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vergent influence of spouse support, sexual autonomy, sexual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77 - 486  

박미경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문지현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결혼이주여성 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배우자지지는 3.64±0.86, 성적자율성 3.44±0.93, 성생활만족 3.14±0.90, 자기효능감은 3.06±0.64이었고, 모든 변수들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성관련 변인인 성적자율성과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강력한 예측 인자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26.9%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descriptive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pouse support, sexual autonomy, and sexual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171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Jan to Mar 2019.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Pears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성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융합적인 효과를 검정하여 결혼이주여성이 배우자지지 및 성관련 변인에 대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여성 자신의 능력을 높여주는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 자기효능감 모든 변수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자율성과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6.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부부관계 안에서느끼는 다양한 성관련 문제점을 이해하고 적응능력과 대처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로 그들의 성관련 변인들의 수준을 알아보고 그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다문화가족이 행복한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자라온 여성들이 가정 내에서 아내, 며느리, 주 양육자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문제를 부부들의 관계속에서 이들 여성이 잘 적응하여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배우자 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하지만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성관련 변인들과 관련된 연구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16]만 있을 뿐 배우자지지 및 성관련 변인들이 자기효능감에 미치게 되는 융합적인 영향에 대해 확인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차 늘어만 가는 다문화가정의 성관련 문제를 부부 관계 안에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성생활만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여성 개인으로서의 삶은 물론 가족 및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적응을 돕는 중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이란 어떠한 결과를 얻는데 자신이 필요한 행동을 선택 또는 지속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스스로 선택한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으로,판단하고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17]. 실제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능동적, 인지적, 행동적 대처 능력이 뛰어나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이 커지며, 삶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에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8].
배우자지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배우자지지란 배우자에게 받기를 원하는 심리적, 물리적, 정보적, 인간관계적 도움을 뜻하며 결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과 문화적 적응,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회복, 부부갈등의 조정 및 결혼생활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중요 변수이다[7]. 실제로 배우자의 지지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는 높았고, 이혼 의도는 낮았으며, 결혼 적응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국제결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로 인한 부적응, 가족 간의 갈등, 지원체계의 부족 등으로 이는 가족 및 사회구성원이 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3]. 또한 이들 대다수의 가정이 경제적 소득 수준이 낮은 편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 가족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다[4]. 게다가 사회활동의 기회 부재 등으로 이웃과의 교류 및 상호간 사회적 자원도 부족하여 여성들이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더라도 적절한 도움을 받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5]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와 관심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통의 어려움, 사회활동 및 사회적 관계의 기회가 부족한 결혼이주여성들의 실정상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의 역할, 그 중에서도 남편의 지지가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 S. Kim. (2006). A conceptual scheme of international of Koreans and analysis of the marriage and divorce registration dat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1), 25-56. 

  2.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Dynamic statistics of population (Marriage), KOSTAT [Online].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 L. S. Chon & H. J. Cho. (2019). A stydy on enculturation type and life's satisfaction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277-284. DOI : 10.15207/JKCS.2019.10.2.277 

  4. H. R. Kim, N. M. Hwang, I. S. Jang, K. J. Yoon & B. J. Kang. (2008).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reproductive health conditions an priorities.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5. G. G. Jeong, Y. H. Kim, K. E. Park, E. A. Lee, J. H. Park & S. A. Lee. (2007).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onggido. Kyeonggido : Kyeonggido Family Women's research Institute.. 

  6. S. O. Kim, H. S. Lim & G. C. Jeong. (2013).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1), 221-235. DOI : 10.5392/JKCA.2013.13.11.221 

  7. H. M. Thang. (2005). A study on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 and Vietnam after 1992 -a case of cultural adjustment for Vietnamese wome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M. J. Kim. (2011).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9(3), 1-28. 

  9. D. Parikj et al. (2009).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16, 641-646. 

  10. J. H. Moon. (2019). Convergence Study on Marital intimacy, spousal support, sexual autonomy and empowerment on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303-309. DOI : 10.15207/JKCS.2019.10.4.303 

  11. S. Wolf. (1990). Freedom within reason.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2. A. Parkes, M. Henderson, D. Wight & C. Nixon. (2011). Is Parenting Associated with Teenagers' Early Sexual Risk-taking, Autonomy and Relationship with Sexual Partner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43(1), 30-41. DOI : 10.1363/4303011 

  13. K. L. Byun. & Y. H. Lee. (2012). The influences of sexual communication style o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mong marrid men and women. The Korea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4), 623-652. 

  14. S. Y. Kim & S. H. Ahn. (2019).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intimacy and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in 1 year after mastectom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ing, 25(2), 219-231. DOI : 10.4069/kjwhn.2019.25.2.219 

  15. K. W. Kim, K. H. Kang & G. H. Jeong. (2012). Self efficacy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cale. The Korea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6(1), 51-59. 

  16. T. Y. Song. (2017).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sex permission and self-efficacy of migrants marri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Susan. 

  17.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W H Freeman & Company. 

  18. K. S. Park, Y. J. Kim, K. M. Oh, Y. J. Jin, J. H & H. C. Kang. (2008). Communication style,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ways of cop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1), 28-34. 

  19. S. H. Kim & Y. G. Noh. (2018). Influence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Korea of Women Health Nursing, 24(2), 174-184. DOI : 10.4069/kjwhn.2018.24.2.174 

  20. K. S. Nam. (1988).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ouse support and the body image of female patients who have done mastectomy and hysterectom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 University, Seoul. 

  21. M. J. Kim & H. S. Kang. (2003). A comparative study of consistent and inconsistent contraceptive users on partner communication, perceived contraceptive control, and sexual autonomy.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3(6), 784-791. 

  22. S. B. Chang. (1989). An analytic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2), 160-172. 

  23. M. Sherer, J.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 B. Jacobs. (1982). The self- 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4. M.. K. Park & S. H. Moon. (2016). Effect of a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 Nursing, 46(1), 128-139. DOI : 10.4040/jkan.2016.46.1.128 

  25. H. K. Jo & H. S. Lim. (2018).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on support from spouse and from family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dolescent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1), 389-402. DOI : 10.5762/KAIS.2018.19.11.389 

  26. H. S. Lee, C. M. Kim & M. S. Park. (2015).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268-277. DOI : 10.12799/jkachn.2015.26.3.268 

  27. S. O. Kim & H. S. Kim. (2016).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6), 462-473. DOI : 10.5392/JKCA.2016.16.06.462 

  28. J. H. Kim & N. C. Kim. (2017). Effects of birth control empowerment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South Korea.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1), 1-10. DOI : 10.4069/kjwhn.2017.23.1.1 

  29. K. W. Kim, K. H. Kang & G. H. Jeong. (2012). Self-efficacy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51-59. DOI : 10.5932/JKPHN.2012.26.1.051 

  30. S. W. Kang et al. (2015).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ttitude, sexual autonomy, sexual satisfa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 couples.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49, 119-133. 

  31. K. S. Pyo & M. H. Kwo. (2009). A study on the martial satisfaction of multi - cultural families in chungbuk provinc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8, 21-48. 

  32. M. J. Park. (2015). Correlations of marital intimacy, satisfaction of sexual activity,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men. Th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ersity. 23, 13-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