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
The Mediating Roles of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6, 2018년, pp.257 - 276  

박미자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  임희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job stress. Methods: Four hundred and fifty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특성에 초점을 두어, 정서지능,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세 변인 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 자기정서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모형에서 자기정서인식은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β= .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 정서조절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모형에서 정서조절은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β= .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 정서활용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모형에서 정서활용은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β= .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정서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모형에서 타인정서인식은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β= .
  • 본 연구는 보육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특성에 초점을 두어, 정서지능,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세 변인 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본 척도는 총 25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집중도(5문항), 이해와 해석(5문항), 분석과 평가(5문항), 반응(5문항), 기억(5문항)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최은혜, 2015)를 기초로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고자 전체 문항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에는 ‘나는 상대방이 말하는 것에 집중한다.
  •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간에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소수의 선행 연구들을 제외하고는 양자 간의 관계를 다룬 선행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정서지능이 높은 보육교사가 자신의 정서를 잘 파악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며 조절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정서도 잘 파악하므로 이러한 능력을 기초로 다른 사람과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지니리라 기대한다.
  • 본 척도는 총 38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원아들과의 활동(5문항), 업무 관련(9문항), 행정적 지원(8문항), 대인 관련(12문항), 경제적 안정(2문항), 개인 관련(2문항)의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박윤조 등, 2015; 임진형, 1999)을 기초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고자 전체 문항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문항에는 ‘부적응 영유아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모르겠다.
  •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세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에는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적 접근을 이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보육교사의 개인 내적 특성인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에 초점을 두어 이러한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추후에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보다 종합적인 대책 및 방안 마련을 위해 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가지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보다 다각도로 심도있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뿐만 아니라 세 변인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를 동시에 살펴본 선행 연구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세 변인을 모두 고려한 선행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나,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정적 관련성(노은숙, 부성숙, 2012; 장희선, 2017)과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부적 관련성(최은혜, 2015; 최정수, 2017)을 근거로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리라 유추해 볼 수 있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각각의 관계를 살펴본 후,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이를 기초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가설 설정

  •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야 하는 보육교사의 업무 특성상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선행 요인이 되리라 가정하고 있다. 몇몇 선행 연구들은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련성 역시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정의하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분노나 불안, 긴장, 좌절, 우울 등과 같은 불쾌하거나 부정적인 정서로 정의될 수 있다(Kyriacou, 2001). 보육교사에게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본 선행 연구들을 고찰해보면, 보육교사의 개인 내적 특성과 관련하여 인성(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2015), 자아존중감(권연희, 2010a), 자아탄력성(노수진, 이경님, 2015; 조성연, 이정희, 2010), 자기효능감(김연아 등, 2014; 조성연, 구현아, 2005), 정서지능(김미정, 2015; 송미선, 김소양, 2009), 감정노동(유경숙, 2017), 스트레스 대처방식(권연희, 2010b), 교사효능감(강이슬, 김민경, 2011; 유계숙, 김수경, 강경화, 박지혜, 황지영, 2011;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b), 전문성 인식(김옥주, 조혜진, 2010) 등이, 개인 외적 특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권연희, 2010b;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시설의 조직문화(김미정, 2015; 김옥주, 조혜진, 2010; 유계숙 등, 2011) 등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다.
보육교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과 과중한 업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발달수준이나 흥미 등을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가운데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세심하게 지도해야 하고 부모 및 지역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 및 적응을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한다. 이 외에도 어린이집의 다양한 행정적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처럼 보육교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과 과중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보수와 열악한 처우, 낮은 사회적 인식 등은 보육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본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는 행복감(이은숙, 이경님, 2016)이나 심리적 안녕감(정경진, 윤혜미, 2016), 직무만족도(김연아, 박연정, 김경은, 2014) 등을 낮게 지각하는 한편, 우울을 높게 지각하였다(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a).
최근 어린이집의 보육 서비스 개선하는 과정 중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업무는 무엇인가? 최근 어린이집의 보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과정 가운데 보육교사의 업무는 이전보다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었으며 전문성 역시 강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발달수준이나 흥미 등을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가운데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세심하게 지도해야 하고 부모 및 지역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 및 적응을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한다. 이 외에도 어린이집의 다양한 행정적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처럼 보육교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과 과중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보수와 열악한 처우, 낮은 사회적 인식 등은 보육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본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보육교사는 행복감(이은숙, 이경님, 2016)이나 심리적 안녕감(정경진, 윤혜미, 2016), 직무만족도(김연아, 박연정, 김경은, 2014) 등을 낮게 지각하는 한편, 우울을 높게 지각하였다(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 권연희 (2010a).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37-455. 

  3. 권연희 (2010b).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87-498. doi:10.5934/KJHE.2010.19.3.487 

  4.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5. 김건옥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FOT 창의인성연구, 5(1), 5-22. 

  6. 김미정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협동적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33-56. 

  7. 김연아, 박연정, 김경은 (2014).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이 보육교사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4), 1-15. doi:10.5723/KJCS.2014.35.4.1 

  8. 김옥주, 조혜진 (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9. 김은정 (2009).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효능감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수진, 이경님 (2015).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93-114. 

  11. 노은숙, 부성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3(4), 113-135. 

  12. 류경희, 강상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203-225. 

  13. 명성민 (2016). 물리치료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1(2), 123-129. doi:10.9708/jksci.2016.21.2.123 

  14.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29-148. 

  16. 성윤미, 김정희 (2018).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235-260. doi:10.22155/JFECE.25.2.235.260 

  17. 송미선, 김소양 (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18. 송순옥, 성연정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203-224. 

  19. 신희정,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91-308. 

  20. 유경숙 (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4), 23-38. doi:10.17643/KJCE.2017.26.4.02 

  21. 유계숙, 김수경, 강경화, 박지혜, 황지영 (2011).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초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81-104. 

  22. 유현숙, 권정해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1), 113-132. 

  23. 이경님, 강진숙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지능 및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93-112. 

  24.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a).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우울의 차이와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4), 23-40. doi:10.14698/jkcce.2016.12.04.023 

  25.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b).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7(4), 145-158. doi:10.5723/kjcs.2016.37.4.145 

  26. 이경자, 문승연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가치적합성의 매개효과 -. 한국영유아보육학, 97, 75-101. 

  27.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2013).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299-308. doi:10.5392/JKCA.2013.13.12.299 

  28. 이은숙, 이경님 (2015).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21-238. doi:10.14698/jkcce.2015.11.2.221 

  29. 이은숙, 이경님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효능감 및 보육헌신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107-127. doi:10.21213/kjcec.2016.16.4.107 

  30.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 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 

  31. 이희은, 김순호, 김현익, 우연희,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공감,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27-151. 

  32.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303-323. doi:10.20437/KOAECE22-1-12 

  34. 정경진, 윤혜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9-152. 

  35. 조성연, 구현아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36.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37. 최일선, 조운주 (2010). 유아교육 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38. 최은혜 (2015).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9-57. doi:10.14698/jkcce.2015.1 1.2.039 

  39. 최정수 (2017). 초임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탄력성 및 교직선택동기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지현, 유태용 (2005).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77-199.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2. Brackett, M. A., Rivers, S. E., & Salovey, P.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personal, social, academic, and workplace succes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88-103. doi:10.1111/j.1751-9004.2010.00334.x 

  43. Cherry, M. G., Fletcher, I., & O'Sullivan, H. (2013).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Medical Education, 47(3), 317-325. doi:10.1111/medu.12115 

  44.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labama, USA. 

  45. Collie, R. J., Shapka, J. D., & Perry, N. E. (2012). School climate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Predicting teacher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4), 1189-1204. doi:10.1037/a0029356 

  46. D'Arienzo, R. V., Moracco, J. C., & Krajewski, R. J. (1982).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7. Fritz, S., Brown, F. W., Lunde, J. P., & Banset, E. A. (1999). Interpersonal skills for leadership.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48. Ignat, A. A. (2010). Teachers' satisfaction with lif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reactions. Petroleum-Gas University of Ploiesti Bulletin, Educational Sciences Series, 62(2), 32-41. 

  49. Klassen, R. M. (2010). Teacher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efficacy belief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3(5), 342-350. doi:10.1080/00220670903383069 

  50. Kokkinos, C. M. (2007). Job stressors, personality and burnout in primary school teach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1), 229-243. doi:10.1348/000709905X90344 

  51. Kyriacou, C. (2001).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53(1), 27-35. doi:10.1080/00131910120033628 

  52. Mazer, J. P. (2013). Student emotional and cognitive interest as mediators of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tudent engagement: An examination of direct and interaction effects. Communication Education, 62(3), 253-277. doi:10.1080/03634523.2013.777752 

  53. Mazer, J. P., McKenna-Buchanan, T. P., Quinlan, M. M. & Titsworth, S. (2014). The dark side of emotion in the classroom: Emotional processes as mediators of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tudent negative emotions. Communication Education, 63(3), 149-168. doi:10.1080/03634523.2014.904047 

  54. McCarthy, C. J., Lambert, R. G., & Reiser, J. (2014). Vocational concerns of elementary teachers: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51(2), 59-74. doi:10.1002/j.2161-1920.2014.00042.x 

  55. Mearns, J., & Cain, J. E. (2003).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their burnout and distress: Roles of coping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xiety, Stress and Coping, 16(1), 71-82. doi:10.1080/1061580021000057040 

  56.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57.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10.1016/S1048-9843(02)00099-1 

  58. Yoon, J. S. (2002). Teacher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0(5), 485-493. doi:10.2224/sbp.2002.30.5.4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