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입소 경증치매노인의 통합 치매관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Effects of Integrated Dementia Managing Programm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Nursing Hom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550 - 559  

안명숙 (이룸병원) ,  조현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managing programm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which the physiological, cognitive, emotional, soci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have considered. Methods: This study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현장 실무자들이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그룹 단위의 인지 · 신체 · 정서 · 사회활동 프로그램과 개별적 영적상담의 통합 치매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경증치매 노인의 자기효능, 인지기능, 우울, 영적안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중재 과정을 설명하고 연구 중재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불이익 없으며 참여해야 할 의무는 없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에 동의한 경우에도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자의 참여로 동의하는 사람에 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그동안 경증치매노인에게 다루지 않았던 종교인과 일반인을 포함하는 개별적 접근의 영적 측면을 포함한 통합 치매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처치 종료 4주 후에도 자기효능, 인지기능, 우울, 영적안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함으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 사후 반복측정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증상은 무엇인가? 치매는 진행성 질환으로 점차적으로 인지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지남력과 기억력의 상실, 일상생활 수행능력 감소, 우울 등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3]. 치료의 원칙은 기억의 회복 및 현존하는 기능의 보완과 유지이며 [3], 치매의 관리는 약물치료와 함께 인지적 ․ 심리적 ․ 사회적 치료 같은 비 약물적인 접근이 있다[4].
인지기능 관련 프로그램에서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작용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대조군에서는 중재 전보다 종료 4주 후에 평균적으로 하향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증치매는 진행성 질환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그룹으로 시행한 다양한 인지적 접근이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인지적 자극이 되어 처치종료 4주 후에도 실험군의 인지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 키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증치매노인의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별히 경증치매노인의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경증치매 비율이 68%로 가장 높고[1], 정상 노인의 경우 1~2%가 치매로 진행되는데 비해 경도 인지장애 노인은 매년 10~15%가 치매로 진행되기 때문이다[1]. 경증치매노인에게 점차적으로 진행되는 인지기능의 저하는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4], 삶의 질은 우울정도가 낮고, 자기효능, 인지기능,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요소들이 노인의 삶의 질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7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in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June 1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Jung HY. 1 Million dementia patient in 2024 annual saving 5 billion by early treatment. Seoul News Paper. 2017 October 2;Sect.01. 

  3.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dical information on longitude cognitive disorder [Interne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6 [cited 2018 June 18].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70&mobile&cid 

  4. Dickson K, Lafortune L, Kavanngh J, Thomas J, Mays N, Erens B. Non-drug treatments for symptom in dementia: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challenging behaviors in patients with dementia[Internet]. Policy London: RIRU publication. 2012[cited 2018 June 18]. Available from: https://eppi.ioe.ac.uk/cms/Portals/0/PDF%20reviews%20and%20summaries/Dickson_R2012_Dementia%20treatments.pdf?ver2013-03-20-163715-197. 

  5. Jeon MS.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s enhancement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life's quality and stress for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6;6(1):505-523. 

  6. Ji HR, Choi SH, Cho MS, Ju RE. The effects of the continuous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4;6(2):216-227. 

  7. Lee YM, Park NH. The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disord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5):787-796. 

  8. Kim SH, Bae SY, Ryu KS. A research o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dia & Perform Ain Arts. 2017;12(3):9-26. https://doi.org/10.22534/broad.2017.12.3.9 

  9. Lee HJ, Hwang KY.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EEG for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4;53(2):213-230. 

  10. Park JW. Development and effects of christian cogni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school of church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ersity;2017. 147 p. 

  1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2. Gu MO, Eun Y, Kim ES, An HR, Kwon IS, Oh HS, et al.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in senior citizen h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125-13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125 

  13. Hwang ID, Park JS. Effects of the bibliotherapy on depression and social behavior and remark of dotard dementias old adul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0;41(4):383-402. 

  14. Ji E, Kim O. Effect of the laughter therapy combined with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1):34-45. https://doi.org/10.7475/kjan.2014.26.1.34 

  15. Roh KH. Effect of aroma leg massage on the depression and hope, stride length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4;6(2):163-169. 

  16.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2):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7. Oh H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3;23(4):617-630. https://doi.org/10.4040/jnas.1993.23.4.617 

  18.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198.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19. Kwon YC, Park JH.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1):125-135. 

  20. Yesavage JA, Sheikh JI.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iolence.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1. Kee BS, Lee CW.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5;34(6):1875-1885. 

  22.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GDSSF-K).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1996;131(2):298-307. 

  23.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lman D, editor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2 p. 224-236. 

  24. Choi SS.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1. 335 p. 

  25. Kang JH. A study on the spiritual status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6. 67 p.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Measuring quality of lif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cited 2018 June 1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mental_health/media/68.pdf 

  27.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2000;39(3):571-579. 

  28. Aimee S, Lene T, Bob W, Lindsay R, Steve D, Margaret B, et al. Efficacy of an evidence-bas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programme for people with dementi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3;183(3):248-254. https://doi.org/10.1192/bjp.183.3.248 

  29. Yoon HS, Lee EK, Lee JE, Yoon JY, Kim ES, Jang EJ, et al. Effectiveness of integrated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bodymind-spirit program.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0;48(1):345-373 

  30. Isaia D, Parker V, Murrow E. Spiritu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9;25(8):15-21. https://doi.org/10.3928/0098-9134-19990801-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