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Retention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236 - 243  

박아름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이혜진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회복탄력성 및 재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전북의 3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SPSS version 19.0을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과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무지 만족도가 높을수록(p<.001), 직장 내 괴롭힘을 적게 경험할수록(p=.011),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p<.001)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가 높았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과 바람직한 조직문화의 개선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indentify the effect of the workplace bullying, resilience and retention intention on dental hygienists' retention intention and conducted in order to be applied to basic data for enhancing dental hygienists' retention inten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2....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회복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개인의 성장과 발전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치과 병·의원의 인적자원관리 및 성과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증, 심리적 고통이 증가되는 것을 피해자가 스스로를 탓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였다[9]. 그러나 같은 스트레스 상황 또는 환경에 노출되었을 경우 모든 사람들은 같은 강도로 스트레스를 지각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 상황이나 역경에 직면하였을 때 누군가는 긍정적으로 대처하면서 적절하게 대응하는 긍정의 힘인 회복탄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10]. 이것은 타고난 속성이 아닌 삶을 살아가면서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11].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현재 치과 병·의원의 구강보건 전문 인력인 치과위생사는 면허인력 대비 활동인력의 비율 불균형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불균형은 지속될 전망으로 예측되고 있다[17].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 연구는 간호사 대상의 재직의도 연구에 비해 현저히 미흡한 실정에 있다[18].
회복탄력성의 효과는 무엇인가? 이것은 타고난 속성이 아닌 삶을 살아가면서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11].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조직몰입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12],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만족도 증가, 이직의도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13]. 또한 회복탄력성은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조절해 줄 수 있는 개인적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장 내 괴롭힘을 덜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H. Kim. (2018). The state of workplace bullying in our workplac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humanrights.go.kr/site/main/index001. 

  2. C. Dumont, S. Meisinger, M. J. Whitacre & G. Corbin. (2012). Nursing 2012. Horizontal violence survey report. Nursing, 42(1), 44-49. DOI : 10.1097/01.NURSE.0000408487.95400.92 

  3. S. Y. Lee. (2015). Emotional labor and the legal responsibility of employers. The Korea Society Of Labor Law, 54(6), 131-172. 

  4. Y. J. Lee & M. H. Lee. (2013).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2), 77-87. 

  5. W. J. Choi. (2012).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eparation intentions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6. S. R. Jung. (2011). Organizational conflict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Kyungpook. 

  7. S. Simons. (2008).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massachusetts registered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1(2), 48-59. DOI : 10.1097/01.ANS.0000319571.37373.d7 

  8. H. O. We, W. G. Kim & E. K. Noh. (2019).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on retention intention among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83-92. DOI : 10.22156/CS4SMB.2019.9.8.083 

  9. N. M. Houck & A. M. Colbert. (2017). Patient safety and workplace bullying: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32(2), 164-171. DOI : 10.1097/NCQ.0000000000000209 

  10. S. S. Luthar, D. Cicchetti & B. Becker.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DOI : 10.1111/1467-8624.00164 

  11. F. Cameron & S. Brownie. (2010). Enhancing resilience in registered aged care nurs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9(2), 66-71. DOI : 10.1111/j.1741-6612.2009.00416.x 

  12. K. Ryu & J. K. Kim (2016).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7), 439-450. DOI : 10.5392/JKCA.2016.16.07.439 

  13. B. N. Kim, H. S. Oh & Y. S. Park.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14-23. DOI : 10.5807/kjohn.2011.20.1.014 

  14. E. Read & H. K. Laschinger. (2013). Correlates of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mistreat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3(4), 221-228. DOI : 10.1097/NNA.0b013e3182895a90 

  15. H. K. Laschinger, C. Wong, S. Regan, C. YoungRitchie & P. Bushell. (2013). Workplace incivility and new graduate nurses' mental health: The protective role of resiliency.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3(7/8), 415-421. DOI : 10.1097/nna.0b013e31829d61c6 

  16. J. H. Lee, S. Y. Park, J. H. Uhm, J. H. Lee, J. H. Lee, C. Y. Lee, & J. H. Yoon. (2012). Construct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4(3), 555-571.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ttps://www.kihasa.re.kr/english/main.do 

  18. Y. S. Won & A. R. Park. (2019).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n emotion, emotional labor, happiness index, and retention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7), 135-144. DOI : 10.22156/CS4SMB.2019.9.7.135 

  19. S. Park & T. Lee. (2018). Factors influencing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2), 139-148. DOI : 10.11111/jkana.2018.24.2.139 

  20. Y. J. Lee. (2015).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new instruments to measure bullying in nursing workplace,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21. H. S. Baek.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Seongnam. 

  22. J. A. Kim. (2014).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decision making competency on retention intention and turnover impulse among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3. E. M. Lee & D. H. Kim. (2018).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nursing service quality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4(5), 375-386. DOI : 10.11111/jkana.2018.24.5.375 

  24. E. A. Jo & J. Y. Kang. (2015).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Muscle Joint Health. 22(2), 78-86. DOI : 10.5953/JMJH.2015.22.2.78 

  25. Y. H. Yom, I. S. Yang & J. H. Han. (2017).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job stress, self-esteem, and burnout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o keep nursing job.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3(3), 259-269. DOI : 10.11111/jkana.2017.23.3.259 

  26. K. J. Cho & K. H. Kang. (2017).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2). 105-113. DOI : 10.5807/kjohn.2017.26.2.105 

  27. S. Y. Choi & M. A. Lee. (2018).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intent to stay in hospital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4(3), 234-244. DOI : 10.11111/Jkana.2018.24.3.234 

  28. S. H. Park & T. H. Lee. (2018.). Factors influencing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4(2), 139-148. DOI : 10.11111/jkana.2018.24.2.139 

  29. Y. O. Park, K. J. Lee, E. H. Cho & H. J. Park. (2009).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Journal Korean Gerontol Nurs, 11(1), 81-89. 

  30. S. O. Choi, J. Y. Kim. (2013).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42-152. DOI : 10.5932/JKPHN.2013.27.1.142) 

  31. G. B. McCombs, S. L. Tolle, T. L. Newcomb, A. M. Bruhn, A. W. Hunt & L. K. Stafford. (2018). Workplace bullying: A survey of Virginia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ental Hygiene, 92(5), 22-29. 

  32. M. Birks, R. P. Cant, L. MBudden, M. Russell-Westhead, Y. Sinem Uzar Ozcetin & S. Tee. (2017). Uncovering degrees of workplace bullying: a comparison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during clinical placement in Australia and the UK.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5, 14-21. DOI : 10.1016/j.nepr.2017.04.011 

  33. M. H. Kim. (2018). The effects of calling, self-efficacy and workplace bullying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34. E. H. Han & Y. M. Ha. (2016).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consequ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2(3), 303-312. DOI : 1/10.11111/jkana.2016.22.3.303 

  35. S. W. Byun & Y. O. Ha. (2019).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stay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ccupationa Health Nursing, 28(2), 104-113. DOI : 10.5807/kjohn.2019.28.2.104 

  36. E. J. Bae & K. Y. Kim. (2018). The effect of stress coping ability and recovery resilience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1), 662-671. DOI : 10.5762/KAIS.2018.19.11.6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