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STM을 이용한 표면 근전도 분석을 통한 서로 다른 손가락 움직임 분류 정확도 향상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Different Finger Movements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Based on Long Short-Term Memory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40 no.6, 2019년, pp.242 - 249  

신재영 (원광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성욱 (금오공과대학교 메디컬IT융합공학과) ,  이윤성 (금오공과대학교 메디컬IT융합공학과) ,  이형탁 (금오공과대학교 메디컬IT융합공학과) ,  황한정 (금오공과대학교 메디컬IT융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arm electromyography (EMG) generated by wrist movements has been widely used to develop an electrical prosthetic hand, but EMG generated by finger movements has been rarely used even though 20% of amputees lose finger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diff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팔뚝 근전도를 사용하는 연구 대비 상대적으로 연구 수행이 미비한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유도되는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손가락 움직임을 높은 정확도로 분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손가락 일부를 잃어버린 환자들을 위한 고성능 손가락 기반전자 의수를 개발하는 것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10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가하여 서로 다른 7가지 손가락 움직임을 반복 수행하였으며, 이 때 손등에서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유도되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 신호 처리에 활용 되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무엇이 제안되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순환 신경망 외에도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제한 볼츠만 머신(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신경망 (Deep Belief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등의 다양한 딥러닝 알고리즘이 제안되고, 생체 신호 처리에 활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 신호 처리 연구에 많이 사용 되어온 순환 신경망 중 하나인 LSTM을 사용하였지만[15-17],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적용 데이터에 크게 의존적이므로 타 딥러닝 모델 적용을 통한 손가락 움직임 분류 성능 향상의 여지가 남아 있다.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신호란 무엇인가?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신호는 근육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이며, 신경근(neuromuscular)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근육 질환 진단 및 재활 분야에 폭 넓게 활용이 되고 있다. 특히, 팔이나 손의 일부를 잃어버린 사람들의 해당 기능을 복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자 의수 개발을 위한 입력 신호로 근전도 신호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1-3].
전자 의수에서 팔뚝의 근전도 신호를 가장 많이 쓰는 이유는? 대부분의 근전도 기반 전자 의수 개발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손목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되는 팔뚝의 근전도 신호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움직임을 패턴인식 기법으로 분류 및 역추정 하여 전자 의수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생성하게 된다. 팔뚝에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매년 발생하는 상지 절단 환자(upper-limb amputee) 중 약 80%가 팔꿈치와 손목 사이(팔뚝 일부)의 절단이기 때문이다(미국 기준[4]). 하지만, 상지 절단 환자 중 약 20%가 손가락의 일부를 손실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전자 의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황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ichielli N, Acharya UR, Molinari F. Cascaded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 for automated sleep stage classification using single-channel EEG signals. Comput Biol Med. 2019;106:71-81. 

  2. Alhagry S, Fahmy AA, El-Khoribi RA.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EEG using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 Emotion. 2017;8:355-8. 

  3. Davidson PR, Jones RD, Peiris MT. EEG-based lapse detection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IEEE Trans Biomed Eng. 2007;54:832-9. 

  4. Hwang HJ, Hahne JM, and Muller KR. Channel selection for simultaneous and proportional myoelectric prosthesis control of multiple degrees-of-freedom. J Neural Eng. 2014;11:056008. 

  5. Hahne JM, Dahne S, Hwang HJ, Muller KR, Parra LC. Concurrent adaptation of human and machine improves simultaneous and proportional myoelectric control.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15;23:618-27. 

  6. Vidovic MM, Hwang HJ, Amsuss S, Hahne JM, Farina D, Muller KR. Improving the robustness of myoelectric pattern recognition for upper limb prostheses by covariate shift adaptation.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16;24:961-70. 

  7. Adewuyi AA, Hargrove LJ, Kuiken TA. An analy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hand muscle EMG for improved pattern recognition control.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16;24;485-94. 

  8. Englehart K, Hudgins B. A robust, real-time control scheme for multifunction myoelectric control. IEEE Trans Biomed Eng. 2003;50:848-54. 

  9. Huang Y, Englehart KB, Hudgins B, Chan AD. A Gaussian mixture model ba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myoelectric control of powered upper limb prostheses. IEEE Trans Biomed Eng. 2005;52:1801-11. 

  10. Chan AD, Englehart KB. Continuous myoelectric control for powered prostheses using hidden Markov models. IEEE Trans Biomed Eng. 2004;52:121-4. 

  11. Ajiboye AB and Weir RF. A heuristic fuzzy logic approach to EMG pattern recognition for multifunctional prosthesis control.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05;13:280-91. 

  12. Sebelius FC, Rosen BN, Lundborg GN. Refined myoelectric control in below-elbow ampute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a data glove. J Hand Surg. 2005;30:780-9. 

  13. Li G, Schultz AE, Kuiken TA. Quantifying pattern recognition-based myoelectric control of multifunctional transradial prostheses.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10;18:185-92. 

  14. Hahne JM, Graimann B, Muller KR, "Spatial filtering for robust myoelectric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2019;59:1436-43. 

  15. Kira K, Rendell LA. The feature selection problem: traditional methods and a new algorithm. Proceedings of the Tenth 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1992:129-34. 

  16. Kira K, Rendell LA. A practical approach to feature selection. in Machine Learning Proceedings 1992 ed. Elsevier; 1992, pp. 249-256. 

  17. Kononenko I, Simec E, Robnik-Sikonja M. Overcoming the myopia of inductive learning algorithms with Relieff. Appl Intell. 1997;7:39-55. 

  18. Castellini C, Fiorlla AE, Sandini G. Multi-subject/daily-life activity EMG-based control of mechanical hands. J Neuro-Eng Rehabil. 2009:article number: 41. 

  19. Gibson AE, Ison MR, Artemiadis P. User-independent hand motion classification with electromyography. 2013 Dynamic Systems and Control Conference. 2013. 

  20. Matsubara T, Morimoto J. Bilinear modeling of emg signals to extract user-independent features for multiuser myoelectric interface. IEEE Trans Biomed Eng. 2013;60:2205-13. 

  21. Park KH, Lee SW. Movement intention decoding based on deep learning for multiuser myoelectric interfaces. 2016 4th International Winter Conference on Brain-Computer Interface. 2016;22-4. 

  22. Khushaba. correlation analysis of electromyogram signals for multiuser myoelectric interfaces.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2014;22:74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