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에서 유통되고 있는 건조수산물 95건에 대하여 유해중금속인 납, 카드뮴, 수은 및 미량영양소인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금아말감법의 수은분석기,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항목별 평균함량은 납 0.062±0.071(0.002-0.428) mg/kg[평균값±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 mg/kg], 카드뮴 0.083±0.100(0.004-0.540) mg/kg, 수은 0.012±0.012(N.D-0.054) mg/kg, 셀레늄 0.839±0.371(0.362-2.124) mg/kg으로 나타났으며, 유해중금속인 납, 카드뮴, 수은 모두 기준규격 이하로 나타났다. 멸치 크기에 따른 중금속 및 셀레늄 함량은 수은이 대멸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셀레늄은 잔멸치와 대멸치의 크기에 따른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나타냈다(P<0.05). 새우 종류에 따른 중금속 및 셀레늄 함량을 비교한 결과 보리새우가 납, 카드뮴, 수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대멸치, 밴댕이의 부위별 중금속 및 셀레늄 함량은 내장부위가 가장 높았고, 새우는 머리부위가 중금속 및 셀레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건조수산물을 통해 섭취하는 수은, 카드뮴의 주간 및 월간섭취량은 JECFA에서 설정한 PTW(M)I의 0.712%와 2.978%로 조사된 건조수산물 내 중금속 함량은 안전한 농도수준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dried seafoods commonly consumed in Gyeonggi-do were analyzed. Concentrations of lead (Pb), cadmium (Cd), mercury (Hg) and selenium (Se) were measured in 95 samples with an inductively-coupled plasma-mass spectrometer (ICP-MS) and an Hg analyzer. The average con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에서 유통되는 건조수산물을 대상으로 현재 수산물에 공통적으로 기준과 규격이 설정되어 있는 납(Pb), 수은(Hg), 카드뮴(Cd) 뿐만 아니라, 필수 미량 원소인 셀레늄(Se)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해도 평가를 실시하여 건조수산물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은 어떤 경로로 인간에게 쉽게 노출되는가? 중금속은 지각운동, 지반의 침식작용, 화산활동 등에 의해 공기, 물, 토양 및 식품 등에 포함되어 자연 환경 중에 일정 농도로 존재하여 인간에게 쉽게 노출되고 있다1). 또한 급속한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이 오염됨에 따라 식품의 오염도 증가되고 있다.
카드뮴(Cd)의 초기 증상과, 40대 여성에게 유발하는 증상은 무엇인가? 납(Pb)은 신경, 평활근 장애와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을 감소시켜 빈혈을 유발하는 금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중독 증상은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빈혈, 산통, 뇌손상 마비, 신경장애 등이 있고, 만성 장애 증상은 창백한 피부, 두통, 식욕 감퇴 등을 일으킨다6). 카드뮴(Cd)은 잘 알려져 있는 이타이이타이병의 원인 물질로 주로 신장 독성을 일으키고, 초기 증상은 뇨로 단백질이 배설되고 골조직에서의 경우 칼슘과 인 대사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주로 40세 이상의 여성에게 요통, 골절, 골다공증 등을 유발하며, 비장의 기능 장애, 고혈압, 간장 손실, 폐 손상, 기형 발생, 뼈 손상 등을 일으킨다7). 수은(Hg)은 과거 일본에서 발생한 수은 중독증(Minamata disease)으로 유해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영구적으로 뇌, 소뇌, 척수 등의 중추신경계에 축적되어 신경세포 장애를 일으키며, 신장 손상과 임신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8).
수산물 섭취를 통한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평가와 위해평가가 필요한 사회적 원인은 무엇인가? 2016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간 수산물 섭취량은 58.4 kg으로 전세계 평균인 20.2 kg보다 약 3배 가까이 되는 양을 섭취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노르웨이, 일본 순으로 수산물을 많이 섭취하고 있다11). 또한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증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어 육류보다는 수산물을 통한 단백질 섭취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12). 따라서 우리나라는 수산물 섭취를 통한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평가와 위해평가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hlifi, R. and Hamza-Chaffai, A., Head and neck cancer due to heavy metal exposure via tobacco smoking and professional exposure.: A review, Toxicol. Appl. Pharmacol., 248(2), 71-88 (2010). 

  2. MAFF., Concentration of metals and other elements in marine fish and Shellfish. MAFF Press, London, UK (1998). 

  3. Ham, H.J., Distribu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 (Hg, Cd and Pb) in fishery products, sold at Garak wholesale markets in Seoul. J. Food Hyg. Saf., 17, 146-151 (2002). 

  4. Rashed, M.N., Monitoring of environmental heavy metals in fish from Nasser Lake. Environ. Int., 27, 27-33 (2001). 

  5. Kwon, H.D., Kim, B.J., Park, S.H., Lee, J.Y., Park, S.H., Park, M.J. and Lee, M.O., Research on the harmful heavy metals of seafood in Busan area.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 44-52 (2010). 

  6. Choi, E.H.,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arious foods consumed in Ulsan. M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011). 

  7. Vieira, C., Morais, S., Ramos, S., Delerue-Matos, C. and Oliveira MBPP., Mercury, cadmium, lead and arsenic levels in three pelagic fish species from the Atlantic Ocean: Intraand inter-specific variability and human health risks for consumption. Food Chem. Toxicol., 49, 923-932 (2011). 

  8. Jensen, S. and Jernelov, A., Biological methylation of mercury in aquatic organisms. nature, 223, 753-754(1969). 

  9. Woo, J.H. and Lim, W.S., Anticancer effect of selenium, The Ewha Medical Journal, 40(1), 17-21 (2017). 

  10. Yumiko, Y., Michiaiki, Y. and Haruka, I., Selenium content in seafood in Japan. Nutrients, 5(2), 388-395 (2013). 

  1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pparent Fish Consumption Per Capita,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6). 

  12. Kim, H.Y., Kim, J.C., Kim, S.Y., Lee, J.H., Jang, Y.M., Lee, M.S., Park, J.S. and Lee, K.H.,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ishes in Korea. Kor. J. Food Sci. Technol., 39, 353-359 (2007). 

  13. Hwang, Y.O., Kim, S.U., Ryu, S.H., Ham, H.J., Park, G.Y. and Park, S.G., Contents of mercury, lead, cadmium, and arsenic in dried marine product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2(4), 336-344 (2009).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2019).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and Rural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from: http://koreanfood.rda.go.kr/kfi/fct/fctFoodSrch/list 

  16.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mposition Table of Marine Product in Korea. Retrieved from: http://www.nifs.go.kr/page?idseafood_intro_1_01 

  17. ICH Steering Committee, 2005, ICH harmonised tripartite guideline-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Q2(R1), pp. 1-13. 

  18. JECFA(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010, Summary and conclusions of seventy-third meeting (JECFA/73/sc). Geneva, Switzerland, pp. 12-13.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s://knhanes.cdc.go.kr 

  20.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CAC), 2009, Codex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nts and toxins in food and feed: Codex stan. 193-1995. Geneva, Switzerland, pp. 1-44. 

  21. Cho, Y.S., Kim, K.C., Kim, K.A., Kang, S.H., Jung, Y.J., Kwak, S.H., Lee, P.S., Lee, W.H., Moh, A.R., Yong, K.C. and Yoon, M.H., A study on heavy metals and selenium contents of seafoods commonly consumed in Gyeonggi-Do. J. of Food Hyg. and Saf., 32, 211-216 (2017). 

  22. Kim, H.Y., Kim, J.C., Kim, S.Y., Lee, J.H., Jang, Y.M., Lee, M.S., Park, J.S. and Lee, K.H.,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ishes in Korea-As, Cd, Cu, Pb, Mn, Zn, Total H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4), 353-359 (2007). 

  23. Kim, M.H., Lee, Y.D., Park, H.J., Kim, E.J. and Lee, J.O., Contents of toxic metals in crustaceans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 375-378 (2004). 

  24. Choi, M.K., Yun, S.R., Park, H.J., Lee, J.Y., Lee, I.S., Hwang, D.W., Yoon, M.C. and Choi, W.S., Concentrations and risk assessment of total mercury and methyl mercury in commercial marine fishries from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6), 675-683 (2017). 

  25. Kim, K.H., Kim, Y.J., Heu, M.S. and Kim, J.S.,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lead and cadmium in commonly consumed fishes as affected by habitat. Korean J. Fish Aquat. Sci., 49(5), 541-555 (2016). 

  26. Kim, M.H., Kim, J.S., Sho, Y.S., Chung, S.Y. and Lee, J.O., The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arious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4), 561-56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