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혼합연구설계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Using Mixed Methods Research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414 - 425  

이현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nd self efficac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 Methods: For this study,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 de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현장 및 지역사회 내 전체 간호 대상자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의료인으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혼합연구설계를 적용하였다. 도출된 주요 양적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결과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혼합연구설계를 적용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자기효능감, 학년, 규칙적 식사 여부 및 신체활동으로 확인되었으며, 건강관리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순차적 설명 혼합방법 설계(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를 적용한 연구이다. 순차적 설명 혼합방법 설계는 양적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보조적으로 수행한 후(QUAN→qual: quantitative followed by qualitative) 결과를 함께 비교·분석하는 연구방법이다[16].
  • 이에 본 연구자는 연구 현상에 대해 단일 방법으로 접근했을 때 보다 풍부한 결과 도출과 깊이 있는 해석이 가능한 혼합연구 방법[15]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양식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립을 위한 교육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란? 대학생 시기는 성장발달 과정에서 아동기와 성인기를 연결 하는 단계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시기이며[1], 이 시기에 올바른 생활습관이 확립되어야 성인기 이후에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2].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흡연, 음주, 불규칙한 수면,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무리한 체중조절 및 신체활동 부족 등 건강을 해치기 쉬운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3].
간호대학생들은 실제 자신을 위해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가? 간호대학생들은 타 전공 대학생들보다 건강과 관련된 전문 적인 지식과 기술을 깊이 있게 다루고 학습한다. 그러나 간호학과 교육과정 특성상 이론 강의와 임상 실습 등의 일정을 학기 내내 빈틈없이 소화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실제 자신을 위한 건강증진행위는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6]. 건강증진행위는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건강상태 달성을 목적으로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며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본요소이다[7].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노출된 위험요인은? 대학생 시기는 성장발달 과정에서 아동기와 성인기를 연결 하는 단계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시기이며[1], 이 시기에 올바른 생활습관이 확립되어야 성인기 이후에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2].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흡연, 음주, 불규칙한 수면,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무리한 체중조절 및 신체활동 부족 등 건강을 해치기 쉬운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3]. 그러므로 건강행위 수정 가능성이 큰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생활습관이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성인기뿐만 아니라 중년기, 노년기까지의 삶을 건강하게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RL, Loke AJ.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Kong. Public Health Nursing. 2005;22(3):209-220. https://doi.org/10.1111/j.0737-1209.2005.220304.x 

  2. Han JK. The mediational effect of the happiness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levels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20(3):735-751. 

  3. Chung YH, Seo NS, Moon SH.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1;12(2):29-42. 

  4. Baek HC, Lee SJ, Shin GS, Lim EJ. Effect of resistance b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2):310-319. https://doi.org/10.5932/JKPHN.2014.28.2.310 

  5. Tavolacci MP, Delay J, Grigioni S, Dechelotte P, Ladner J. Changes and specificities in health behaviors among healthcare students over an 8-year period. PLoS One. 2018;13(3): e0194188.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94188 

  6. Kim YH, Joung MS, Lee J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determina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2;16(2):285-303. 

  7.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ndford, Connecticut: Appleton and Lange; 1996. 320 p. 

  8. Yoo KH.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between college nursing students who live with parents and self-board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306-316.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306 

  9. Goldberg DP.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dsor, Berkshire: NFER-Nelson; 1978. 32 p. 

  10. Griffin KW, Friend R, Eitel P. Effects of environmental demands, stress, and mood health practices. Journal of Behavior Medicine. 1993;16(6):643-661. https://doi.org/10.1007/bf00844724 

  11. Ryu EJ, Kwon YM, Lee KS. A study on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1;18(1):49-60. 

  12. Pender NJ. Health promotion model. In: Alligood MR, Editor. Nursing theories and their works. St. Louis, Missouri: Elsevier Mosby; 2014. p. 396-416. 

  13. Lee JY, Song Y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7;19(6):3391-3402. 

  14. Lee CG, Lee HK, Park YS.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health behavior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7;18(1):49-65. 

  15. Son HM. Applica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18;3:391-339. 

  16. Morse JM, Niehaus L. Mixed method design: Principles and procedures. Kim M, Chung SE, Cha J, translator. California, Walnut Creek:Left Coast Press; 2009. 

  17. Tahara Y, Moji K, Aoyagi K, Tsunawake N, Muraki S, Mascie-Taylor CG. Age-related pattern of body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of Japanese men and women 18-59 years of age.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2002;14(6):743-752. https://doi.org/10.1002/ajhb.10091 

  18. Chang SJ. Stress. In: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editors. Standardization of health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Seoul: Gyechuk Munwhasa; 2000. p. 92-143. 

  19. Schwarzer R, Jerusalem M.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In: Marie J, Stephen CW, John W, editors.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 Windsor, Berkshire: NFER-Nelson; 1995. p. 35-37. 

  20.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21. Yun SN, Kim JH.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99;8(2):130-140. 

  22.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23.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985. 416 p. 

  24. Park HS, Ha JH, Lee HJ.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6;23(2):95-104 

  25. Chung HC, Chan KJ.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nutrients and body composi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ition. 2006;35(10):1378-1384. 

  26. Shin GN, Kim YR, Kim MH. Nutritional evaluation of convenience meals in convenience stores near the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7;22(5):375-386. https://doi.org/10.5720/kjcn.2017.22.5.375 

  27. Yoo KH, Cho KM.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wome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2):343-35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343 

  28. Park JY, Kim NH.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1):153-165.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53 

  29. Song YE, Kim CH.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levels and personal relationship following physical activity level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4;9(3):135-144. 

  30. Park MK, Lee ES.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stress respons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344-351. https://doi.org/10.4040/jkan.2004.34.2.3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