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암 완치 청소년의 자기표현 경험을 위한 랩 만들기 사례
Rapping as a Means of Improving Self-Expression: A Case Study of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2, 2019년, pp.27 - 51  

최지은 (예술교육치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랩 만들기를 통해 소아암 완치 청소년의 자기표현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된 사례연구이다. 랩 만들기 프로그램은 환경적 지지모델 음악치료 모델에 근거해 구성되었고, 총 3명의 소아암 완치 청소년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회기당 80분, 총 6회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은 노래 토의하기, 가사 만들기, 비트에 맞추어 랩 부르기 등을 통해 랩 만들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음악적·언어적 반응, 사후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고, 사전·사후 자기표현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랩 만들기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 모두 자기표현 평정척도 평균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랩 만들기 프로그램 참여 동안 나타난 참여자들의 언어적 표현과 가사를 분석해보면 참여자들이 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한 사후인터뷰를 통해 참여자들이 학교 복귀 후 대인관계, 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위축되어 있었던 과거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자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자기표현의 경험을 통해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랩 만들기가 소아암 완치 청소년에게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자기 경험을 제공하여 자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ase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self-expression following participation in a rap making program with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The rap making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textual support music therapy model. Three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p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참여자들은 랩 가사를 작성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학교에 적응하고자 하는 의지에대해 이야기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기 인식의 변화를 드러냈으며, 스스로 내적 자원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변화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SMMT 모델을 기반으로 일차적인 목소리 표현의 방법인 랩을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가사를 반영하여 경험함으로써 직접적인 자기표현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완치 청소년에게 랩 만들기 중재를 제공하고 참여자의 자기표현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소아암 완치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중재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완치 청소년이 랩 만들기 경험을 통한 자기표현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리듬적 특징이 두드러지며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장르인 랩 만들기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랩의 가사를 작성하도록 하고, 구조적으로 이를 유도하였을 때 참여과정에서 자발적인 참여가 증가하여 자신이 진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랩을 완성하였으며, 참여과정 중 ‘학교적응의 어려움’, ‘적응에 대한 의지’, ‘자아 개념’에 대해표현하였다.
  • 본 프로그램에는 환경적 지지모델 CSMMT의 3가지 요소인 구조(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참여(involvement)를 비의료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였다. 첫째, 치료가 끝났어도 여전히 비예측적이고, 동의되지 않은 치료로 인해 치료진에 대한 불신이 있는 이들(Zebrack & Isaacson, 2012)을 위해 구조(structure) 측면에서 분명한 기대와 결과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 통제되었던 의료 환경에서는 벗어낫지만 여전히 학교 적응의 어려움으로 주도성과 자발성을 개발할 수 없는 참여자들에게 본 프로그램이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소아암 완치 청소년에게 CSMMT를 적용하여 제한하지않는 환경을 제공하고,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음악적 선택권을 제공하였다. 스스로 자신의감정과 비슷한 음악을 선택하여 가창과 토의하는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나 기존 표현방식에 대해 인식을 할 수 있었으며, 자유롭게 음악적 선택권을 가지고 랩 가사를 작성하며, 자기에 대해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사료된다.
  • 노래부르기나 랩 활동은 음악만들기 작업에 비해 보다 개인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완치 이후 심리적응을 필요로 하는 청소년 암 환자 내면의 불안과 분노 등을 보다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고, 타인의 이해나 수용을 경험하기에 보다 효과적이다(Baker & Uhlig,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CSMMT 모델을 기반으로 일차적인 목소리 표현의 방법인 랩을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가사를 반영하여 경험함으로써 직접적인 자기표현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완치 청소년에게 랩 만들기 중재를 제공하고 참여자의 자기표현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소아암 완치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중재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완치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의 주 활동으로 랩을 적용하기 위해 의료환경 내 아동대상 음악치료 모델 중 하나인 환경적 지지모델 음악치료(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 이하 CSMMT)를 적용하고자 한다. CSMMT는 의료 환경이라는 낯설고 스트레스 받는 환경에 있는 아동청소년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조, 자발성 지지, 참여의 3가지 요소를 제공하여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는 모델이다(Robb,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암 완치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은 어떠한가? 이러한 높은 생 존률은 암투병 이후 신체적인 생존 이외에 사회로의 재적응을 위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암 생존자의 다양한 심리사회적인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안 마련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소아암 완치 청소년의 경우 암 치료 이후 다시 학교를 비롯한 사회로의 재적응이 요구되는 발달적 특성으로 인해 이를 만성질환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들의심리사회적 적응이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Yeh et al., 2016).
비언어적 치료매체로서 음악은 소아암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대상군에게 언어개입을 기반으로 한 중재를 통해접근할 경우 미성숙한 자기감정의 표현으로 인해 공격성이나 부적응 행동을 일으키게 될 가능성이 있다(Baker & Uhlig, 2013). 반면, 비언어적 치료매체로서 음악은 음악요소들이 갖는치료적 특성들이 개인의 감정과 에너지를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고(Chong, 2011), 특히 개인고유의 목소리를 통한 표현은 감정표현의 통로가 될 뿐 아니라 다양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다(Baker & Uhlig, 2013). 목소리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부르기의 경우 노래를 부르는 행위와 더불어 노래 가사가 갖는 구체적인 자기표현을 통해 감정 이입과 동일시 경험을 제공하여 자기이해를 도울 수 있다(Bruscia, 2006).
리듬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또한 리듬요소를 기반으로 말을 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소아암 완치 청소년이 환자로서의 자신보다는 건강한 개인으로서의 자신을 자각하도록 하여 건강한 자기표현 경험을 돕는다.이야기 형식의 랩이나 노래를 듣고 토의하는 것과 같은 수용적인 음악 활동은 소아암 완치 청소년의 공감과 동일시 경험을 유도하여 이들이 자신에 대해 자각하고, 자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정한 규칙이 있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랩의 특징을 통해청소년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능동적이고 자연스럽게 시도할 수 있으며(Kim, 2015), 스스로 표현한 내용과 완성된 음악을 통해 자신에 대한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rams, A. N., Hazen, E. P., & Penson, R. T. (2007). Psychosocial issues in adolescents with cancer. Cancer Treatment Reviews, 33(7), 622-630. 

  2. Ander, M., Cederberg, J. T., von Essen, L., & Hoven, E. (2018).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survivors of adolescent cancer reporting a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PloS One, 13(4), e0195899. 

  3. Baker, F., & Uhlig, S. (2013). Voicework in music 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H. J. Chong, S. J. Kim, E. E. Kwak, K. S. Kim, & S. Y. Lee,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Baker, F., & Uhlig, S. (2013). 

  4. Bruscia, K. E. (2006). The dynamics of music psychotherapy (B. C. Choi, & Y. S. Kim,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5. Burns, D. S., Robb, S. L., Phillips-Salimi, C., & Haase, J. E. (2010). Parental perspectives of an adolescent/young adult stem cell transplant and a music video intervention. Cancer Nursing, 33(4), E20-E27. 

  6. Byun, C. J., & Kim, S. H. (1980).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3(1), 51-85. 

  7. Cho, E. J., & Park, E. S. (2017). Adaptation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adolescent cancer survivo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2), 238-248. 

  8. Chong, H. J. (2011). Influence of music on human behavior. Seoul: Hakjisa. 

  9. Grocke, D., & Wigram, T. (2007). Receptive methods in music therapy: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London, UK: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0. Hwang, J. H., & Hong, S. D. (2016). The effects of play 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elementary clas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3), 243-261. 

  11. Kim, J. Y. (2010). The bridge course development for the school reentry support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5(3), 135-154. 

  12. Kim, J. Y., & Joo, E. S. (2017). A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Focusing on the repor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4(1), 55-77. 

  13. Kim, S.-H. (2015). Poetic techniques of rap: Rhyme and flow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14. Lee, C. H., & Han, K. H. (2015). A Study on effective Rap Music Notation and Analysis Method for Educational Usag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4(3), 203-225. 

  15. Nam, S. I., & Choi, K. H. (2013). School reintegration, adjustment difficulties, and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8, 181-215. 

  16. National Cancer Center (2015).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Park, S.-H., Kim, J.-E., & Bang, B.-R. (2016).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he accommodation of other person's perspective for the self understanding, the self accommodation and the self communication: Center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Gungji-do and Seou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410-422. 

  18. Rakos, R. F., & Schroeder, H. E. (1979). Development and empirical evaluation of a self-administered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5), 991-993. 

  19. Robb, S. L. (2000). The effect of therapeutic music interventions on the behavior of hospitalized children in isolation: Developing a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 Journal of Music Therapy, 37(2), 118-146. 

  20. Short, H. (2014). "No maths, no physics (so I spray my bars with lyrics)": Rap/music therapy with young men at a young offender institution. British Journal of Music Therapy, 28(1), 25-35. 

  21. Smith, M. A., Altekruse, S. F., Adamson, P. C., Reaman, G. H., & Seibel, N. L. (2014). Declining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mortality. Cancer, 120(16), 2497-2506. 

  22. Yeh, J. M., Hanmer, J., Ward, Z. J., Leisenring, W. M., Armstrong, G. T., Hudson, M. M., ... Diller, L. (2016). Chronic conditions and utility-b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childhood cancer survivor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08(9). doi:10.1093/jnci/djw046 

  23. Zebrack, B., & Isaacson, S. (2012). Psychosocial care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with cancer and survivor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0(11), 1221-12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