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6, 2019년, pp.169 - 188  

서솔 (다지기아동발달센터) ,  여종일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as the association among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Methods: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seven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과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르는 기전을 파악 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개입의 초점이 되는 변인을 활용하고 보육교사 대상 교육프로그 램의 실제적 내용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 사가 경험하는 다양한 유형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소명 의식의 매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는데 적용 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보육교사의 복지증진 및 정책계획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 정보를 탐 색하고자 한다.
  • 보육교사의 소진은 단편적인 접근 보다는 기관 특성과 같은 외적 요인과 개인 특성과 같은 내적 요인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 요하겠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었던 소명의식을 포함시킴으로써, 보육교사가 경 험하는 세부적 직무스트레스와 소명의식이 구체적 측면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과중한 업무 부담이 감 소되어야 하는 한편, 원장의 리더십 및 효율적 행정체계를 통하여 보육교사가 자신의 일에 대한 목적과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개인적 신념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소명의식,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명의식이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 사가 경험하는 다양한 유형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소명 의식의 매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는데 적용 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보육교사의 복지증진 및 정책계획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 정보를 탐 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직무요구-자원모형은 확장된 직무요구-통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직업은 직무요구 와 직무자원으로 구분되는 2가지 일반범주 요인을 가지며, 직무요구가 높고 직무자원이 제한되 어 있을 때 스트레스나 소진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Bakker, Demerouti, & Euwema, 2005; Demerouti, Bakker, Nachreiner, & Schaufeli,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 현장이 소진을 경험하기 쉬운이유는 무엇인가? 교직(teaching)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학생들과 일하며, 매일 융통성 있고 창 의적으로 많은 결정을 내려야 하는 등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으로 알려졌지만(Roeser et al., 2013), 특히 보육 현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사회집단에서 다양한 책임과 역할을 수반해야 하므로, 직무를 수행하면서 소진을 경험하기 쉽다.
직무요구-자원모형에 따르면 어떠한 경우에 소진이 발생하는가? 직무요구란 지속적인 신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기울이게 요구함으로써, 상당한 생리적 및 심리적 부담을 감내하게 만드는 직무 특성을 의미하며, 직무자원이란 과업목표를 달성하는데 기능적 역할을 하며, 직무요구 및 연관된 생리적 및 심리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개인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직무 특성을 의미한다. 직무요 구-자원모형에 따르면, 여러 유형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상호작용하는데, 직무요구의 양과 질이 가용자원의 양과 질을 초과한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소진이 발생하며, 직무자원은 경력몰입 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Crawford, LePine, & Rich, 2010; Taylor & Millear, 2016). 직무요구-자원모 형에 근거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업무량과 행정적 어려움과 같은 직무요구는 소진과 정 적 상관이 있었다(Crawford et al.
보육교사는 아동에게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보육교사는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보육교사가 어린 아동의 유능성을 발달시키는 사회적 대행자 역할을 한다고 일관되게 밝히고 있다(Denham, Bassett, & Zinsser, 2012; Falk, 2012; Grindal, Hinton, & Shonkoff, 2012). 경험적 연구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태도와 행동이 영유아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보육의 전반적 질을 가름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보고한다(허혜경, 박인숙, 2010; Ghazvini & Mullis,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동묵, 고상택, 김성아, 김수영, 김영기, 김용진 등 (2016).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2판). 서울: 고려의학. 

  2. 강명선, 이희영 (2012).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인문학논총, 29, 289-307. 

  3. 강영은, 정혜원 (201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85-101. doi:10.20437/KOAECE24-2-04 

  4. 김은진 (2018).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관계에서 교사 마음챙김의 효과. 스트레스硏究, 26(3), 208-214. doi:10.17547/kjsr.2018.26.3.208 

  5. 김정희, 신시연 (2015).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45-62. doi: 10.14698/jkcce.2015.11.045 

  6. 김희수, 안선희 (2016).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인간관계와 업무보상 및 업무과중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5), 119-134. doi: 10.7466/JKHMA.2016.34.5.119 

  7. 민혜영 (2015).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지도성 유형 및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83-100. doi: 10.14698/jkcce.2015.11.083 

  8. 보건복지부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9. 송미경 (2016). 소진과 소명에 대한 이해: 교사로서 자아에 대한 성찰. 인문과학연구논총, 37(1), 505-527. 

  10. 송미옥, 심은정 (2018).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9(2), 163-190. doi:10.23909/KJCC.2018.05.29.2.163 

  11. 설경옥, 임정임. (2013).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과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187-201. 

  12. 신영일, 정신섭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교사소진의 매개효과. 사회복지경영연구, 4(1), 155-181. 

  13.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오교선, 공인숙 (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doi:10.14698/jkcce.2016.12.187 

  15. 오승현, 권연희 (2017).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17. doi:10.14698/jkcce.2017.13.01.001 

  16. 오윤선 (2013). 기독교 청소년 사역자의 소명의식과 자아탄력성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복음과상담, 21, 190-221. doi:10.17841/jocag.2013.21..190 

  17. 유현숙, 권정해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1), 113-132. 

  18. 윤혜미, 노필순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 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19. 이강훈, 조은래 (2017).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65-83. doi:10.14698/jkcce.2017.13.01.065 

  20. 이정순, 박용순, 송진영 (2016).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22(4), 379-407. doi:10.24159/joec.2016.22.4.379 

  21.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희은, 김현익, 우연희, 김순호, 문수백 (2012).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변인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장 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75-97. 

  23. 임해은, 권연희 (2015). 사립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영향. 인문학논총, 37, 53-80. 

  24. 장경은, 김혜원, 최유리 (2017).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소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된 매개모델. 아동학회지, 38(4), 19-31. doi:10.5723/kjcs.2017.38.4.19 

  25. 정지언, 박영희 (2016).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사고개발, 12(1), 111-132. 

  26. 조우미 (2017).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근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역할갈등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6(5), 393-401. doi:10.5934/kjhe.2017.26.5.393 

  27. 조혜진, 김수연 (20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28. 정진옥, 표은영 (2018).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가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2), 347-356. doi:10.5762/KAIS.2018.19.2.347 

  29. 최형성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5), 193-212. 

  30. 채영란 (2016).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교사의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0(4), 27-46. 

  31. 하유진, 최예은, 은혜영, 손영우 (2014).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1), 191-220. doi:10.24230/ksiop.27.1.201402.191 

  32. 허혜경, 박인숙 (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33. Backhaus, O., Hampel, P., & Dadaczynski, K. (2018). Effort-reward imbalance and burnout in German kindergarten educators. Europ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5(3), 73-82. doi:10.1027/2512-8442/a000012 

  34. Bakker, A. B., Demerouti, E., & Euwema, M. C. (2005). Job resources buffer the impact of job demands on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70-180. doi:10.1037/1076-8998.10.2.170 

  35.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USA. 

  36. Clinton, M. E., Conway, N., & Sturges, J. (2017). "It's tough hanging-up a call":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ing and work hours, psychological detachment, sleep quality, and morning vig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2(1), 28-39. doi:10.1037/ocp0000025 

  37. Crawford, E. R., LePine, J. A., & Rich, B. L. (2010). Linking job demands and resources to employee engagement and burnout: a theoretical extension and meta-analytic te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5), 834-848. doi:10.1037/a0019364 

  38.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doi:10.1037//0021-9010.86.3.499 

  39. Denham, S. A., Bassett, H. H., & Zinsser, K. (2012). Early childhood teachers as socializer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0(3), 137-143. doi:10.1007/s10643-012-0504-2 

  40. Duffy, R. D., Allan, B. A., Autin, K. L., & Douglass, R. P. (2014). Living a calling and work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4), 605-615. doi:10.1037/cou0000042 

  41. Duffy, R. D., Douglass, R. P., Gensmer, N. P., England, J. W., & Kim, H. J. (2019). An initial examination of the work as calling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6(3), 328-340. doi:10.1037/cou0000318 

  42. Duffy, R. D., & Sedlacek, W. E. (2007).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a calling: Connection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590-601. doi:10.1016/j.jvb.2007.03.007 

  43. Falk, B. (2012). Supporting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Putting into practice what we know.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243-25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4. Grindal, T. A., Hinton, C., & Shonkoff, J. P. (2012).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Lessons for teachers and caregivers. In B. Falk (Ed.), Defending childhood: Keeping the promise of early education (pp. 13-2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5. Ghazvini, A., & Mullis, R. L. (2002). Center-based care for young children: Examining predictors of quality.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1), 112-125. doi:10.1080/00221320209597972 

  46. Gomes, A. R., Faria, S., & Goncalves, A. M. (2013). Cognitive appraisal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urnout. Work & Stress, 27(4), 351-367. doi:10.1080/02678373.2013.840341 

  47. Green, A. E., Albanese, B. J., Shapiro, N. M., & Aarons, G. A. (2014). The role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 burnout among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Psychological Services, 11(1), 41-49. doi:10.1037/a0035299 

  48. Hagmaier, T., & Abele, A. E. (2012). The multidimensionality of calling: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 bi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1(1), 39-51. doi:10.1016/j.jvb.2012.04.001 

  49. Hossain, Z., Noll, E., & Barboza, M. (2012). Caregiving involvement, job condition,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2012, 1-9. doi:10.1155/2012/676352 

  50. Jeon, L., Buettner, C. K., Grant, A. A., & Lang, S. N. (2019).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and children's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function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61, 21-32. doi:10.1016/j.appdev.2018.02.002 

  5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2. Lee, R. T., & Ashforth, B. E. (1990). On the meaning of Maslach's three dimensions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6), 743-747. doi:10.1037/0021-9010.75.6.743 

  53. Lee, J., Lim, N., Yang, E., & Lee, S. M. (201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ee dimensions of burnout in psychotherapists: A meta-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2(3), 252-258. doi:10.1037/a0023319 

  54. Lobene, E. V., & Meade, A. W. (2013). The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work outcom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40(6), 508-530. doi:10.1177/0894845313495512 

  55.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doi:10.1002/job.4030020205 

  56. Maslach, C., & Leiter, M. P. (2008).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3), 498-512. doi: 10.1037/0021-9010.93.3.498 

  57. Roeser, R. W., Schonert-Reichl, K. A., Jha, A., Cullen, M., Wallace, L., Wilensky, R. et al., (2013). Mindfulness training and reductions in teacher stress and burnout: Results from two randomized, waitlist-control field tri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787-804. doi:10.1037/a0032093 

  58. Rupert, P. A., Miller, A. O., & Dorociak, K. E. (2015). Preventing burnout: What does the research tell u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6(3), 168-174. doi:10.1037/a0039297 

  59. Taris, T. W., Peeters, M. C. W., Le Blanc, P. M., Schreurs, P. J. G., & Schaufeli, W. B. (2001). From inequity to burnout: The role of job stre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6(4), 303-323. doi:10.1037//1076-8998.6.4.303 

  60. Taylor, N. Z., & Millear, P. M. R. (2016). The contribution of mindfulness to predicting burnout in the workpla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9, 123-128. doi: 10.1016/j.paid.2015.10.005 

  61. Whitaker, R. C., Dearth-Wesley, T., & Gooze, R. A. (2015). Workplace stres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ren relationships in Head Star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0, 57-69. doi:10.1016/j.ecresq.2014.08.008 

  62. Yorulmaz, Y. I., & Altinkurt, Y. (2018). The examination of teacher burnout in Turkey: A metaanalysis. Turkish Journal of Education, 7(1), 34-54. doi:10.19128/turje.348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