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야산 포천계곡의 생태관광자원 활용을 위한 식생구조 분석과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Methodology for Ecotourism Resources of Pocheon Valley, Mt. Gay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6, 2019년, pp.695 - 707  

이성제 (국립생태원) ,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시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야산 포천 계곡의 생태관광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현존 환경요인과 군집유형의 관계를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가야산 포천 계곡에서 다음과 같은 5개 유형의 군집이 조사되었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밤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다시 조사지에 따라 2가지의 하위군락으로 나타났다. 조사지 식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자원 활용과 건전한 자연식생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식생관리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나타난 식물군집의 교목층에 대한 인위적인 관리는 철저히 배제하여 현존식생을 유지하도록 하며, 금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목층에서 생육하는 교목성 수종이 아교목층 이상으로 성장하였을 때, 숲 관리 등의 인위적 관리를 실시하여 기존 식생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다. 연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층 이하 층위에서 특정 종의 우점을 배제하고 다양한 식물종이 우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vegetation management methodology by analyzing phytosociology for ecotourism resources. We carried out the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야산 포천계곡 중 관광자원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포천계곡의 구곡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향후 생태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가치와 자연식생의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 1994)과 같은 군집 단위에 관련해 정리한 부재하여 새로운 산림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한국과 유사한 식생구조를 지닌 일본의 자료를 활용하여 관련 수종을 제시하게 되었다. 향후 국내 종합 식생 구조 체계가 성립된다면 관리 수종이 바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천계곡은 어떤 곳인가? 경상북도 성주의 “성주 8경” 중 4경에 해당하는 포천계곡은 가야산 일대에 흐르는 대표적인 계곡으로 물이 맑고 경관이 뛰어난 장소이며 옛 선비들이 학문을 닦았던 대표적인 장소로 알려져 있다(Seongju-Gun, 2018). 특히 경관이 수려한 주요 9개의 지점을 중심으로 포천구곡이라 한다.
가야산 포천 계곡에서 발견된 5개 유형의 군집은 무엇인가? 조사결과, 가야산 포천 계곡에서 다음과 같은 5개 유형의 군집이 조사되었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밤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다시 조사지에 따라 2가지의 하위군락으로 나타났다.
포천계곡에서 포천구곡은 무엇인가? 경상북도 성주의 “성주 8경” 중 4경에 해당하는 포천계곡은 가야산 일대에 흐르는 대표적인 계곡으로 물이 맑고 경관이 뛰어난 장소이며 옛 선비들이 학문을 닦았던 대표적인 장소로 알려져 있다(Seongju-Gun, 2018). 특히 경관이 수려한 주요 9개의 지점을 중심으로 포천구곡이라 한다. 이는 경북 성주군 가천면 일대에 흐르는 포천계곡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문신이 었던 응와(凝窩) 이원조 선생이 9개의 경관미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1~9곡을 설정하고 관리해온 것에서부터 유래한다(Han and Je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Y.H.(2011) Ecology for Landscape Architecture. Taerim publishing co, Seoul, pp. 219-222. (in Korean) 

  2. Ahn, Y.H., S.J. Lee, G.M. Shin and E.J. Park(2007) The vegetation and flora of village groves in Paengseong-eup, Pyongtaek city, Kyonggi-do,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1(6): 515-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J.H.(2006) The official life of Yi WonJo, Eungwa and way to improve Samjeong system. Toegye Studies and Korean Culture 39: 119-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Menlo Park, CA. 

  5.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3rd ed.). Springer, New York, 865pp. 

  6. Chun, Y.M., H.J. Lee and I. Hayashi(2007)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 forests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1(3): 257-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an, H.H. and Y.G. Jeon(2012) A practical application based on storytelling: A case of Pocheon-Gugok in Seongju county. J. Photo Geography 22(4):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n, S.H.(2012)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and storytelling in Gugok. Ph.D.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9. Hukushima, K.(2006) Vegetation management. Asakura Shoten Press, Tokyo, 73pp. (in Japanese) 

  10. Jan, L. and P. Smilauer(2003)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using CANOCO. Cambridge U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11. Jeong, M.H.(1991) Vegetation of Mt. Kaya. MS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12. Joe, J.C.(1987) Study of Conservation of pine grove in natural park-A case study of Hongryu-Dong valley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MS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13. Kang, G.Y.(2006) Eungwa Lee Won Joe's life and the several aspects of his poetic world. Toegye Studies and Korean Culture 39: 95-118. (in Korean) 

  14. Kang, J.S. and M.K. Kim(2008) Gugok culture of Kyeongbuk I. Kyungpook National Univ. Press, Daegu. (in Korean) 

  15. Kee, K.D.(2008)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J. Kor. Geomorpho. A. 15(2): 95-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ee, K.D.(2012)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Korea. J. Kor. Geo. Inf. Sci. 19(3): 123-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ent, M. and P. Coker(200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John Wiley & Sons Ltd, England. 

  18. Kim, J.S.(1990)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J. of Basic Sci. 1: 209-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Y.S., G.T. Kim and J.S. Woo(1989) A study on the vegetation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J. Korean Applied Ecology 3(1): 16-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3-173. (in Japanese) 

  21. Korea Forest Service(2013)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2.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13) http://www.knps.or.kr/. 

  23. Lee, C.S., G.S. Lee, H.B. Lee, Y.H. You, G.D. Kim, J.H. Park, S.H. Jeong, J.G. Kim, Y.C. Jeo, H.T. Moon and T.C. You(2013) Restoration ecology-Hitech field of ecologych-. Life Science Press, Seoul. (in Korean) 

  24. Lee, H.J., D.W. Byun, W.S. Kim, J.S. Lee and C.H. Kim(199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Korean. J. Ecol. 16(3): 287-3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S.J., K. Ohno, and Y.H. Ahn(2011) Study o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shrine forest of Miwhang-sa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4): 540-5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W.C. and C.H. Lee(1989)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Korean. J. Ecol. 12: 257-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Miyawaki A. and S.T. Okuda(1990) Illustration of Plant community in Japan. Shibundo, Tokyo, pp. 620-645. (in Japanese) 

  28. Miyawaki A., S.T. Okuda and R.O. Fujiwara(1994) Handbook of vegetation in Japan. Shibundo, Tokyo, 100pp. (in Japanese) 

  29. Oh, K.K., T.H. Kwon and M.Y. Yang(1989)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J. Korean Applied Ecology 3(1) : 5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K.W., Y.H. Kwon, K. Choi, S.H. Oh, D.K. Kim and J.H. Kim (2005) Review paper: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Especially on the Danji bong area-. Kor. J. Env. Bio. 23(1): 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Rho, J.H.(2008) A study on the Topo Aesthetics and giomorphometrical characteristics of Wuyi Gugok in China: Focus on comparison with Gu gok in Korea. J. Kor. Insti. of Tradi. Landsca. Archi. 26(4):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eongju-Gun(2018) http://www.sj.go.kr 

  33. Song, J.S., D.G. Sin, J.S. Lee, H.K. Kim and G.H. Eom(2009)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Boryeonsan, Chungcheongbuk province. Korean. J. Environ. Ecol. 23(1): 66-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pecies Korea(2013) http://www.nibr.go.kr/species/ 

  35. Van der Maarel, E.(1979) Transformation of cover 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14. 

  36.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r.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37. Yim, Y.J.(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r.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38. Yim, Y.J.(1977) Ibid.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269-278. 

  39. You, J.H., S.K. Jeon and J.W. Seol(2013)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6(1): 109-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