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 청소년의 정신건강: 2020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 조사 활용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Using Data from the 2020 Korean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tudy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1, 2022년, pp.87 - 96  

박초희 (건양대학교 글로벌의료뷰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청소년들의 실태와 정신건강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 하고자 한다. 질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제16차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빅데이터를 이차분석 하였으며,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를 사용하고 연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37.1%가 스트레스 인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감 경험률이 27.6%, 자살 생각률이 12.5% 처럼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 및 자살생각의 가능성이 알레르기성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로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라 정신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정신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 및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예방과 연구에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and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isease management. As for the research method, big data of the 16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were analyzed secondary, and x2-t...

주제어

참고문헌 (18)

  1. H. S. Lee, S. C. Hong, S. Y. Kim, J. W. Kim, G. H. Lee & J. C. Lee. (2012).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nd risk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gwipo, Jeju Island. Volume 38, No. 1 of the Korean Health Research Institute.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the first year of the 13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17. https://www.kdca.go.kr/yhs/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Allergic disease prevalence survey, 2011.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20400 

  4. Bennett, S., Shafran, R., Coughtrey, A., Walker, S. & Heyman, I. (2015).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mental health disorders in children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 systematicreview.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00(4), 308-316. DOI: 10.1136/archdischild-2014-307474 

  5. Pinquart, M. & Shen, Y. (2011).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and adolescents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n updated meta-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6(4), 375-384. DOI: 10.1093/jpepsy/jsq104 

  6. Hysing, M., Elgen, I., Gillberg, C., Lie, S. A. & Lundervold, A. J. (2007). Chronic physical illn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ren. Results from a large-scale population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8, 785-792. 

  7. Van Lieshout, R. J. & Macqueen, G. M. (2012). Relations between asthma and psychological distress: An old idea revisited. Chemical Immunology and Allergy, 98, 1-13. DOI: 10.1159/000336493 

  8. Zashikhina, A. & Hagglof, B. (2007).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versus controls in Northern Russia. Acta Paediatrica, 96(6), 890-896. DOI: 10.1111/j.1651-2227.2007.00277. 

  9. Lien, L., Green, K., Thoresen, M. & Bjertness, E. (2010). Atopic conditions and mental health problems: A 3-year follow-up study.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 705-713. DOI: 10.1007/s00787-010-0106-8 

  10. B. R. Lee. (2018).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ime-Use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Korean J. Child Stud, 39(4), 39-53. DOI: 10.5723/kjcs.2018.39.4.39 

  11. Y. C. Lee, S. Y. Kim, S. Y. Shin, Y. H. Kim, K. H. Ban & J. S. Jo. (2008). Impact of Symptomatic Allergic Rhinitis on Atten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Behavior in Childre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51(2), 141-147. DOI: 10.3342/kjorl-hns. 2008.51.2.141 

  12. Fergusson, D. M. & Woodward, L. J. (2002). Mental health, educational, and social role outcome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on. Arch General Psychiatry, 59, 225-231. 

  13.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https://www.kdca.go.kr/yhs/ 

  14. J. H. Kim. (2015).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Utilization of the 2014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Health Association, 28(2), 79-88. DOI: 10.15434/kssh.2015.28.2.79 

  15. E. J. Choi. (2013). Service system development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 61-70. 

  16. S. H. Suh. (2010).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Korean children, 2010. Public Health Wkly Rep, 4, 425-431. 

  17. H. J. Lee. (2016). Factors influencing allergic diseases in Korean adolescents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Chung-Ang University -. Based on the 5th data of doctoral thesis. 

  18. Suris, J. C., Michaud, P. A., Akre, C. & Sawyer, S. M. (2008). Health risk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chronic conditions. Pediatrics, 122(5), e1113-e11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