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 만족도 및 기여도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
Importance,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Role Recogniz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2, 2011년, pp.168 - 179  

조명숙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조용애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권인각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서민정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백혜진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APNs' role by physicians, nurses,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Method: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with a 23-item questionnaire on APN role with 5 sub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 역할을 평가하기 위하여 40여명의 전문간호사가 10년 이상 활동하고 있는 S병원을 대상으로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기여도에 대한 전문의와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동시에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함으로서 이를 기반으로 의료진의 요구를 반영하여 향후 전문 간호사가 주력해야하는 역할발전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지난 활동에 대한 객관적 평가의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하고 한다.
  • 본 연구는 S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기여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역할을 평가하고 중요도-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역할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전문간호사의 객관적 평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에 직접 의뢰자인 전문의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 만족도 및 기여도에 대한 인식을 평가함으로서 간접적으로 성과를 살펴보고 전문간호사의 자가평가와 함께 다면적으로 비교평가하였다는 것에 그 첫 번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영역의 전문간호사를 동일도구를 통해 평가하고 더 나아가 주 의료진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역할의 중요도-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전문간호사 역할발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및 기여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역할에 대한 평가는 물론 중요도-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전문간호사 역할발전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기여도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기여도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한다. 둘째,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만족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역할발전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한다. 셋째, 전문간호사 역할의 기여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한다.
비용 성과란? 임상적 성과란 질환관련 문제해결과 연관된 것으로 통증관리, 합병증률 등이 있으며, 기능적 성과는 신체 심리적 건강이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신체기능, 질환으로 인한 역할제한, 피로 등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또 비용 성과란 재원일수나 클리닉 방문 회수, 의료비품 및 공급품 사용에 대한 것을 말하며, 소비자의 선택과 권리가 중요시되면서 만족도 또한 매우 중요한 성과로 제시되고 있다(Cheng & Chen, 2008; Reynolds, Wilson-Barnett, & Richardson, 2000; Thrasher & Purc-Stephenson, 2008; Wheeler, 2000; Wilson & Shifaza, 2008).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에서 Kim(2008)는 행위에 따른 수익 산출, 환자수 증가, 치료 기간 단축, 의료 및 간호의 질 향상, 환자 및 간호사 만족도와 의료진 만족도를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 제시하였다.
전문간호사 역할의 중요도와 만족도 및 기여도에 대한 전문의, 간호사, 전문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한 본 연구를 통해 제언을 하자면? 1. 본 연구는 일 종합전문요양기관의 4개 영역 전문간호사만을 대상으로 시행되어 향후 다양한 병원에서 여러 영역의 전문 간호사를 대상으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2. 그 동안의 전문간호사 활동이 대표적 성과지표에 대해 기여한 정도를 살펴봄으로서 현황파악으로서 의의가 크나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는 장기적 계획을 가지고 전문간호사 성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제언한다. 3. 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의료진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확인되었으므로 이와 더불어 환자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4. 전문간호사가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문간호를 수행하며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문간호사 역할 표준화에 대한 학회 및 전문단체차원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전문간호사 역할을 공식화하고 타 의료진에게 홍보하여 의식 전환을 도울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ng, H. C., & Chen, S. C. (2008). Medical team satisfaction with nurse practitioner clinical performanc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6(1), 26-36. 

  2. Hong, J. H. (2004). The role of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Jastremski, C. A. (2002). Using outcomes research to validate the advanced practice nursing role administratively.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4(3), 275-280. 

  4. Lee, T. W., Ko, I. S., Kim, I. S., Kim, H. O., Park, Y. W., Kim, I. J., Park, J. S., Choi, M. O., Son, M. J., Kil, Y. K, & Lee, E. N. (2007). Development of roles and organizational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e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3(3), 352-361. 

  5. Kim, C. S. (2008, November). Present state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dvanced practice nurse in hospital. In M. A. Kim (Chair), Development Strategy of Advanced Practice Nurse in Hospital.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activ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 Seoul, Korea. 

  6. Kim, K. S., Kang, J. Y., Kim, B. J., Lee, Y. H., & Lee, E. N. (2010). A delphi survey on performance indicators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1), 131-143. 

  7. Kim, M. Y. (2008). Analysis of nursing services of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from the view point of structure and proces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4(3), 352-363. 

  8. Kim, S. R., Lee, S. K., Kim, S. H., Kwan, Y. H., Bae, S. H., Lee, S. S., et al. (2003). The satisfaction of patient and medical team about CNS roles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76-90. 

  9. Kim, S. S., You, O. S., Kwon, I.K., Moon, S. M., & Sung, Y. H.(2005).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critical care and core competenc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165-177. 

  10. Kleinpell, R. M. (2005).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practice: results of a 5-year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4(3), 211-219.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9, April). Job descrip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a workshop for improvement of APN duty, education and certification examination, Seoul, Korea.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0). National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APN. Retrieved February 20, 2010, from URL: http://www.kabon.or.kr/kabon04/index02. php 

  13. Kwon, I. K., Kim, Y. H., Hwang, K. J., Kim, H. S., Lee, B. S., Lee, H. S., et al. (2003). A survey on the role and present stat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55-75. 

  14. Kwon, Y. D., Sung, Y. H., Kwon, I. K., & Hwang, M. S.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3), 99-115. 

  15. Martilla, J. A., &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16. Oermann, M. H. & Floyd, J. A. (2002). Outcomes research: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advanced practice nurse role. Clinical Nurse Specialist, 16(3), 140-146. 

  17. Park, J. Y., Baek, M. K., Kim, S. R., Kwon, H. L., Yang, S. J., & Park, K. O. (2005). A clinical nurse specialist?led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rogram in an affiliated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0(2), 103-114. 

  18. Prevost, S. S. (2002). Clinical Nurse Specialist outcomes: vision, voice and value. Clinical Nurse Specialist, 16(3), 119-124. 

  19. Resnick, B. (2000). Incorporating outcomes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The four-step approach.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s Clinical Issues, 11(3), 453-462. 

  20. Reynolds, H., Wilson-Barnett, J., & Richardson, G. (2000). Evaluation of the role of the Parkinson's disease nurse specialis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7(4), 337-349. 

  21. Song, S. L., & Chi, S. A.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for clinical nurse specialist's roles-focusing on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nurses and doctors.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7(1), 23-32. 

  22. Sung, Y. H., Kwon, I. K., & Kim, M. K.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gap in clinical nursing service between customers and provi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109-123. 

  23. Thrasher, C., & Purc-Stephenson, R. (2008).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e practitioners care in emergency departments in Canada.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5), 231-237. 

  24. Wheeler, E. C. (2000). The CNS's impact on process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Clinical Nurse Specialist, 14(4), 159-169. 

  25. Wilson, A., & Shifaza, F.(2008).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nurse practitioners in an adult emergency depar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2), 149-156. 

  26. Yuen, J. S., Noh, J. H., Kim, J. H., Kim, S. R., Park, M. H., Kim, L. Y., et al. (2009, October).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medical team about CNS roles performance. -A focusing on a hospital-.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20th anniversary celebration of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