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Juni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413 - 425  

이에리쟈 (서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S와 G지역의 종합대학 저학년 간호대학생 144명에게 신체증상, 수면의 질,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우울로 구성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은 평균 18.89점이며, 58.3%가 임상치료가 필요한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우울 영향 요인으로 대학생활 적응(β=-.503, p=.000), 신체증상(β=.263, p=.000)순으로 나타났고, 우울의 설명력은 58.9%로 나타났다. 이에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조절하기 위해서 입학초기부터 기초학습 능력을 진단하고, 학습능력향상을 위한 수준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학문적 적응을 돕는 지도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빈도로 경험하는 피로감/기운없음과 같은 신체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junior nursing students(JNS).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as 144 at a college in S and G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bout somatic symptoms(SS), sleep quality, stress, adaptation to college life(AC), dep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적 요인인 신체증상, 수면의 질과 정신·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포괄적 요인인 대학생활 적응 및 우울 정도와 우울 관련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 증상 예방 및 경감을 위한 학생 생활 지도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지역과 G지역에 소재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우울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활 적응이란 어떤 개념인가? 한편 대학생활 적응이란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을 포함하는 포괄적 측면의 개념이다[23,24].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유사 개념으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가 낮을수록 대학생의 중도탈락률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25].
간호대학생이 더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교육부의 대학평가기준과 관련되어 성적평가기준이 강화되면서 대학에서는 교과목 학점 평가시 주로 상대평가 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 동료들 간에 과도한 경쟁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간호대학생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등 희망병원 취업을 위해 고학점이 필수요건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대학생활 중 더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의 15.
본 연구에 사용된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Ham[31]이 개발한 도구이다. 심리, 성격,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1문항, 대인관계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1문항, 학업관련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1문항,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1문항, 진로 및 취업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1문항, 총 5개 문항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받지 않는다’ 1점에서 ‘매우 많이 받는 편이다’ 5점으로 채점하며, 측정한 점수 범위는 최저 5점~최고 25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Ham의 연구[31]에서 Cronbach's α=.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 Aradilla-Herrero, J. Tomas-Sabado & J. Gomez - Benito. (2014). Associ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4(4), 520-525. DOI : 10. 1016/j.nedt.2013.07.001 

  2. C. H. Jung. (2017).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Spss program.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10(6), 496-505. DOI : 10.17661/jkiiect.2017.10.6.496 

  3. J. S. Kang & E. H. Hwang. (2014).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810-819. DOI : 10.5392/JKCA.2014.14.11.810 

  4. Y. Xu, X. Chi, S. Chen, J. Qi, P. Zhang & Y. Yang. (2014).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in China. Nurse Education Today, 34(6), e7-e12. DOI : 10.1016/j.nedt.2013.10.017 

  5. M. K. Shin, H. Yi & J. Won. (2013).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4), 419-428. DOI : 10.7739/jkafn.2013.20.4.419 

  6. S. K. Cha & E. M. Lee. (2014). Comparison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students of other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650-658. DOI : 10.5977/jkasne.2014.20.4.650 

  7. H. Y. Jung.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DOI : 10.14400/JDC.2016.14.7.259 

  8. Y. H. Kim. (2011). Effects of depression, self esteem and ego identity on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4), 2003-2013. 

  9. K. H. Hwang & O. H. Cho. (2017, May).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on social isol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leep disorder on depression.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Conference. (pp. 175-175). Seoul :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0. Y. J. Son, E. Y. Choi & Y. A. Song.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4), 345-351. 

  11. S. J. Yu, M. R. Song & E. M. Kim.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71-80. DOI : 10.5977/jkasne.2014.20.1.71 

  12. Y. Luo, R. Meng, J. Li, B. Liu, X. Cao & W. Ge. (2019). Self-compassion may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a pathway through perceived stress. Public Health, 174, 1-10. DOI : 10.1016/j.puhe.2019.05.015 

  13. Y. S. Choi & M. A. Kim. (2019).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on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2), 210-222. DOI : 10.5392/JKCA.2019.19.02.210 

  14. Y. R. Yeom & K. B. Choi. (2013).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on nurs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04-113. DOI : 10.14370/jewnr.2013.19.2.104 

  15. E. H. Hwang, K. H. Kim & S. Shin. (2016). The effect of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suicidal ide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3), 239-248. DOI : 10.21097/ksw.2016.08.11.3.239 

  16. M. Y. Moon. (2018).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ego resilie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8), 161-170. DOI : 10.21742/AJMAHS.2018.08.90 

  17. H. S. Jo. (2006).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of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493-500. 

  18. H. J. Eom, M. H. Jin & Y. G. Kim. (2018).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omatization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suppression and physical attribution as mediating factors. Studies on Korean Youth, 29(4), 149-173. DOI : 10.14816/sky.2018.29.4.149 

  19. J. H. Park, H. Y. Jung, S. Y. Kim & S. Y. Lee (2008, June). Why do the depressed have more somatic symptoms than the non-depressed?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onference. (pp. 532-533). Seoul :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 E. Lee. (2015). Family stress, somatizati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3), 224-234. DOI : 10.5807/kjohn.2015.24.3.224 

  21. G. H. Kim & H. S. Yoon. (2013).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4), 320-329. DOI : 10.12934/jkpmhn.2013.22.4.320 

  22. M, H. Chin, H. A. Nam & S. H. Kim. (2015).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0(4), 129-138. 

  23. R. W. Baker & B. Siryk. (1989).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manual. Los Angeles :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4. Y. J. Lee (2000). The non-residenti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plan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S. H. Kang. (2010).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thin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3(1), 29-53. 

  26. E. A. Kim & K. S. Jang.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DOI : 10.5977/jkasne.2012.18.2.312 

  27. K. Kroenke, R. L. Spitzer & J. B. W. Williams. (2002).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Psychosomatic Medicine, 64(2), 258-266. 

  28. K. R. Shin, Y. Kang, D. Jung & K. A. Choi. (2007). A Study on the depression, somatic symptom,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omen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1131-1138. DOI: 10.4040/jkan.2007.37.7.1131 

  29. D. J. Buysse, C. F. Reynolds 3rd., T. H. Monk, S. R. Berman & D. J. Kupfer.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DOI: 10.1016/0165-1781(89)90047-4 

  30. J. H. Youn. (2004). A Study on IBS and stress perceived by college women and their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1. Y. A. Ham. (2018). The influence of time pressure and stress on college students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32.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 : 10.1177/014662167700100306 

  33. K. K. Chon, S. C. Choi & B. C. Yang.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34. H. J. Jung & M. J. Chae. (2018).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8), 403-417. DOI : 10.21742/AJMAHS.2018.08.15. 

  35. H. S. Cha. (2019). Influence on 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8), 381-391. DOI : 10.5762/KAIS.2019.20.8.381 

  36. J. Y. Park, C. H. Woo, J. H. Lee & J. M. Kim. (2018).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freshmen in nursing colleg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2), 127-136. DOI : 10.5977/jkasne.2018.24.2.127 

  37. M.F.P. Fernandez, A. M. Araujo, C. T. Vacas, L. S. Almeida & M.S.R. Gonzalez. (2017). Predictors of students' adjustment during transition to university in Spain. Psicothema, 29(1), 67-72. DOI : 10.7334/psicothema2016.40 

  38. J. H. Yi, E. Y. Jang & S. M. Lee. (2012). The predictors of adaptation to college among nursing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12-24. 

  39. E. J. Shim. (2016).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2), 663-689. DOI : 10.21509/KJYS.2016.12.23.12.663 

  40. J. R. Lim & S. Y. Kim. (2019).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stres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301-308. DOI: 10.15207/JKCS.2019.10.10.301 

  41. Y. H. Kim. (2015).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2), 8948-8956. DOI : 10.5762/KAIS.2015.16.12.8948 

  42. H. J. Jang & M. H. Mo. (2017). Effect of foot bath therapy on extremities edema and fatigue in practicum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8), 741-750. DOI : 10.14257/ajmahs.2017.08.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