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285 - 292  

이효성 (서원대학교 제약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활성은 사포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중 주사포닌이 분해된 부사포닌이 주사포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부사포닌의 함량은 발효를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자연삼을 발효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멜라닌 합성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미백 원료인 Kojic acid나 Arbutin과 비교하여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도 낮게 나타났으며 임상평가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세포생물학과 임상학적 융합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개발된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안전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nax ginseng is known for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mainly due to saponins. Since minor saponins, generated by the decomposition of major saponins, generally exert higher activities than major saponins, the fermentation may increase the minor saponin contents in ginseng products. In this 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백 화장품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8] 현재 사용되는 미백 화장품 원료가 가지는 독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천연물이며 식품으로서 그 안전성이 이미 검증된 자연삼(Panax ginseng)의 발효 추출물을 활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L. plantarum)을 이용한 자연삼 (P. ginseng)의 발효 추출물을 활용하여 안전한 미백 화장품의 원료를 개발하고자 미백 기능성과 안전성을 시험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색소 침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앞선 실험에서 시료가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는 세포군 전체에 대한 평가이며 시료의 독성이 개별 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은 파악할 수는 없다. 이에 개별 세포의 손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LDH법으로 시료가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였다. 세포 사멸이나 손상 시에 유출되는 LDH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의 손상을 평가한 결과 세포 용해 시 유출되는 LDH의 양에 비하여 현격하게 낮았으며 100 ppm의 농도에서도 무처리 대조군과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Fig.
  • 천연물과학, 세포생물학, 임상연구를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 자연삼(P. ginseng)의 유산균(L. plantarum)발효 추출물은 세포수준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있고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천연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시료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미백 기능을 수행하는 우수한 화장품 원료로서 제안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서 피부 투과성이 좋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는 이유로 주로 사용되는 미백제는 무엇이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대표적인 미백제로 사용되지만 tyrosinase에 대해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멜라닌 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유발하는 등 세포독성으로 인한 피부자극이나 피부염증을 유발하므로 그 이용이 제한적이고 누룩산(Kojic acid)과 알부틴 (Arbutin)은 강한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포독성과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이 있는 등 안전성 문제와 더불어 활성이 낮거나 피부 투과성이 좋지 않은 등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4]. 따라서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서 피부 투과성이 좋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멜라닌이란 무엇인가? 피부의 멜라닌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피부 내에 생성된 멜라닌(Melanin)은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1].
멜라닌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의 멜라닌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피부 내에 생성된 멜라닌(Melanin)은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Del Bino, C. Duval, F. Bernerd. (2018). Clin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kin pigmentation diversity and its consequences on UV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9(9), 2668-2712. 

  2. T. Pillaiyar, M. Manickam, V. Namasivayam. (2017). Skin whitening agents: medicinal chemistry perspective of tyrosinase inhibitors.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32(1), 403-425. 

  3. B. Desmedt et al. (2016). In vitro Dermal Absorption of Hydroquinone: Protocol Validation and applicability on illegal skin-whitening cosmetics. Skin Pharmacoogy and Physiology, 29(6), 300-308. 

  4. S. Sonthalia, D. Daulatabad, R. Sarkar. (2016). Glutathione as a skin whitening agent: Facts, myths, evidence and controversies.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82(2), 262-72. 

  5. J. Kim. (2018). Pharmacological and medical applications of Panax ginseng and ginsenosides: a review for use in cardiovascular diseases. Journal of Ginseng Reseach, 42(3), 264-269. 

  6. D. Tam et al. (2018). Ginsenoside Rh1: A systematic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Planta Medica, 84(3), 139-152. 

  7. S. J. Lee, N. Ha, Y. Kim, M. G. Kim. (2016). Changes in the ginsenoside content during fermentation using an appliance for the preparation of red ginseng.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44(8), 1595-1606. 

  8. E. Kim. (2006). A Study of Whitening Cosmetic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4(2), 195-203. 

  9. S. W. Hwang et al. (2018). Fermentation-mediated enhancement of ginseng’s anti-allergic activity against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vivo and in vitro.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8(10), 1626-1634. 

  10. A. Di Petrillo et al. (2016). Tyrosin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sphodelus microcarpus extract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16(1), 453-461. 

  11. H. B. Kim, K. C. Park, J. H. Park, C. G. Lee, S. K. Ye, J. Y. Park. (2016).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by the chalcone derivative 1-(2-cyclohexylmethoxy-6-hydroxy-phenyl)-3-(4-hydroxymethyl-phenyl)-propenon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80(4), 648-654. 

  12. F. Angius, A. Floris. (2015). Liposomes and MTT cell viability assay: an incompatible affair. Toxicology In Vitro, 29(2), 314-319. 

  13. G. Fotakis, J. A. Timbrell. (2006). In vitro cytotoxicity assays: comparison of LDH, neutral red, MTT and protein assay in hepatoma cell lines following exposure to cadmium chloride. Toxicology letter, 160(2), 171-177. 

  14. Y. Tian, T. Hoshino, C. J. Chen, Y. E, S. Yabe, W. Liu. (2009). The evaluation of whitening efficacy of cosmetic products using a human skin pigmentation spot model.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15(2), 218-223. 

  15. E. V. Curto et al. (1999). Inhibitors of mammalian melanocyte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ical Pharmacology, 57(6), 663-6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