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상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of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437 - 448  

신경미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배영실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physical examination on blood pressure, blo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의 특성,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및 우울에 대한 변수들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이를 토대로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실질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특성,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우울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장 상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성별, 체질량지수, 우울 및 경력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둘째,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해석함에 있어 영향요인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어려웠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 상인의 건강 관련삶의 질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이에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전통시장 상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취약점을 인지하고 개선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삶의 질은 삶의 전반적인 경험이나 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감으로 정의되며, 개인이 얼마나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2]. 반면에 건강 관련 삶의 질은 건강 수준 또는 질병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삶의 질의 한 측면으로서[3] 개인에게 미치는 건강상태 정도가 개인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복합적인 개념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2].
만성질환의 증가와 평균 수명의 연장은 의료의 개념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만성질환의 증가와 평균 수명의 연장은 의료의 개념이 치료적 접근에서 예방적 접근으로 바뀌는데 영향을 미쳤고, 건강개념 또한 개인 스스로 만족할 만한 건강한 삶을 영위하여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이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1].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간단한 신체활동은 효과적이며 이를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Jee와 Kim [27]은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간단한 신체활동이라도 지속적으로 적용할 경우, 우울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전통시장 상인들의 우울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해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율동 등의 신체 움직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시장 내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환경적, 재정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지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전통시장 상인들의 신체활동 유도를 위해 전통시장 내 상인들이 자주 접하는 공간마다 적절한 운동기구 배치 등의 환경마련과 신체활동의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대책방안에 대한 논의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JI. The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urban worki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11):385-394.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385 

  2. Nam SK, Shim O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3:196-216. 

  3. Calvert MJ, Freemantle N.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Therapeutics. 2003;28(6):513-521. https://doi.org/10.1046/j.0269-4727.2003.00521.x 

  4. Zack MM, Moriaty DG, Stroup DF, Ford ES, Mokdad AH. Worsening trend in adul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 rated health-United States. Public Health Research. 2004;119(5):493-505. https://doi.org/10.1016/j.phr.2004.07.007 

  5. Chae MA, Kim JI, Choi KS, Han KH. Subjective health and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haenyo.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8;24(2):105-115. https://doi.org/10.4069/kjwhn.2018.24.2.105 

  6. Sohn SY.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99-107. 

  7. Kim SY, Sohn SY.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1-98. 

  8. Hwang WJ, Kim JA, Kim HG. Women's health status working at traditional marketplaces and their needs for public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1):44-54.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44 

  9. Kim HG, Lee RS, Hwang WJ. Intervention model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for women workers in traditional marketplaces: Using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5;24(4):381-391.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81 

  10. Kim JA, Park Jh, Hwang WJ.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treet dust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the human health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6;13(8):320. https://doi.org/10.3390%2Fijerph13080820 

  11. Hwang SH, Kwon OH, Jeon MS.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behaviors of merchants at traditional marke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0):237-245. 

  12. Lee KE, Cho EH.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Based o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5):399-40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399 

  13. Han MA, Ryu SY, Park J, Kang MG, Park JK, Kim K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8;41(3):173-180. https://doi.org/10.3961/jpmph.2008.41.3.173 

  14. Kim SH, Hwang JS, Kim TW, Hong YS, Jo MW.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Q-5D for cancer patients in Korea.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2;20(12):3155-3160. https://doi.org/10.1007/s00520-012-1457-0 

  15. Chung SS, Joung KH.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home-dwelling disabled persons by using EQ-5D: Results from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0;22(3):291-302. 

  16. Kim HG, Nam HK, Yi YS. A study on health behaviors by a risk level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etty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328-336.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328 

  17. Katon W, Ciechanowski P. Impact of major depression and chronic medical illness. Journal of Psychomatic Research. 2002;53:859-863. 

  18.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 [Internet]. Cheongju: 2017 [cited 2019 Feb 1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 

  19. Park MJ, Choi SE.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hea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nder analysis by using the 2012 Korea health panel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2):118-128.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2.118 

  20.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98. 567 p. 

  21. Spitzer RL, Kroenke K, Wiliams JBW.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rimary care study group.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282(18):1737-1744. https://doi.org/10.1001/jama.282.18.1737 

  22. Han CS, Ahnjo SM,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H, et al.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ehensive Psychiatry. 2008;49(2):218-223.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7.08.006 

  23. Goldberg DP. Manual of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dsor: NFER Publishing; 1978. 32 p. 

  24.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d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environmental medicin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25. Nam HS, Kim KY, Kwon SS, Koh KW, Poul K.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f method [Internet]. Seoul: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cited 2019 April 2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tro.html 

  26. Hwang SH, Yu MS, Jeon JY. Impact of central obesity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Sport Studies. 2018;57(4):375-386. https://doi.org/10.23949/kjpe.2018.07.57.4.26 

  27. Jee YJ, Kim KN. Physical activity of elderly people,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5):625-632.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5.77 

  28. Ward MJ, Lindemann CA.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health care variables. Hyattsville, Marryland, U.S: DHEW Publication; 1979. 78 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