

  14. D. Shin, B. Jeong, B. S. Mun, H. Jeon, H.-J. Shin, J. Baik, and J. Lee, On the origin of electrocatalytic oxygen reduction reaction on electrospun nitrogen-carbon species, J. Phys. Chem. C, 117, 11619-11624 (2013). 

  15. K. Ham, S. Chung, M. Choi, S. Yang, and J. Lee, Growing behaviors in colloidal solution of Pt crystal for PEMFC cathode, Appl. Chem. Eng., 30, 493-498 (2019). 

  16. J. C. Meier, C. Galeano, I. Katsounaros, J. Witte, H. J. Bongard, A. A. Topalov, C. Baldizzone, S. Mezzavilla, F. Schuth, and K. J. J. Mayrhofer, Design criteria for stable Pt/C fuel cell catalysts, Beilstein J. Nanotechnol., 5, 44-67 (2014). 

  17. I. E. L. Stephens, A. S. Bondarenko, U. Gronbjerg, J. Rossmeisl, and I. Chorkendorff, Understanding the electrocatalysis of oxygen reduction on platinum and its alloys, Energy Environ. Sci., 5, 6744-6762 (2012). 

  18. H. Schulenburg, B. Schwanitz, N. Linse, G. G. Scherer, A. Wokaun, J. Krbanjevic, R. Grothausmann, and I. Manke, 3D imaging of catalyst support corrosion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 Phys. Chem. C, 115, 14236-14243 (2011). 

  19. R. Sharma and S. M. Andersen, Quantification on degradation mechanisms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catalyst layers during an accelerated stress test, ACS Catal., 8, 3424-3434 (2018). 

  20. C. A. Reiser, L. Bregoli, T. W. Patterson, J. S. Yi, J. D. Yang, M. L. Perry, and T. D. Jarvi, A reverse-current decay mechanism for fuel cells, Electrochem. Solid-State Lett., 8, A273 (2005). 

  21. A. Ohma, K. Shinohara, A. Iiyama, T. Yoshida, and A. Daimaru, Membrane and catalyst performance targets for automotive fuel cells by FCCJ membrane, catalyst, MEA WG, ECS Trans., 41, 775-784 (2011). 

  22. G. Tsotridis, A. Pilenga, G. De Marco, and T. Malkow, EU Harmonised Test Protocols for PEMFC MEA Testing in Single Cell Configura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21-33, Joint Research Centre, Luxembourg (2015). 

  23. X. Cheng, Z. Shi, N. Glass, L. Zhang, J. Zhang, D. Song, Z.-S. Liu, H. Wang, and J. Shen, A review of PEM hydrogen fuel cell contamination: Impacts, mechanisms, and mitigation, J. Power Sources, 165, 739-756 (2007). 

  24. R. Chattot and S. Escribano, Ageing studies of a PEM fuel cell stack developed for reformate fuel operation in ${\mu}CHP$ units: Development of an accelerated degradation procedure, Int. J. Hydrogen Energy, 40, 5367-5374 (2015). 

  25. I. Profatilova, P.-A. Jacques, and S. Escribano, Evaluation of parameters accelerating the aging of PEMFCs operating under reformate containing carbon monoxide, J. Electrochem. Soc., 165, F3251-F3260 (2018). 

  26. K. Hartl, M. Hanzlik, and M. Arenz, IL-TEM investigations on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Pt/C electrocatalysts with different carbon supports, Energy Environ. Sci., 4, 234-238 (2011). 

  27. N. Dyantyi, A. Parsons, P. Bujlo, and S. Pasupathi, Behavioural study of PEMFC during start-up/shutdown cycling for aeronautic applications, Mater. Renew. Sustain. Energy, 8, 4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