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케어 직무에 대한 수행도 및 실습교육요구도 비교에 관한 융합연구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and Practical Training Needs for Elderly Care Service on Convergence Study -Focusing on Senior Caregivers, Social Workers and Nursing Assista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351 - 360  

소권섭 (건양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복지학과) ,  김용덕 (건양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  황혜정 (건양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노인케어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노인케어 전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2019년 11월28일부터 12월 15일까지 K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노인케어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카이제곱검정, ANOVA를 사용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 metho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케어 전문교육 요구도는 요양보호사가 간호조무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노인케어 온라인 교육요구도 사회복지사가 간호조무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행도에서 '노인에 대한 이해와 상담'과 '노인 놀이프로그램 실제'는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순 이었고, 실습 교육 요구도에서 '치매와 호스피스 및 웰다잉교육'는 사회복지사가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인전문케어 필요성 및 노인케어 온라인 교육의 요구도에 따른 각 군별 맞춤형 전문화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추후 효과를 검증하는 중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 online education program of elderly care service for the senior caregiver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senior caregivers who attended K cyber university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15,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OVA and post test by scheff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D시에 위치한 K 사이버대학 재학생 중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노인케어 관련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대상으로 노인케어 직무에 대한 수행도 및 실습교육요구도를 비교하여 노인케어실무형 온라인 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 연구는 D시에 위치한 K사이버대학교 재학생 중 노인케어 관련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노인케어 관련 수행도, 교육요구도 및 현장실습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양적 조사연구이다.
  • 이 연구는 노인케어 관련 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의 직무 수행도 및 실습교육 요구도를 비교하여 노인케어 관리를 위한 융합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각 직군의 직무와 이에 따른 과업 및 과업의 세부 내용에 대한 세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맞춤형 노인케어 온라인 무료 교육 콘텐츠의 개발 보급을 위한 보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노인케어 전문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인케어 전문교육 요구도 및 필요이유를 파악하고 각 집단별 노인케어 실무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 Kim, Sa와 Yoon[10]의 연구에서 스마트폰 또 는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은 면대면 교육의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주요 노인케어 종사자간 노인케어 전문교육 요구도 및 필요, 수행도 및 실습교육요구도를 비교하여 노인케어 전문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Park와 Lee[3]의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정리해보면,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내용은 객관화·표준화 되어 있지 못하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격취득 후 실시하는 보수교육이나 직무교육도 의무화되어 있지 않고 규정이 부실하다는 문제점이 제기 되 었으며, 면대면 강의식 교육으로 인한 낮은 참여율도 요양보호사의 전문직업성을 강화하는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Kim, Sa와 Yoon[10]의 연구에서 스마트폰 또 는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은 면대면 교육의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장기요양서비스의 서비스 당사자에게 필요한 점은? 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상반기 통계에 의하면 장기요양서비스 기관에서 노인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은 요양보호사 363,568명, 사회복지사 20,531명, 간호조무사 10,266명, 간호사 2,993명, 의사 (촉탁 포함) 2,187명 등으로 나타났다[6]. 장기요양서비스는 서비스 당사자 개인별 잔존능력상태를 파악하고 당사자 개인에 적합한 기능회복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 교육 및 지속 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7]. 노인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 대상자에게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하다[8].
요양보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교과목은 ‘요양보호개론’, ‘요양보호관련 기초지식’, 그리고 ‘특수요양보호각론’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요양보호 관련 제도 및 서비 스’,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자세’, ‘요양보호대상자 이해’, ‘의학, 간호학적 기초지식’, ‘기본 요양보호 기술’, ‘가사 및 일상생활’, ‘의사소통 및 여가지원’, ‘요양보호 기록 및 업무보고’, ‘치매 요양보호 기술’, ‘임종 및 호스피스 요양보호 기술’, ‘응급처치 기술’ 등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9]. 요양보호사의 자격을 취득한 요양보호사는 서비스 대상자들의 신체활동과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세부 업무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배설, 식사, 목욕을 돕고, 세면과 옷 갈아입히기 등 기본위생관리와 몸단장을 수행한다. 또 식사, 청소, 세탁 등 가사활동이나 병원 방문, 쇼핑, 심부름 등의 일상생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체활동과 정서지원 등 대상자에게 긍정적 동기를 부여하여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하도록 동기유발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tatistics Korea. (2019). Statistics on the Aged.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7226 

  2. J. W. Choi, , M. U. Chun & S. G. Kang.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31-444.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12.431 

  3. S. W. Park & W. J. Lee. (2019).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FGI.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9(1), 587-597. DOI: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587 

  4. J. Y. Kim & J. M. Lee. (2018). A Study of the Working Condition of Care Workers working at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y and Policy Proposals. Journal of Care Management. 27, 133-165. DOI: http://dx.doi.org/10.22589/kaocm.2018.27.133 

  5. G. S. Lee. (2018). Educational needs for caregivers' job training using IPA analysis. Journal of Care Management, 28, 5-28. DOI: http://dx.doi.org/10.22589/kaocm.2018.28.5 

  6. Long-term Care Insurance at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8). The first half of 2018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ternet]. Won-ju: Long-term Care Insurance. http://www.nhis. or.kr/wbdya/wbdyaList.xx# 

  7. S. M. Park & S. Y. Mun. (2016). A Study on IPA of the Care helper's Tas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1(3), 163-191. DOI: https://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7430227 

  8. J. Kim & S. Y. Lee. (2013). A Study on Care Workers' Job Performance and Competency at Long-Term Care Hom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2), 243-273. DOI: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474 

  9. Ministry Health and Welfare. (2018). Training guideline for elderly caregivers.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 

  10. D. E. Kim, G. H. Sa & J. Y. Yoon. (2019). A Delphi Study for Developing a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Online Education Progra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Acad Community Health Nurs, 30(3), 295-306.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9.30.3.295. 

  11. M. S. Song, J. H. Kim & N. Y. Yang. (2019). Job Performance,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Acad Soc Home Care Nurs, 26(2), 166-179. DOI: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2.166 

  12. G. S. Lee. (2018). Educational needs for caregivers job training using IPA analysis. Journal of Care Management, 28, 5-28. DOI: http://dx.doi.org/10.22589/kaocm.2018.28.5 

  13. K. A. Yoon. (2019) Integrated Care Setting for the Elderly and the Roles of Social Workers.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9(3), 441-456. DO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994787 

  14. S. J. Kang. (2018). A Study Qualitative Research on Service Providers and Users' Dignified Care Experience for Long-term Care Facility.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9(1), 104-152. DO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 Detail.laf?barcode 4010026416408&vendorGb01&academyCd20051 

  15. H. S. Chang. (2011). Analysis of Performance Requirement for Long-term Care Workers of Home Visit Care and Home Visit Bathing based o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3), 77-88. DOI: https://www.earticle.net/Article/A156198 

  16. M. J. Ham & T. H. Cha. (2018). Effects of Dementia Risk Factors on the Cognitive Function Ability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265-272.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8.265 

  17. J. E. Lee & I. S. Ko. (2018). The Relationship of Caregiving Appraisal and Family Function among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using In-home Services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319-330.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8.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