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으로 인한 개인정보 무관심 형태에 대한 연구
Indifferenc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Social Media Users due to Privacy Paradox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5 no.4, 2019년, pp.213 - 225  

김연종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  박상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vacy paradox is a paradoxical behavior that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even though you are concerned about privacy. Social media users are also often concerned about their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t is even reluctant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in profile. However, some users desc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환경 하에서의 개인정보 무관심에 대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대한 연구로 독립변인으로 개인정보 침해경험을 투입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사용하였 다. 개인정보 침해경험과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의 매 개변인으로는 프라이버시 무관심과 프라이버시 염려를 포함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도 전자 상거래처럼 동일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개인정보 침해경험으로 인해 후속적인 감정인 둔감화, 무감각, 무관심으로 인한 행동과 개인정보 제공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연구에 의하면,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 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은 기존의 전자상거래 와 환경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도 전자 상거래처럼 동일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개인정보 침해경험으로 인해 후속적인 감정인 둔감화, 무감각, 무관심으로 인한 행동과 개인정보 제공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 따라서 자신의 개인정보침해를 당한 경험 이 있는 사용자들은 개인정보에 대해서 무감각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경험에 기반된 프라이버시 염려도와 개인정보 제공간의 관계, 프라이버시 무관심과 개인정보 제공간의 관계를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H1):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침해 경험과 개인정보 제공 의도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 가설 2(H2):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침해 경험과 프라이버시 무관심간간에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 가설 3(H3):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침해 경험과 프라이버시 염려도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 가설 4(H4):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무관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 가설 5(H5):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무 관심과 개인정보 제공의도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 가설 6(H6):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라이버시 패러독스(privacy paradox)란? 프라이버시 패러독스(privacy paradox)는 자신이 프라이버시에 대해 염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를 제공하거나 모순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자상거래에서도 개인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가 존재한다[1, 2].
자신의 개인정보를 적극적으로 노출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인정보를 프로필 상에 상세히 기술하거나 타인이 요청하는 경우에는 거리낌 없이 제공하며 스스로 자신의 개인정보를 포스팅한다. 퍼스널 마케팅(personal maketing)과 같이 자신을 브랜드화하여 알리기 원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개인정보를 노출한다.
프라이버시 패러독스의 모순적인 행동이란? 전자상거래에서도 개인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가 존재한다[1, 2].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염려(privacy concern)를 하면서도 정작 자신이 가입한 웹사이트가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해도 자신의 개인정보침해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다[3].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소비자의 감정을 탐색해 본 결과, 분노·짜증·당황과 같은 16가지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반면, 시간이 지나면 일부 해소되기도 하고, 허무·허탈·좌절 등의 후속 감정이 강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연종.김진성.안병혁, "개인정보 제공행위에 대한 Privacy Paradox,"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1호, 2016, pp.119-151. 

  2. 김종기.김상희, "온라인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연구-프라이버시 역설 관점에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3권, 제1호, 2013, pp.41-64. 

  3. 임명성, "개인정보 유출 사고 후 웹 사이트 가입지속 및 프라이버시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2013, pp.107-119. 

  4. 전상민,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의 탐색적 연구: 자기 관찰을 통한 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2014, pp.137-162. 

  5. 신일순.김현수, "프라이버시 염려와 SNS 활동 : 프라이버시 역설의 존재 및 이유,"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5권, 제2호, 2018, pp.33-67. 

  6. Kokolakis, S., "Privacy attitudes and privacy behaviour: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on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Computers & Security, Vol. 64, January 2017, pp.122-134. 

  7. Pavlou, P. A., "State of the Information Privacy Literature: Where are we now and where should we go?," MIS Quarterly, Vol. 35, No. 4, 2011, pp.977-988. 

  8. Smith, H. J., Milberg, J. S., and Burke, J. S.,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c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Vol. 20, No. 2, 1996, pp.167-196. 

  9. 김선경, "빅데이터 시대에 개인화서비스와 프라이버시 패러독스의 고찰 - 사회기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6권, 제2호, 2014, pp.193-207. 

  10. 김정은.김성준.권두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보호행동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5권, 제3호, 2016, pp.1-30. 

  11. 김진성.김종기,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경제적 행동에 관한 연구: Privacy 2017Calculus, CPM이론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6권, 제1호, 2017, pp.93-123. 

  12. 유재호.이애리.김경규, "페이스북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 연구 : 듀얼팽드이론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17권, 제1호, 2016, pp.17-47. 

  13. 이충훈.맹윤호.이중정,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영향요인 연구: SNS를 중심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4권, 제2호, 2015, pp.99-112. 

  14. Laufer, R. S. and M. Wolfe, "Privacy as a Concept and a Social Issue: A Multidimensional Developmental Theory,"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3, No.3, 1977, pp.22-42. 

  15. Acquisti, A. and Grossklags, J., "Privacy and Rationality in Individual Decision Making," IEEE Security and Privacy, Vol. 3, No. 1, 2005, pp.26-33. 

  16. Norberg, P. A., Horne, D. R. and Horne, D. A., "The Privacy Paradox: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s Versus Behavior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41, No. 1, 2007, pp.100-126. 

  17. 김종기.김상희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제공행동간의 프라이버시 역설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중심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3권, 제3호, 2014, pp.139-152. 

  18. Barnes, S. B., "A Privacy Paradox: Social networks in the United States," First Monday, Vol. 11, No. 9. 2006. 

  19. Li, Y., "Theories in online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an integrated framework,"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54, 2012, pp.471-481. 

  20. Mitrano, Tracy, "Thoughts on Facebook," Retrieved July, 26, 2006. 

  21. 김연종.박상혁, "전자상거래 기술특성과 개인가치가 정보보호 중요성에 의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 13권, 제 1호, 2017, pp.159-171. 

  22. 민천홍.한경식, "모바일 상거래 특성이 모바일의 개인화 기반 컨텐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2권, 제2호, 2006, pp.99-107. 

  23. Susanne Barth, Menno D.T. de Jong,, "The privacy paradox - Investigating discrepancies between expressed privacy concerns and actual online behavior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34, No. 7, November 2017, pp.1038-1058. 

  24. Orin, K, The Volokh Conspiracy "The Privacy Paradox",https://www.washingtonpost.com/news/volokh-conspiracy/wp/2015/05/21/the-privacy-paradox/?utm_term.99c04859e1b7. 

  25. Boyd, d., & Hargittai, E. (2010). Facebook privacy settings: Who cares? First Monday, 15(8). http://journals.uic.edu/ojs/index.php/fm/article/view/3086. 

  26. 홍일유.강동원.조휘형, "사회적 및 개인적 선행요인들이 SNS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21권, 제1호, 2014, pp.57-76. 

  27. Smith, G., "Social Sofrware Building Block." Available: 2007, http://nform.ca/publications. 

  28. 김상현.박현선, "정보공유 및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특성과 지각된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실증연구,"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제27권, 제3호, 2012, pp.247-272. 

  29. Hoofnagle, C. J., King, J., Li, S., & Turow, J., How Different are Young Adults from Older Adults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Privacy Attitudes and Policies? (SSRN Scholarly Paper No. ID 1589864). Rochester, NY: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2010. 

  30. Taddicken, M., "The 'Privacy Paradox' in the Social Web: The Impact of Privacy Concer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ived Social Relevance on Different Forms of SelfDisclosure1,"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13. 

  31. Chang, C.-W., & Heo, J., "Visiting theories that predict college students' self-disclosure on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30, 2014, pp.79-86. 

  32. Debatin, B., Lovejoy, J. P., Horn, A.-K., & Hughes, B. N., "Facebook and Online Privacy: Attitudes, Behavior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5, No. 1, 2009, pp.83-108. 

  33. Blank, Grant and Bolsover, Gillian and Dubois, Elizabeth, "A New Privacy Paradox: Young People and Privacy on Social Network Sites," (August 13, 2014). Prepared for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7 August 2014, San Francisco, California. 

  34. Dutton, W. H., & Meadow, R. G., A tolerance for surveillance: American public opinion concerning privacy and civil liberties. In K. B. Levitan (Ed.) Government infrastructures. Connecticut: Greenwood Press .1987. 

  35. Grant, B., Gillian B. & Elizabeth, D., A., "New Privacy Paradox:Young people and privacy on social network sites," Global Cyber Security Capacity Centre: Draft Working Paper, pp.1-33, 2014. 

  36. 최희식.조양현,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개선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 11, No. 3, 2015, pp.53-62 

  37. Malhotra, N. K., Kim, S. S. and Agarwal, J.,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4, 2004, pp.336-355. 

  38. Dinev, T. and Hart, P.,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7, No. 1, 2006, pp.61-80. 

  39. Kobsa, A., "Privacy-Enhanced Personaliza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0, No. 8, 2007, pp.24-33. 

  40. 정태석.임명성, "프라이버시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6호, 2012, pp.49-59. 

  41. Bushman, B. J. & Anderson, C. A., "Comfortably numb: Desensitizing effects of Violent media on helping others," Psychological Science, 2009. 

  42. Kaiser, H. 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Vol. 39, 1974, pp.31-36. 

  43. Brown, 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2n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5. 

  44.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NJ: Prentice Hall. 2010. 

  45. Hu, L-T., & Bentler, P. 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r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 6, No. 1, 1999, pp.1-55. 

  46. Fornell, C. & Lacker, D. 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2, 1981, pp.39-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