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 신입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교육 만족도
University Freshman's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2, 2019년, pp.238 - 250  

민혜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민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간호학과) ,  민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정여원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in university freshma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75 freshman students under the age of 20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in 2017 using a self-report qu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교육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성교육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성지식과 태도, 성행동과의 연구들은 많았으나 중․고등학교시절에 받은 성교육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서 대학생의 성지식과 태도, 그에 따른 교육만족도를 알아본 연구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성교육 만족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추후 대학생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성 지식과 성 태도 및 성교육 만족도를 파악하고 추후 이를 기반으로 대학 생들을 위한 적합하고 효과적인 성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서 성년 초기로 진입하는 대학교 신입생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성교육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추후 이에 기초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 청소년기의 성 교육과는 다른 차별화 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은 발달 단계상 어떤 시기인가? 대학교 신입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으로 진입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대학생은 발달단계상 성에 대한 가치관이 확립되는 청소년 후반기를 지나 성년 초기에 속하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숙하여 이성교제와 성행동을 실제로 이행할 수 있는 시기이 다(Kim, S. G.
대학생 시기의 성적 특징은 무엇인가? , 2017). 대학생 시기는 성관계 경험이 특히 많은 시기이며, 성 개방성의 증가로 인해 성 경험 또한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대학교 남학생의 61.
본 연구에서 대학교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어떤 제언을 하였는가? 그러므로 사회적으로 성인으로 인정받고 성 생활을 시작할 수 있는 연령인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실제 성 생활과 관련된 성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더불어 건전한 성 생활, 성병 예방교육과 피임 예방교육 등과 같은 개인적인 성문제까지 전문가적 견해로 상담해줄 수 있는 적극적인 교육이 실시되기를 제언한다. 또한 추후 접근이 용이하며 현 시대에 맞는 빠르고도 정확한 정보제공과 대상자에게 적합하고 올바른 성문제 상담을 위한 스마트폰을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bara, K. L. & Susan, R. T. (2009). Truths and myths that influence the sexual decision-making process among young multiethnic college wome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3(5), 336-375. http://dx.doi.org/10.1016/j.apnu.2008.10.007 

  2. Cheon, E. Y. (2013).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43-51.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43 

  3. Choi, J. H., Kim, K. E., & Shin, M. A. (2010). Contraceptive knowledge, contraceptive attitude, and contraceptive use among college students: Function of gender, age, and residence.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19(3), 511-522. 

  4. Choi, M. S., & Ha, N. S.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4), 318-330.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6. Gallup Korea. (2016). 2012-2016 The uses of smartphone and smartwatch, 2016. Seoul: Korea Gallop Research Institute. 

  7. Ho, S. M. (2009).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Ansan, South Korea. 

  8. Jeon, G. S., Lee, H. Y., & Rhee, S. J. (2004).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45-68. 

  9. Kim, G, N., & Kim, K, H. (2017) Preception on Abortion among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7(3), 285-296. 

  10. Kim, H, K. (2017). Effect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on the sexual cop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8(1), 31-42. 

  11. Kim, I. O., Yeom, G. J., & Kim, G. J. (2018).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with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4), 443-453. http://dx.doi.org/10.4094/chnr.2018.24.4.443 

  12. Kim, K. H., & Cho, E. N. (201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Focu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3), 151-161. http://dx.doi.org/10.4069/kjwhn.2016.22.3.151 

  13. Kim, N. H., Park, Y. J., & Jung, H. S. (2015).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at university student perceived.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7(2), 17-42. 

  14. Kim, S. G. (2017). A study on sexual attitude, autonomy and harassment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223-231. http://dx.doi.org/10.5762/KAIS.2017.18.3.223 

  15. Kim, S. J., Moon, S. T., & Kang, H. S. (2011). Factors influencing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4), 434-443. 

  16. Kim, Y. 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and safer sexual behavior in the experienced university students of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356-366.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356 

  17. Lee, E. M., & Kim, K. Y. (2017). The effect of sexual attitude, sexual attitude of parents, and depression on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3), 155-161. http://dx.doi.org/10.17547/kjsr.2017.25.3.155 

  18. Lee, G. Y., & Sim, I, O, (2013). Factors affecting sexual experience of freshmen in college.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12), 159-182. 

  19. Lee, I. S., & Moon, J. S. (2000) Knowledge of sex, attitude toward sex, and s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2), 396-414. 

  20. Lee, J. Y. (2017). Factors affecting contraceptive use among adolescent girls in South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3), 259-267. http://dx.doi.org/10.4094/chnr.2017.23.3.259 

  21. Lee, K. E., & Kim, N. S. (2003). The effect of sexuality course on sex-role stereotypes and sexual attitude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1), 5-17. 

  22. Lee, M. Y., Kim, S. K., & Lee, M. S. (2001). Satisfaction with sexuality education and self-reported sexuality-related knowledge among 10th grad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2), 229-238. 

  23.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The 11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5. Retrieved from https://synapse.koreamed.org/pdf/10.15384/kjhp.2017.17.4.219 

  24. Moon, I. O., Youn, Y. O., & Kim, R. E. (2007). Condition and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8(1), 1-11. 

  25. Park, H. J., & Kang, S. J. (2013). Cybersex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current status and relationship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608-618.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608 

  26. Park, E. H.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and direction of sex educat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sensitive sex educ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0), 365-386. http://dx.doi.org/10.21509/KJYS.2017.10.24.10.365 

  27. Shin, K. R., Park, H. J., & Hong, C. M. (2010).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4), 448-456. 

  28. Song, J. E., & Chae, H. J. (2010).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4), 399-408.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4.399 

  29. Woo, N. S., & Ka, Y. H. (2005). A study on the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ual behavior i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0(2), 113-133. 

  30. Yang, Y. K. (2012).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 for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3), 159-169.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3.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