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2 no.3, 2019년, pp.175 - 183  

김효정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1,480 subjects who completed the 2018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로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청소년 21,48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 관련 요인을 확인하여 이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은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 자료수집은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방법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학교에서 1인당 1대의 컴퓨터를 배정하고 무작위로 자리를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는 알레르기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자료를 질병관리본부의 원시자료 공개 및 관리규정에 따라 제공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 받은 청소년의 수면 만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불만족 오즈비와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불만족 오즈비를 알아보았다.
  • 학년이 올라갈수록 객관적인 수면환경은 나빠질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은 차치하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수면만족감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민국 청소년이라는 모집단을 반영한 표본인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수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중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객관적인 수면환경은 나빠질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은 차치하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수면만족감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민국 청소년이라는 모집단을 반영한 표본인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알레르기 비염 관련 요인을 살펴보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대기오염 물질 농도와 꽃가루의 농도, 극단적인 날씨의 빈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알레르기 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4]. 또한 가정 내부 환경요인도 관련이 있는데 형제가 많으면 미생물 노출의 다양성은 증가하고 알레르기 질환 발생이 줄어든다[5].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원에 노출된 후 면역글로불린E (IgE)에 의해 매개되어 코 점막에 염증반응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증상은 재채기, 코막힘, 콧물이다[1].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국제 아동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 역학조사(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Childhood, ISAAC)에 따르면 1995년 1차 조사에 비하여 2005년 3차 조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3.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서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조절되지 않은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아동이더 많은 수면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한 결과와 유사하였다[14].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경우 수면 중 코막힘 등의 증상으로 수면불만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 질 관리가 특별히 더 요구됨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usquet J, Cauwenberge PV, Khaltaev N.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1;108(Suppl.5):S147-S334. https://doi.org/10.1067/mai.2001.118891 

  2. Asher MI, Montefort S, Bjorksten B, Lai CKW, Strachan DP, Weiland SK, et al. Worldwide tim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childhood: ISAAC phases one and three repeat cross-sectional surveys. Lancet. 2006;368(9537):733-743. https://doi.org/10.1016/S0140-6736(06)69283-0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tistics of the 14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1st ed.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p. 391. 

  4. Hong SY, Son DK, Kwon HJ. Climate change and allergic disease. Allergy Asthma and Respiratory Disease. 2010;20(3):151-158. 

  5. Jun MH, Kwon JW, Kim YJ. A study on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nd hom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5):2497-2509. 

  6. Lee YC, Kim SY, Shin SY, Kim YH, Ban GH, Jo JS. Impact of symptomatic allergic rhinitis on atten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behavior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8;51(2):141-147. 

  7. Chung YS. Allergic rhinitis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30(4):271-274. 

  8. Song MS, Seo YS. Effects of aromatherapy on blood pressure, pulse, fatigue, and sleep for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0;12(1):16-23. 

  9. Leager D, Annesi-Maesano I, Carat F, Rugina M, Chanal I, Prisbil C,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consequences on quality of sleep.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6;166:1744-1748. https://doi.org/10.1001/archinte.166.16.1744 

  10. Kim MJ. The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8;13(4):275-284. 

  11. Yoon JM, Lee HR, Lee KH.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007;15(2):185-191. 

  12. Lee BI.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5;15(1):16-23. https://doi.org/10.15384/kjhp.2015.15.1.16 

  13. Chae MO.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mong Korean adolescent by gen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6):343-355. https://doi.org/10.5762/KAIS.2017.18.6.343 

  14. Koinis-Mitchell D, Kopel SJ, Boergers J, Ramos K, LeBourgeois M, Mcquaid E, et al.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sleep problems in urban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15;15(11):101-110. https://doi.org/10.5664/jcsm.4450 

  15. Kirkcaldy B, Partonen T. Determinants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gender differences, coping and health outcom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2011;4(2):213-223. 

  16. Song HS, Park YM, Nam M, Kim L. Sleep patter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0;7(1):51-59. 

  17. Lee IS, Kim KJ, Yang NY. Influencing factors on sleep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9;26(1):27-35.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1.27 

  18. Lee JS, Kim GT, Jo YW. Sleep and academic performance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19;37(3):262-268. https://doi.org/10.17340/jkna.2019.3.3 

  19. Zapaca Robler MI, Grzywacz JG. Demographic and parencing correlates of adolescent sleep functioni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5;24(11):3331-3340. https://doi.org/10.1007/s10826-015-0135-5 

  20. An HY, An JH, Kim YS, Kwon SH.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the mood state and sleep: analysis using data from wearable devic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8;57(6):87-99. https://doi.org/10.23949/kjpe2018.11.57.6.7 

  21. Oh KH, Kim JS, Yoo YC. The effect of moderate exercise on TH cytokines and I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ype 1 allergic symptoms and depressive tendency. Exercise Science. 2013;22(4):329-341. https://doi.org/10.15857/ksep.2013.22.4.329 

  22. Kim SH, Lee JW. Analyzing longitudinal effect of school-living and study-time on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hang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16;24:289-297. 

  23. Park MJ, Jung MY.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2018;16(9):187-195. https://doi.org/10.14400/JDC.2018.16.9.187 

  24. Bae SH, Kim HS, Kang SG.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leep disturbanc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8;25(2):45-50. https://doi.org/10.14401/KASMED.2018.25.2.45 

  25. Mak KK, Ho SY, Thomas GN, Lo WS, Cheuk DK, Lai YK, et al. Smoking and sleep disorders in Chinese adolescents. Sleep Medicne. 2010;11:268-273. https://doi.org/10.1016/j.sleep.2009.07.017 

  26. Kang SG, Yoon HK, Ham BJ, Choi YK, Kim SH, Jo SH, et al. Effects of minor stressful events on sleep in college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2;9(1):48-55. 

  27. Jang YS. Stress and allerg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6;14(4):293-297. 

  28. Seo JY, Lee DY, Lee CS, Park CS, Kim BJ, Cha BS, et al.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t with allergic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15;21(3):167-173. 

  29. Song YLA, Nam EW.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s on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26(3):1-13. http://uci.or.kr/G704-000885.2009.26.3.010 

  30. Lee EJ, Lee SJ, Kim CG. Korean adolescents'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MI (Body Mass Index) and body shape perception-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3):227-232. https://doi.org/10.14400/JDPM.2012.10.3.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