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및 재가 요양보호사의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처치 지식, 응급상황대처능력, 교육경험 및 교육요구도 비교
Comparison of Emergency Experience and First Aid Knowledge, Emergency Coping Ability, Educational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Facilities and Home Caregiv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3, 2019년, pp.390 - 408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that provides basic data to develop customized emergency education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emergency coping ability of caregivers suitable for facility and home care services. Method: This study included 210 facility and 169 home care workers in S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수행된 요양보호사 대상 응급교육 관련 연구는 주로 기본심폐소생술 위주의 교육이 대부분이었으며(Kim & Kim, 2018-a), 최근 Kim과 Kim(2018-a)이 기본심폐소생술과 일반응급처치를 포함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시설과 재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지 못하여 서비스 유형별로 요양보호사가 직면하는 노인 응급상황 및 응급상황대처능력을 명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유형별로 요양보호사에게 효율적인 응급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각 서비스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인 응급상황경험 및 응급상황대처능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요양보호사들이 희망하는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여 서비스 유형별로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서비스 특성에 맞는 응급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상황에서의 적절한 대응이 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4%(502,233명)를 차지하여 시설 및 재가서비스 현장 모두 노인 응급상황 발생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응급상황에서의 적절한 대응은 사고로 인한 부상과 질병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2차적인 합병증 및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의학적으로 전문적인 치료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다(Chung et al., 2016).
요양보호사란? 요양보호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함께 신설된 인력으로 노인복지법에 따라 시설과 재가로 구분하여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설은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재가는 방문요양 및 목욕, 주ㆍ야간보호, 단기보호 등의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및 심신기능의 유지ㆍ향상을 위해 직접적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이다.
재가 요양보호사들의 업무체계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더불어 요양보호사들의 업무체계에서도 시설의 경우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22조 1항의 직원 배치기준에 따라 기본적으로 시설장,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 등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 구조에 따른 위계적 절차에 의해 업무가 수행되는 부분이 있어 응급문제 발생 시 업무영역별 협력과 대처가 가능하다. 반면 재가의 경우 노인 가정에 요양보호사 혼자 단독으로 방문하여 관리,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응급상황 발생 시 전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지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이렇듯, 시설과 재가서비스 대상자는 질병의 중증도와 특성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요양보호사의 업무 성격과 환경이 다르고, 직무수행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장기요양서비스 유형에 따라 노인 응급상황 발생 및 응급상황대처능력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erejeira, J., Lagarto, L., & Nukaetova-Ladinska, E. B. (2012).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Frontiers in Neurology, 3, 1-21. https://doi.org/10.3389/fneur.2012.00073 

  2. Cho, Y. R., & Lee, K. Y. (2014). Current prehospital care status, knowledge, and prehospital care confidence toward the elderly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8(3), 19-35. http://dx.doi.org/10.14408/KJEMS.2014.18.3.019 

  3. Chung, S. P., Sakamoto, T., Lim, S. H., Ma, M. H., Wang, T. L., & Lavapie, F., et. al. (2016). The 2015 Resuscitation council of Asia (RCA) guidelines on adult basic life support for lay rescuers. Resuscitation, 105, 145-148.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6.05.025 

  4.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5. Goodridge, D., Bond, J. B., Cameron, C., & McKean, E. (2005). End-of-life care in a nursing home: A study of family, nurse and healthcare aide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1(5), 226-232. https://doi.org/10.12968/ijpn.2005.11.5.226 

  6. Hwang, K. H., & Lee, O. C.(2017). Factors affecting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among employees of public facilities. Crisis, 13, 1-12. http://dx.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8.1 

  7. Hwang, E. H., Jung, D. Y., Kim, M. J., Kim, K. H., & Shin, S. J. (2012). Comparison of frequency and difficulty of care helper job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lient hom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01-112. http://doi.org/10.5932/JKPHN.2012.26.1.101 

  8. Jablonski, R. A., Utz, S. W., Steeves, R., & Gray, D. P. (2007). Decisions about transfer from nursing home to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3), 266-272.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7.00179.x 

  9. Kim, H. H., & Lee, I. S. (2012).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ski resort work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6(1), 103-115. https://doi.org/10.14408/KJEMS.2012.16.1.103 

  10. Kim, S. O. & Kim, S. Y. (2018-a). Experience of emergency situation and experience of education,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caregivers. Journal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 288-303. https://doi.org/10.5932/JKPHN.2018.32.2.288 

  11. Kim, S. Y. & Kim, S. O. (2018-b).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4, 347-357.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4.347 

  12. Lee, J. M. (2012). A study on the recognition, knowledge, and self-efficiency of the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care helper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6(1), 7-18. 

  13. Lee, K. J., Lee, M. R., & Cho, Y. H. (2008). A study on safety awareness and accidents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1), 48-57. 

  14. Lee, N. G., Kim, D. O. & Choi, B. R. (2017).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irements of physical therapis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1(2), 103-113. http://dx.doi.org/10.14408/KJEMS.2017.21.2.103 

  15. Lim, H. Y., & Lee. M. J.(2017). The effect of managerial leadership on the care burden of care workers - focus on the leadership of top-leader and leadership of mid-level leader-. Journal of Korea Contents Academic, 17(12), 308-318. http://doi.org/10.5392/JKCA.2017.17.12.308 

  16. Lim, S. H., Chang, S. O., Seo, K. H., & Lee, S. J. (2010).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identi -fication and management of change in the condition of residents at risk in nursing homes. Journal Korean Gerontol Nursing, 12(1), 81-94. 

  17. Lovheim, G., Sandman, P., Karlsson, S., & Custafson, Y. (2008).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relation to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4), 777-789. http://doi.org/10.1017/S1041610208006777 

  18. Moon, M. J., & Lee, S. (2019).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Safety Behaviors of Care Work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98-108. http://dx.doi.org/10.5932/JKPHN.2019.33.1.98 

  1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Fire administration documents and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nema.go.kr/nema_cms_iba/show_nema/board/board9s/list.jsp?c_relation39&check_the_num142&check_the_code5&check_up_num165 

  20. Park, K. H. (2016). A comparative study on task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 workers at long-term and home care servic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1. Seike, A., Sumigaki, C., Takeda, A., Endo, H., Sakurai, T., & Toba, K. (2014).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educational support for early-stage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n investigation based on learning needs and attitude change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4, 28-34. http://dx.doi.org/10.1111/ggi.12263 

  22. Shoulders, B., Follett, C., & Eason, J. (2014). Enhancing critical thinking in clinical practice: Implications for critical and acute care nurse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33(4), 207-214. http://dx.doi.org/10.1097/DCC.0000000000000053 

  23. Song, J. A., Kim, Y. K., & Kim, H. J.(2012). Educational needs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mong certified nursing caregive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3), 220-232. 

  24. Stephens, C. E., Newcomer, R., Blegen, M., Miller, B., & Harrington, C. (2014). The effects of cognitive impairment on nursing home resident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hospitalizations. Alzheimer's & Dementia, 10(6), 835-843. https://doi.org/10.1016/j.jalz.2014.03.010 

  25. Tabloski, P. A. (2010). Gerontological Nursing(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6. Tannazzo, T., Breuer, L., Williams, S., & Andreoli, N. A.(2008). A dementia training program to benefit certified nurse assistant satisfaction and nursing home resident outcomes. Alzheimer's Care Today, 9(4), 221-229. 

  27.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8). 2020 United States census. Available at https://www.voakorea.com/a/4357697.html 

  28. Vellone, E., Piras, G., Talucci, C., & Cohen, M. Z. (2008). Quality of life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2), 222-23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94.x 

  29. Yi, Y. J., Kang, H. S., Kwon, S. B., Kim, J. H., Park, Y. S., & Son, H. M., et al. (2010). Evaluation of the korean formal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872-88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6.8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