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디지털유방촬영장치의 FFDM과 DBT의 선량과 영상품질에 대한 융합 연구
A study of dose and image quality with Convergence FFDM and DBT using tissue-equivalent phantom in digital mammograph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29 - 34  

유영신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학과) ,  한동균 (을지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지털 유방촬영장치의 DBT(Digital Breast Tomosynthesis)와 FFDM(Full Field DigitalMammography)의 비교를 위해 유방조직등가팬텀을 이용하여 두께와 밀도를 변화시켜 선량 및 화질을 평가하여 DBT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평균유선선량은 팬텀 두께 6 cm이상 밀도 70% 이상일 때, 두께 7 cm이상 밀도 50% 이상일 때 FFDM 보다 DBT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상 측정 결과, 섬유소는 DBT에서 우수하다고 측정 되었고, 작은 석회화 그룹과 종양에서는 FFDM 이 우수하였다. 유방의 복잡한 조직과 유사한 BR3D 팬텀에서는 모든 두께와 섬유소, 석회화 및 종양 그룹 모두 DBT 가 우수하다고 측정 되었다. DBT는 FFDM보다밀도가 높고 두께가 두꺼운 두께가 두껍고 밀도가 높은 유방에서 영상 품질 우수하고 낮은 선량을 제공함으로서, 한국 여성의 많은 분포를 차지하는 치밀유방에 더 유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measure dose against various density and thickness using phantom to compare FFDM to DBT of Digital mammography equipment and evaluate usefulness of DBT through compare the image quality of FFDM and DBT. We use mammography equipment, Selenia Dimensions ; this is able to examine bre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유방촬영장치의 FFDM(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과 DBT(Digital Breast Tomosynthesis)의 선량과 영상품질의 비교를 위해 유방 조직등가팬텀을 이용하여 밀도와 두께를 변화시켜 얻어진 선량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을 통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정량적 평가가 행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본 연구는 두께와 밀도를 분리하여 FFDM 과 DBT 의 평균유선선량을 비교하고, 영상품질을 평가함으로 유방의 특성에 따른 DBT 의 유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데 큰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검사를 위한 영상의학 검사의 종류는? 유방암의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유방암 검진 사업으로 인하여 조기 발견률이 높아 다른 암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띄고 있다. 유방암검사를 위한 영상의학검사는 유방X선 검사, 유방 초음파, MRI등이 있지만, 그 중 가장 기본적으로 시행하 면서, 유방암의 주요 소견인 미세석회화에 대하여 해상 력이 우수한 유방X선 검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5-7]. 유방X선 검사는 최근 디지털 융복합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필름-스크린 시스템에서 디지털과 융합하여 영상의 후처리(post-processing)가 가능한 디지털유방촬영장치 (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8].
주된 유방암검사은 어떠한 전환양상을 보이고 있는가? 유방암검사를 위한 영상의학검사는 유방X선 검사, 유방 초음파, MRI등이 있지만, 그 중 가장 기본적으로 시행하 면서, 유방암의 주요 소견인 미세석회화에 대하여 해상 력이 우수한 유방X선 검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5-7]. 유방X선 검사는 최근 디지털 융복합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필름-스크린 시스템에서 디지털과 융합하여 영상의 후처리(post-processing)가 가능한 디지털유방촬영장치 (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8]. 디지털 유방X선 검사는 유방질환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방법이지만, 우리나라 여성의 50 %를 차지하는 치밀 유방에 대한 검사는 병변 식별력이 떨어진다는 단점과, 3차원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2차원 영상으로 나타내 진단에 제한적이며, 유방의 복잡한 해부학적구조가 유방X선 검사에서 영상판독에 제한적이며, 잘못된 진단 으로 인하여 재검사를 초래하기도 한다[9-11].
유방암의 발생률과 생존율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유방 암은 여성암중 갑상선암 다음으로 많은 질환으로써 2011 년 15,942명에서 2015년 19,142명으로 약 20% 증가하였 다[3,4]. 유방암의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유방암 검진 사업으로 인하여 조기 발견률이 높아 다른 암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띄고 있다. 유방암검사를 위한 영상의학검사는 유방X선 검사, 유방 초음파, MRI등이 있지만, 그 중 가장 기본적으로 시행하 면서, 유방암의 주요 소견인 미세석회화에 대하여 해상 력이 우수한 유방X선 검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 Y. Sim. (2016). Cancer Screening Guidelin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0(3), 224-230. DOI : 10.3904/kjm.2016.90.3.224 

  2. M. M. Jang. & H. S. Kim. (2017).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ain Relief on Modified Mamm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11(5), 413-421 DOI : 10.7742/jksr.2017.11.5.413 

  3.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3).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ncc.re.kr/manage/manage03_033_list.jsp 

  4. M. H. Kim. & G. S. Cheon. (2016). Changes in Spatial Resolution at Position of the Detector in Digital Mammograph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10(3), 215-222 DOI : 10.7742/jksr.2016.10.3.215 

  5.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7).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ncc.re.kr/cancerStatsList.ncc?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6. T. W. Won. (2017). Ductal carcinoma in situ arising within a fibroadenoma of brea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1), 454-458 DOI : 10.5762/KAIS.2017.18.11.454 

  7. H. O. Y. Jeong. & P. G. JO. (2018). Quality Management for Mammography Equipment and Mamm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2(5), 683-692 DOI : 10.7742/jksr.2018.12.5.683 

  8. H. J. Shin. & A. Lee. (2015). Breast Cancer Screening in Korean Woman with Dense Breast Tissue.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73(5), 279-286. DOI : 10.3348/jksr.2015.73.5.279 

  9. S. H. Lee. & B. J. Kang (2018). Breast Cancer in Women Younger than 35-Years-Old: Correlation of MRI Findings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Immunohistochemical Sub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79(4), 196-203 DOI : 10.3348/jksr.2018.79.4.196 

  10. Etta D. Pisano. & Constantine Gatsonis. (2005). Diagnostic Performance of Digital versus Film Mammography for Breast-Cancer Screening.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3(17), 1773-1783. DOI : 10.1056/NEJMoa052911 

  11. Skaane. P. & Bandos. Al. (2013). Comparison of digital mammography alone and digital mammography plus tomosynthesis in a population-based screening program. Radiology, 267(1), 47-56. DOI : 10.1148/radiol.12121373 

  12. Friedewald. SM. & Rafferty. EA. (2014). Breast cancer screening using tomosynthesis in combination with digital mammograph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1(24), 2499-2507. DOI : 10.1001/jama.2014.6095 

  13. Randell L. K. & Beth A. S. (2001). A survey of clinical factors and patient dose in mammograph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Physics Research and Practice, 28(7), 1449-1454. DOI : 10.1118/1.1382606 

  14. Ioannis. S.& Sankararaman. S. (2007). Computation of the glandular radiation dose in digital tomosynthesis of the breast. NIH Public Access, 34(1), 221-232 DOI : 10.1118/1.2400836 

  15. Olgar. T. & Kahn. T. (2012). Average Glandular Dose in Digital Mammography and Breast Tomosynthesis. The journal of Thieme, 184(10), 911-918 DOI : 10.1055/s-0032-1312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