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변형 미세조류의 생태 유출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 연구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algae 원문보기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11 no.2, 2019년, pp.52 - 61  

조기철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연구실) ,  전한철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연구실) ,  황현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연구실) ,  홍지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분류연구실) ,  이대성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연구실) ,  한종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few decades, microalgae-based biotechnology conjugated with innovative CRISPR/Cas9-mediated genetic engineering has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th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value-added compounds production. However, the discharge of reproducible living modified organism (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유전자변형 미세조류의 생태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과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지만 현재 시행된 유전자 변형 미세조류 (Genetically modified microalgae, GMM)의 모니터링 및 독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미세조류 형질전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대전 연구 단지를 중심으로 유출된 형질전환 미세조류의 유무를 모니터링 하였고, 이전 연구에서 GFP를 성공적으로 발현시킨 모델 미세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 CC-621의 형질 전환체를 활용하여 실험실 수준에서 GMM의 잠재적인 환경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 [14]은 이전에 발표한 총설을 통해 GMM의 대량 배양을 위해서 효율적인 환경 위해성 평가방법이 정립되어야 함을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새로운 GMM의 위해성 평가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먹이사슬을 통해 상위포식자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을 확인해 보았다.
  • calyciflorus를 활용한 나노플라스틱, 중금속 등의 독성평가가 실험실 수준에서 이뤄진 바 있다 [33-35].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도 윤충류 B. calyciflorus를 활용하여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의 잠재적인 독성을 확인해 보았다.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는 이전 연구에서 GFP를 성공적으로 발현시킨 C.
  • 이번 연구를 통해 GMM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대전 연구단지 부근의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의 노출을 모니터링 하였고 실험실 수준에서 포식자에 나타나는 독성과 수평적 유전자 전달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연구단지 부근의 하천에서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는 검출되지 않았고, 포식자인 B.

가설 설정

  •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는 이전 연구에서 GFP를 성공적으로 발현시킨 C. reinhardtii CC-621를 사용하였으며, 생태계에 노출 시 수계에 조류 대 발생을 일으킨다는 가정 하에 4.0~6.0 × 106cells/mL의 세포 농도로 미세조류 형질 전환체를 윤충류에 섭식 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란 무엇인가? 미세조류는 줄기, 잎, 뿌리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엽상체 식물로 분류되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유기탄소로 전환시켜 탄소원을 전달해주는 먹이사슬의 제 1차 생산자로서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미세조류는 육상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과 광생물 배양기(Photo-bioreactor) 및 옥외 배양시스템으로의 적용을 통한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 배양 환경 조건 변화를 통한 카로테노이드 등의 고부가 물질 생산 최적화와 더불어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감축효과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산업 및 연구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1,2].
형질전환 미세조류가 환경 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근거가 무엇인가? [17]의 유전자 변형 미세조류 Acutodesmus dimorphus의 연구에서 지방산 조성과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을 발현시킨 미세조류를 옥외에서 성공적으로 배양하였으며, 환경 노출 시 지역 호소의 생태계 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한 바 있지만, 여전히 생태계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 위해성은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유전공학기술에 의해 형질 전환된 미세조류는 예상치 못한 대사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수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잠재적인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잠재적인 독성에 대한 생태계 영향평가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미세조류가 최근 관심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미세조류는 줄기, 잎, 뿌리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엽상체 식물로 분류되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유기탄소로 전환시켜 탄소원을 전달해주는 먹이사슬의 제 1차 생산자로서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미세조류는 육상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과 광생물 배양기(Photo-bioreactor) 및 옥외 배양시스템으로의 적용을 통한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 배양 환경 조건 변화를 통한 카로테노이드 등의 고부가 물질 생산 최적화와 더불어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감축효과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산업 및 연구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1,2]. 실제 미세조류는 식품첨가물, 양식어종의 먹이생물 등 식품 및 수산업에서 활발히 활용되어 왔으며 향후 바이오연료, 오폐수 처리, 의약품, 농업 및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Pulz, O. and Gross, W. 2004. Valuable products from biotechnology of microalgae. Appl. Microbiol. Biotechnol. 65(6), 635-648. 

  2. Spolaore, P., Joannis-Cassan, C., Duran, E. and Isambert, A. 2006. Commercial applications of microalgae. J. Biosci. Bioeng. 101(2), 87-96. 

  3. Abdel-Raouf, N., Al-Homaidan, A. A. and Ibraheem, I. B. M. 2012. Microalgae and wastewater treatment. Saudi J. Biol. Sci. 19(3), 257-275. 

  4. Hemaiswarya, S., Raja, R., Kumar, R. R., Ganesan, V. and Anbazhagan, C. 2011. Microalgae: a sustainable feed source for aquaculture. World J. Microb. Biotechnol. 27(8), 1737-1746. 

  5. Metting, B. 1990. Microalgae applications in agriculture. Dev. Ind. Microbiol. 31, 265-270. 

  6. Wijffels, R. H., Kruse, O. and Hellingwerf, K. J. 2013. Potential of industrial biotechnology with cyanobacteria and eukaaryotic microalgae. Curr. Opin. Biotech. 24(3), 405-413. 

  7. Baek, K., Kim, D. H., Jeong, J., Sim, S. J., Melis, A., Kim, J. S., Jin, E. and Bae, S. 2016. DNA-free two-gene knockout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via CRISPR-Cas9 ribonucleoproteins. Sci. Rep. 6, 30620. 

  8. Baek, K., Yu, J., Jeong, J., Sim, S. J., Bae, S. and Jin, E. 2018. Photoautotrophic production of macular pigment in a Chlamydomonas reinhardtii strain generated by using DNA-free CRISPR-Cas9 RNP-mediated mutagenesis. Biotechnol. Bioeng. 115(3), 719-728. 

  9. Shin, S. E., Lim, J. M., Koh, H. G., Kim, E. K., Kang, N. K., Jeon, S., Kwon, S., Shin, W. S., Lee, B., Hwangbo, K. and Kim, J. 2016. CRISPR/Cas9-induced knockout and knock-in mutations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Sci. Rep. 6, 27810. 

  10. Tran, Q. G., Cho, K., Park, S. B., Kim, U., Lee, Y. J. and Kim, H. S. 2019a. Impairment of starch biosynthesis results in elevated oxidative stress and autophagy activity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Sci. Rep. 9(1), 1-9. 

  11. Tran, Q. G., Cho, K., Kim, U., Yun, J. H., Cho, D. H., Heo, J., Park, S. B., Kim, J. W., Lee, Y. J., Ramanan, R. and Kim, H. S. 2019b. Enhancement of ${\beta}$ -carotene production by regulating the autophagy-carotenoid biosynthesis seesaw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Bioresour. Technol. 292, 121937. 

  12. Hamilton, M. L., Haslam, R. P., Napier, J. A. and Sayanova, O. 2014. Metabolic engineering of Phaeodactylum tricornutum for the enhanced accumulation of omega-3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Metab. Eng. 22, 3-9. 

  13. Leon, R., Couso, I. and Fernandez, E. 2007. Metabolic engineering of ketocarotenoids biosynthesis in the unicelullar microalga Chlamydomonas reinhardtii. J. Biotechnol. 130(2), 143-152. 

  14. Beacham, T. A., Sweet, J. B. and Allen, M. J. 2017. Large scale cultiv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algae: A new era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lgal Res. 25, 90-100. 

  15. Glass, D. J. 2015. Government regulation of the uses of genetically modified algae and other microorganisms in biofuel and bio-based chemical production. In Algal Biorefineries. Springer, Cham, pp 23-60 

  16. Kumar, S. 2015. GM algae for biofuel production: biosafety and risk assessment. Collect. Biosaf. Rev. 9, 52-75. 

  17. Szyjka, S. J., Mandal, S., Schoepp, N. G., Tyler, B. M., Yohn, C. B., Poon, Y. S., Villareal, S., Burkart, M. D., Shurin, J. B. and Mayfield, S. P. 2017. Evaluation of phenotype stability and ecological risk of a genetically engineered alga in open pond production. Algal Res. 24, 378-386. 

  18. Hwang, H. J., Kim, Y. T., Kang, N. S. and Han, J. W. 2018. A Simple Method for Removal of the Chlamydomonas reinhardtii Cell Wall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ubtilisin (Alcalase). J. Mol. Microbiol. Biotechnol. 28(4), 169-178. 

  19. Ladygin, V. G. and Boutanaev, A. M. 2002. Transformation of Chlamydomonas reinhardtii CW-15 with the 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gene as a selectable marker. Russian. J. Genet. 38(9), 1009-1014. 

  20. Wittkopp, T. M. 2018. Nuclear Transformation of Chlamydomonas reinhardtii by Electroporation. Bio-protocol. 8(9). 

  21. Dunahay, T. G. 1993. Transformation of Chlamydomonas reinhardtii with silicon carbide whiskers. Biotechniques, 15(3), 452-5. 

  22. EL-Sheekh, M. M., Almutairi, A. W. and Touliabah, H. E. 2019. Construction of a novel vector for the nuclear transformation of the unicellular green alga Chlamydomonas reinhardtii and its stable expression. J. Taibah University Sci. 13(1), 529-535. 

  23. Kumar, S. V., Misquitta, R. W., Reddy, V. S., Rao, B. J. and Rajam, M. V. 2004.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green alga-Chlamydomonas reinhardtii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Plant Sci. 166(3), 731-738. 

  24. Talebi, A. F., Tohidfar, M., Tabatabaei, M., Bagheri, A., Mohsenpor, M. and Mohtashami, S. K. 2013. Genetic manipulation, a feasible tool to enhance unique characteristic of Chlorella vulgaris as a feedstock for biodiesel production. Mol. Biol. Rep. 40(7), 4421-4428. 

  25. Chow, K. C. and Tung, W. L. 1999. Electrotransformation of Chlorella vulgaris. Plant Cell. Rep. 18(9), 778-780. 

  26. Liu, L., Wang, Y., Zhang, Y., Chen, X., Zhang, P. and Ma, S. 2013. Development of a new method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green alga Chlorella ellipsoidea. Mol. Biotechnol. 54(2), 211-219. 

  27. Steinbrenner, J. and Sandmann, G. 2006. Transformation of the green alga Haematococcus pluvialis with a phytoene desaturase for accelerated astaxanthin biosynthesis. Appl. Environ. Microbiol. 72(12), 7477-7484. 

  28. Apt, K. E., Grossman, A. R. and Kroth-Pancic, P. G. 1996. Stable nuclear transformation of the diatom Phaeodactylum tricornutum. Mol. Gen. Genet. 252(5), 572-579. 

  29. Dunahay, T. G., Jarvis, E. E. and Roessler, P. G. 1995.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diatoms Cyclotella cryptica and Navicula saprophila. J. Phycol. 31(6), 1004-1012. 

  30. Poulsen, N., Chesley, P. M. and Kroger, N. 2006. Molecular genetic manipulation of the diatom Thalassiosira pseudonana (bacillariophyceae) 1. J. Phycol. 42(5), 1059-1065. 

  31. Te, M. R. and Miller, D. J. 1998. Genetic transformation of dinoflagellates (Amphidinium and Symbiodinium): expression of GUS in microalgae using heterologous promoter constructs. Plant J. 13(3), 427-435. 

  32. Shin, W. S. 2018. Genetic modulation of light-harvesting complex in chlorella to improv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biomass productivity, Ph. D. Thesis in Korea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Korea 

  33. Jeong, C. B., Lee, Y. H., Park, J. C., Kang, H. M., Hagiwara, A. and Lee, J. S. 2019. Effects of metal-polluted seawater on life parameters and the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the marine rotifer Brachionus koreanus. Comp. Biochem. Physiol. C. 225, 108576. 

  34. Romero-Freire, A., Joonas, E., Muna, M., Cossu-Leguille, C., Vignati, D. A. L. and Giamberini, L. 2019. Assessment of the toxic effects of mixtures of three lanthanides (Ce, Gd, Lu) to aquatic biota. Sci. Total Environ. 661, 276-284. 

  35. Saavedra, J., Stoll, S. and Slaveykova, V. I. 2019. Influence of nanoplastic surface charge on eco-corona formation, aggregation and toxicity to freshwater zooplankton. Environ. Pollut. 252, 715-722. 

  36. Bhatti, F., Asad, S., Khan, Q. M., Mobeen, A., Iqbal, M. J. and Asif, M. 2019.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sugarcane expressing AVP1 gene. Food Chem. Toxicol. 130, 267-275. 

  37. Bertoni, G. and Marsan, P. A. 2005. Safety risks for animals fed genetic modified (GM) plants. Vetres. Commun. 29(2), 13-18. 

  38. Domingo, J.L. 2007. Toxicity studies of genetically modified plants: a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Crit. Rev. Food. Sci. 47(8), 721-733. 

  39. Seralini, G. E., Cellier, D. and de Vendomois, J. S. 2007. New analysis of a rat feeding study with a genetically modified maize reveals signs of hepatorenal toxicity. Arch. Environ. Con. Tox. 52(4), 596-602. 

  40. Gasson, M. J. 2000. Gene transfer from genetically modified food. Curr. Opin. Biotech. 11(5), 505-508. 

  41. Thomson, J. A. 2001. Horizontal transfer of DNA from GM crops to bacteria and to mammalian cells. J. Food Sci. 66(2), 188-1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