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in Emergency Nurse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6 no.3, 2019년, pp.300 - 308  

김희준 (아주대병원) ,  이영진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유문숙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unit.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07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instrumen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공감피로 및 직무 열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에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관계를 규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 정도 및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응급실 환경의 특수성을 인정하여 간호사들의 공감피로를 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도록 돕는 것은 응급환자 간호의 질과 효율적인 인력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가 겪는 언어폭력의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수준을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의 근무여건을 개선시키는 환경조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내 폭력의 주요 요인은? 최근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폭력사건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1]. 응급실 내 폭력의 주요 요인으로는 응급실 체계에 대한 이해 부족, 내원자가 인식하는 응급치료의 지연, 응급실 내원자의 불안정한 상태와 정서적 불안감 등이 보고된다[1]. 이러한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70% 이상은 한번 이상의 폭력을 경험하고 있다[2].
응급상황 속에서 동료 의료진과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어떠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또한 언 어폭력을 가한 행위자는 응급환자뿐 아니라 의사, 동료 간호사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49%가 지난 3개월 동안 동료 간호사로부터 한번 이상의 언어폭력을 경험하였고, 5%의 신규 간호사는 심각한 수준의 언어폭력을 경험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4]. 이는 응급상황 속에서 동료 의료진과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적절한 언어 사용이나 일방적인 명령, 공격적인 의사표현 등이 언어적 폭력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신규간호사와 선임 간호사간에도 언어폭력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어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언어폭력만큼이나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5].
응급실 간호사가 다양한 환자와 의료진과의 소통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또한 응 급실 간호사는 다양한 환자와 의료진과의 소통과정에서 언어 폭력뿐 아니라 또 다른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다시 말해 심각한 신체적 손상이나 사고 상태의 환자를 직접 보고 처치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두려움과 고통이 감정 이입되어 심리적 충격을 경험하기도 한다[21]. 또한 급박한 임상현장에서 발생하는 의료진들 간의 마찰과 거친 의사소통 과정 속에서 심리적인 소진현상들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21]. 이러한 심리적 고통을 공감피로라고 하며, 간호사, 교사, 사회 복지사, 상담원처럼 대상자의 감정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기회가 많은 사람에게 다빈도로 보고되는 현상을 의미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MH, Park SB. Service design for the prevention of ER violence: based on the ER case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16;17(3):29-44. 

  2. Crilly J, Chaboyer W, Creedy D. Violence towards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y patient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4;12(2):67-73. https://doi.org/10.1016/j.aaen.2003.11.003 

  3. Yang JH, Jung HY.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1):103-111. 

  4. Budin WC, Brewer CS, Chao YY, Kovner C. Verbal abuse from nurse colleagues and work environment of early career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3;45(3):308-316. https://doi.org/10.1111/jnu.12033 

  5. Partridge B, Affleck J. Verbal abuse and physical assaul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rates of violence, perceptions of safety, and attitudes towards security.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7;20(3):139-145. https://doi.org/10.1016/j.aenj.2017.05.001 

  6. Kisa S. Turkish nurses' experiences of verbal abuse at work.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08;14(4):200-207. https://doi.org/10.1016/j.apnu.2007.06.013 

  7. Kim HJ. The relationship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 [master's thesis]. Seoul: Kunkuk University; 2011. 

  8. Paek JH, Hwang SY. A level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relation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5;31(1):380-396. 

  9. Moon IO, Park SK, Jung JM.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525-535.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25 

  10. Nam KD, Yoon KS, Chung HS, Park SA, Jang BY, Sung YH. Verbal abuse of operating nurses by physicians and oth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343-354. 

  11. Yoo MO. Influences of verbal abuse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master' thesis]. Choongju: Choongju University; 2012. 

  12. Figley B, Charles R.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C. R. Figley (Ed.),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pp. 1-20). New York, NY: Brunner-Mazel. 1995. 

  13. Stamm, B. The concise ProQOL manual. Retrieved from: http://proqol.org. 2010. 

  14. Schaufeli, WB, Bakker, AB.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version 1. preliminary manual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unit. Utrecht: Utrecht University; 2003. 

  15. Yi R, Kim WS, Shin KH. The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with burnout and engagement: call center employees case.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19(4):573-596. 

  16. Heo JH, Lee SK. Effects of verbal abuse experi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s of hospit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8;29(3):665-678. https://doi.org/10.7465/jkdi.2018.29.3.665 

  17. Park EK, Na YK.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damages and self-esteem of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5;9(4):266-274. https://doi.org/10.20297/jsci.2015.9.4.266 

  18. Kwon HJ, Kim HS, Choe KS, Lee KS, Sung YH.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46(1):34-3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04.x 

  19. Sung MH.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83-92. 

  20. Lee HJ, Min HS.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mpassion fatigue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21(3):236-245. https://doi.org/10.5953/JMJH.2014.21.3.236 

  21. Lee GS.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 thesis]. Gyeonggi: Ajou University; 2016. 

  22. Kim HJ, Yom Y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CS-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259-269. http://doi.org/10.4040/jkan.2014.44.3.259 

  23. Shin SH, Jang KS.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strategy on job burnout and engagement in psychiatric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6;42(4):33-43. 

  24. Shin S, Yu M. A model for predicting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experiencing ro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4):551-561.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51 

  25. Ha SM, Moon JS.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 engagement: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2013;16(1):75-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