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유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1, 2014년, pp.35 - 47  

이태경 (경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8, 2011 to January 31, 2012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urses who had worked on wards or in the ICU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analyz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수요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요인은?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1989년 의료보험이 전 국민에게 적용되어 의료 수요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의료기관을 이용 하는 환자나 가족들은 외래진료를 받거나 입원을 해야 하는 경우 소비자의 권리 의식에 따라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받기를 원하고(Kim, 2009), 안전한 처치를 받는 것은 환자의 권리라고 할 수 있다(Noh, 2009).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우리나라 일반적인 분위기는 어떤가? 환자안전은 의료서비스 제공에 포함되는 공통적으로 가져야할 원칙이며, 병원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먼저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Jeong, Seo, & Nam 2006). 병원에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보고는 일반적으로 환자 안전사고 보고 체계를 통하여 보고되어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사건보고를 곧 사고보고라고 생각하여 의료기관과 의사,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종사자의 오류에 대한 공개적 논의를 꺼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일반적이다(Kim, Song, Lee, & Hur, 2006).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환자안전에 대한 이슈가 중요해지고 병원인증평가 항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들의 안전을 개선하고 의료사고의 예방과 철저한 추후 관리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Joint Commission Resources, 2013) 하겠다.
환자안전이란? 환자안전은 의료서비스 제공에 포함되는 공통적으로 가져야할 원칙이며, 병원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먼저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Jeong, Seo, & Nam 2006). 병원에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보고는 일반적으로 환자 안전사고 보고 체계를 통하여 보고되어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사건보고를 곧 사고보고라고 생각하여 의료기관과 의사,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종사자의 오류에 대한 공개적 논의를 꺼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일반적이다(Kim, Song, Lee, & Hur,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 NY: Oxford University Press. 

  2. Elder, N. C., Brungs, S. M., Nagy, M., Kudel, I., & Render, M. L. (2008). Nurses' perceptions of erro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tient Safety, 4, 162-168.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1839b48 

  3. Elder, N. C., Graham, D., Brandt, E., & Hickner, J. (2007). Barriers and motivators for making error reports from family medicine offices: A report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National Research Network (AAFP NRN).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20 , 115-123. http://dx.doi.org/10.3122/jabfm.2007.02.060081 

  4. Fontan, J. E., Maneglier, V., Nguyen, V. X., Loirat, C., & Brion, F. (2003).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 Computerized unit dose drug dispensing system versus ward stock distribution system. Pharmacy World and Science, 25, 112-117. http://dx.doi.org/10.1023/A:1024053514359 

  5. Jeong, J., Seo, Y. J., & Nam, E. W.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 91-109. 

  6. The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13). Joint Commission Standard page: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 Retrieved October 10,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tandards_infor mation/npsgs.aspx 

  7. Kim, C. C., & Suh, M. J.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 , 210-228. 

  8. Kim, E. K., Kang, M., & Kim, H. J. (2007).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321-334. 

  9. Kim, H. Y., & Kim, H. S.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413-422. 

  10. Kim, J. E., Kang, M. S.,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 169-179. 

  11. Kim, K. K., Song, M. S., Lee, K. S., & Hur, H. K. (2006). Study on factors affecting nurses' experience of non-reporting inci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2, 454-463. 

  12. Kim, K. J. (2013). Development of website-based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152-167. 

  13. Kim, M. S. (2012). Perce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for patient safety among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dustrial Technology, Ulsan, Korea. 

  14. Kim, Y. L. (2009).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5. Knaack, P. (1985). Phenomenological Research.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6, 107-114. http://dx.doi.org/10.1177/ 019394598400600108 

  16. Lee, E. K., Jung, C. H., & Jeon, H. J. (2010). Experiences of nurses in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1, 94-105. 

  17.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 London: Sage. 

  18. Mahajan, R. P. (2010). Critical incident reporting and learning. British Journal of Anesthesia, 105 (1), 69-75. 

  19. Mayo, A. M., & Duncan, D. (2004). Nurse perceptions of medical error: What we need to know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9, 209-217. 

  20. Noh, Y. N. (2008).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1. Nieva, V. F., & Sorra, J.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s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2 (Suppl 2), 17-23.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22. Oh, C. H., & Yoon, H. S. (2007).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6-17. 

  23. Park, B. K. (2001).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and nursing mission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4. Quality Improvement Nurse Society. (2010).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to learn QI activities. Seoul: INNOMAX. 

  25. Santell, J. P., Hicks, R. W., McMeekin, J., & Cousins, D. D. (2003). Medication errors: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MEDMARX Reporting System.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3, 760-767. http://dx.doi.org/10.1177/0091270003254831 

  26. Schelbred, A., & Nord, R. (2007). Nurses' experiences of drug administration err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 317-32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37.x 

  27. Webster, C. S., & Anderson, D. J. (2002). A practical guide to the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incident reporting scheme to reduce medication error on the hospital ward.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 176-183.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2.00368.x 

  28. Wu, A. W. (2000). Medical error: The second victim. British Medical Journal, 320, 726-727. http://dx.doi.org/10.1136/bmj.320.7237.726 

  29. Yoon, N. Y., & Lee, J. E. (2012). Influences of nurses'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in general hospital.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4 (1), 60-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