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관한 소비자 구매프로세스 연구 :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 적용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Consumer Purchasing Process of Organic Bakery Products :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5 no.4, 2019년, pp.173 - 187  

배선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호텔외식급식경영) ,  강혜승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호텔외식급식경영) ,  손춘영 (동남보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함선옥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theory of plann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ath to consumers organic bakery product purchasing process, and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come and changes in diet due to economic growth began to increase consumptio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의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유기농 원재료를 활용한 베이커리 제품 개발에 대한 경영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자들의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행동 향상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격민감도에 따른 소비자 구매 행동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베이커리 내에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관련 연구는 있어왔지만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 이유 및 구매동기가 구매 행동의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에서의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핵심정보인데, 이에 대한 연구가 부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유기농 베이커리 소비자의 구매행동 프로세스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의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유기농 원재료를 활용한 베이커리 제품 개발에 대한 경영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자들의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행동 향상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격민감도에 따른 소비자 구매 행동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 이용고객에게 최대한 많이 응답 대상자를 확보하기 위해 Online, Offline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예비조사는 2019년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소재 베이커리에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Offline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해 Ajzen[10]의 계획행동이론의 모형을 기본으로 하여 구매프로세스를 파악하여 베이커리에서 유기농 원재료에 대한 제품개발 확산과 더불어 소비자가 유기농 제품에 대하여 구매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 가격민감도 조절효과를 적용하여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구매이유와 구매동기인 행동적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제안하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가격민감도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전체 구매의사결정 프로세스에 차이를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는 <그림1>과 같이 연구모형으로 설계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일반제품이 아닌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유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구매프로세스를 연구함에 있어 구매 이유를 파악하고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유기농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이해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프로세스 활성화를 위해서 건강·식품안전·환경관심도와 유기농관심도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농 베이커리 소비자의 제품 구매이유와 구매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이유가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농 베이커리 소비자의 제품 구매이유와 구매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이유가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유기농 제품 소비자의 구매이유, 구매동기, 구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고자 를 설정하였다.
  • 유기농 제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가격민감도가 낮은 개인들에게는 구매행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며 유기농제품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가격민감도가 높은 개인들에게는 구매 행동의도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3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제품에 대한 행동적 태도와 구매행동의도의 관련성을 통제하는 조절변수로 가격민감도를 제시하고 가격민감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 사이에 관련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의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가격민감도는 그 높고 낮음에 따라 차별화 된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가설 설정

  • H1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구매이유는 구매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건강식품환경 관심도는 행동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건강식품환경 관심도는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건강⸳식품환경 관심도는 지각된 통제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유기농관심도는 행동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유기농관심도는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6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유기농관심도는 지각된 통제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구매동기는 구매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행동적 태도는 구매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구매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지각된 통제 감은 구매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가격민감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 가공식품이란? 유기농(Organic)이란 유기질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을 말하는데 이는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말하며, 유기농 100% 농산물을 가공한 것을 유기농 가공식품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합성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주곡, 과일, 채소, 축산, 수산물 등[5], 유전적으로 변형이 되지 않은 식품을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기농 가공식품이란 3년간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이용하여 유기농산물을 95%이상 함유한 식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6]. 베이커리(Bakery)란 빵, 과자, 케이크, 초콜릿, 아이스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판매하는 장소를 뜻하는 말한다.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은 이유는? 소비자의 식생활 방식이 변화되면서 베이커리 업계도 꾸준히 발전을 하여 왔다. 현대사회에서 외식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유기농, 친환경,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커리에서도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은 꾸준히 소비자들에게 소개되고 있으며, 건강에 좋다는 이유 등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2]. 이런 추세에 따라 최근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는 데, 이윤희[3]는 웰빙(Well- being)이라는 개념을 소비 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베이커리 유기농 제품의 소비태도와 관심, 그리고 제품구매 후 지각된 가치 및 만족도 간에 인과관계를 연구하였다.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 프로세스를 연구하게 된 배경은? 임청하, 유세란, 고재윤[4]은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의 선택 동기와 행동적 태도, 구매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가격민감도에 따른 조절효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 지금까지 베이커리 내에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관련 연구는 있어왔지만 유기농 베이커리 제품 구매이유 및 구매동기가 구매행동의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에서의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핵심정보인데, 이에 대한 연구가 부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유기농 베이커리 소비자의 구매행동 프로세스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이미남.이애주, "친환경식품 소비가치와 개념 신뢰도의 관계 및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외식산업학회,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13권, 제2호 2017, pp.177-187. 

  2. 김원모.이윤신, "기능성베이커리제품의 이용실태와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제10권, 2, 2004, pp.1-15. 

  3. 이윤희, "베이커리 유기농제품의 소비태도 및 관심도, 제품구매 후 만족도 간에 인과관계 연구," 외식산업경영연구, 제11권, 제2호, 2015, pp.63-80. 

  4. 임청하 . 유세란 . 고재윤, "베이커리 유기농제품의 선택 동기가 태도와 개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제18권, 제1호, 2015, pp165-188. 

  5. 이화선, "웰빙 트렌드(well-being)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유기농 식품 패키지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웰빙(well-being)소비자와 로하스(LOHAS)소비자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p68. 

  6. 박소진.유소이, "건강동기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유기농 식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0권, 제4호, 2007, pp.107-126. 

  7. 윤대순 ? 김현심, 베이커리 경영론, 백산출판사, 1998, p54. 

  8. 정선희, "베이커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지각된 서비스품질 고객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p11. 

  9. 고성희 . 이영림 . 이경연 . 김혜영, "건강빵제품 유형에 대한 구매 실태 및 소비자의 선택 요인,"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19권, 제4호, 2009, pp515-524. 

  10. Ajzen. I, "The theory of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1991, pp.179-211. 

  11. James. D, Westaby, Behavioral reasoning theory: Identifying new linkages underlying intentions and behavior. Program in Social-Organiz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Organization and Leadership,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3. 

  12. Westaby. J. D, "Comparing attribute importance and reason methods for understanding behavior : An application to internet job searching,"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4, 2005, pp.568-583. 

  13. Chun. B. Y, Kam. S, Yeh. M. H, Kang. Y. S, Kim. K. Y, Son. J. H, Park. K. S, "Structural analysis of health concerns,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 levels of the disabled,"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Vol.32, No.3, 1999, pp.276-288. 

  14. Park. Y. E, An analysis on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aster degree thesis Donga University, 2002, p98. 

  15. 박성열.이철희.남민우.차승봉.박혜진.채경화,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3호, 2009, pp.41-62. 

  16. 김창길.정학균.문동현.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와 시장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17. 안호기.진양호(2009),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 인지가 개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제12권, 제4호, 2009, pp.441-459. 

  18. Roberts. J. A, Bacon. D. R, "Exploring the subtl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concern and ecologic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40, No.1, 1997, pp.79-89. 

  19. 김정옥, "유기농산물과 유기가공식품의 인증 및 표시실태," 생활경제국, 2003, p34. 

  20. Fishbein. M,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e object," Human Relations, Vol.16, No.8, 1963, pp.222-240. 

  21. Chen. M. F,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 Food Quality and Prdference, Vol.18, No.7, 2007, pp.1008-1021. 

  22. Beharrell. B, MacFie. J. H, "Consumer attitudes to organic foods,' British Food Journal, Vol.93, No.2, 1991, pp.25-30. 

  23. 김연종.박상혁,"전자상거래 기술특성과 개인가치가 정보보호 중요성에 의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13권, 제1호, 2017, pp.161-162 

  24. Taylor, S. A, T. L. Baker,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Retailing, Vol.2, 1994, pp.163-178. 

  25. Anderson, James. C, Gerbing, David. 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1988, pp. 411-423. 

  26. 이영주.여운승, "환경의식과 소비가치가 친환경 식자재 개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6호, 2014, pp.181-199. 

  27. 전병호, "국내 온라인 쇼핑 할인 행사 '사이버 핫데이즈'에서의 소비자 행동 연구,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2호, 2018, p109. 

  28. Kalar. A, Goodstein. R. C, "The impact of advertising positioning strategies on consumer price sensitiv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5, 1998, pp.210?224. 

  29. 여운승, "외식기업의 고객인지 부조화요인이 구매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외식조리관리학과, 2009, p36. 

  30. RE Bucklin, S Gupta, S Han, "A brand's eye view of response segmentation in consumer brand choic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1, No.1, 1995, pp.66-74. 

  31. Michaelidou. N, Hassan. L. M, "The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food safety concern and ethical identi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 wards organic foo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2, No.2, 2008, pp.163-170. 

  32. 박미진.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청소년의 진로정보탐색행동 예측 모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p24. 

  33. Ajzen. I, "Nature and operation of attitud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2001, pp.27-58. 

  34. Li­tze Hu, Peter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1999, pp.1-55. 

  35. 배병렬,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09, p.96. 

  36. S.Bamberg, "Applying the stage model of self-regulated behavioral change in a car use reduction interven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33, 2013, pp.68-75. 

  37. 윤지영,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친환경제품 구매프로세스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pp.8-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